• 제목/요약/키워드: Aortopulmonary Septal Defec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6초

Aortic Reconstruction Using a Main Pulmonary Artery Flap in an Isolated Aortopulmonary Window

  • Shin, Hong Ju;Jung, Younggi;Shin, Jae Se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4호
    • /
    • pp.236-238
    • /
    • 2019
  • Aortopulmonary window (APW) is a rare cardiac anomaly that was reported to occur in only 43 cases over 33 years at a large-volume cardiac center. It can present as an isolated anomaly or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ardiac anomaly. The surgical technique for APW has evolved from simple ligation to separation of the 2 great arteries. However, because of the rarity of APW, there is no standard surgical treatment for this disease entity. Herein, we present successful aortic reconstruction using a main pulmonary artery flap after separation of the 2 great arteries in a neonate with isolated APW.

동맥관개존증, 심실중격결손 및 폐동맥이 동반된 폐동맥 폐쇄증: 1예보고 (A Case Report of Pulmonary Atresia with Pulmonary Artery, PDA and Ventricular Septal Defect)

  • 윤양구;홍승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2호
    • /
    • pp.212-216
    • /
    • 1991
  • A surgical correction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a adult female who had pulmonary atresia with almost non-confluent pulmonary artery, PDA and ventricular septal defect. Initially as a first stage of corrective surgery isolat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ligation of aortopulmonary collaterals and identification of the pathologic anatomy of left pulmonary artery through left posterolateral approach were performed. At the second stage, a week after the initial operation, total correction was done making both pulmonary arteries confluent with albumin coated woven-dacron graft, external valved conduit and closure of large VSD of subarterial and perimembranous type. The PDA was ligated with previously encircled heavy stitch soon after partial bypass was started. Although massive bleeding from anastomotic site of dilated left pulmonary artery to the graft occurred preoperatively, postoperative functional improvement was excellent in terms of disappearance of cyanosis and normal exercise tolerance.

  • PDF

상행 대동맥에서의 우폐동맥 이상기시증을 동반한 복잡 심기형의 단계적 완전 교정술-1례 보고- (Staged Total Correction of Complexes Anomalous Origin of Right Pulmonary Artery from the Ascending Aorta One Case Report)

  • 정일상;한재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22-325
    • /
    • 1997
  • 세종병원 흉부외과에서는 폐동맥 페색증, 좌측폐동맥 무형성증, 심실중격결손증, 다발성 MAPCA등을 동반한 상행 대동맥으로부터 이상기시한 우폐동맥 11례를 경험하였다. 10개월 때 1단계 수술로써 좌측 unifocalization과 함께 좌폐동맥을 만들고 우폐동맥 벤딩을 하였고, 1개월후 우측 MAPCA의 coil 색전술 단계를 거쳐, 1년후 완전 교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경과는 양호하였고 수술 1년후 조영술과 혈역학적 검사상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대동맥폐동맥창 (Aortopulmonary Window)

  • 김동진;민선경;김웅한;이정상;김용진;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275-280
    • /
    • 2006
  • 배경: 대동맥폐동맥창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동반 심기형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좌우 단락에 의한 과다한 폐 혈류량으로 조기 교정이 필수이나, 정확한 진단과 수술적 교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간의 경험한 대동맥폐동맥창을 정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3월부터 2005년 1월까지 16명(남 10, 여 6)의 환자가 대동맥폐동맥창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교정을 시행하였고,수술당시 평균연령은 $157.8{\pm}245.3$ ($15.0{\sim}994.0$)일이었고, 평균 체중은 $4.8{\pm}±2.5$ ($1.7{\sim}10.7$) kg이었다. 동반 심기형은 동맥관개존증(8예), 심방중격결손증(7예), 대동맥궁단절증(5예), 심실중격결손증(4예), 난원공(3예), 삼첨판막역류증(3예), 승모판역류증(2예), 대동맥판역류증(1예), 대동맥축착증(1예), 좌측상대정맥(1예), 우심증(1예)이었다. 수술 방법은 대동맥폐동맥창의 분리 절단 후 대동맥 부위를 일차 봉합 또는 첩포 봉합하고 폐동맥 부위를 일차 봉합 또는 첩포 봉합하거나(11예), 대동맥폐동맥창의 분리 절단 없이 동맥 내에서 첩포 봉합술을 하거나(3예), 대동맥궁단절 및 대동맥축착을 동반한 환자에서 하대동맥을 직접 대동맥 창에 봉합하였다. (2예). 결과: 사망한 경우가 1예 있었다. 환자는 기관지 분지부에서 상방 2.5 cm정도 심한 협착과 기관유래기관지가 우상엽과 연결되어 있었던 경우로, 기관성형술(sliding tracheoplasty)시행 후 과다 출혈로 술 후 5일째 사망하였다. 복잡 대동맥폐동맥창 환자의 입원 기간 및 중환자실 체류 기간이 더 길었으며, 재수술(5예)과 합병증의 빈도도 더 높았다. 재수술은 좌폐동맥 협착(4예), 우폐동맥 협착(2예), 주폐동맥 협착(1예) 등이 원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6.8{\pm}5.6$ (57.0일$\sim$16.7년)년이었고, 생존 환자의 추적 기간 동안 NYHA 기능분류는 모두 I이었다. 결론: 연구자 등은 대동맥폐동맥창으로 진단된 16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기 수술로 술 후 양호한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반 심기형의 적절한 수술적 교정이 만기 예후를 좌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술 후 재협착의 빈도를 줄이기 위한 수술 전략의 재고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