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valve surgery

검색결과 579건 처리시간 0.025초

아급성 심내막염을 동반한 대동맥륜 하부 대동맥류의 수술치험 -1례 보고- (Subannular Aortic Aneurysm Accompanied with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Report of one case -)

  • 한재진;이원용;채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6호
    • /
    • pp.1084-1087
    • /
    • 1989
  • Subannular aortic aneurysm is a word-wide rare disease entity occurring predominantly in young black men. In Korea, there has been no report. We report one patient, 46 years old man, who had been operated urgently because of acute aortic insufficiency and aortic valvular vegetation after antibiotics treatment of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for 6wks. At the operative field, We found the bulging aneurysmal mass between the aorta and superior vena cava above the right pulmonary artery, which has subannular communicating opening into the left ventricular cavity, beneath the anterior commissure of the bicuspid aortic valve. Pathologic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ortion of vascular wall with features of aneurysm.* The patients survived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patch closure of subannular aneurysm, with no symptoms at one-year postoperative follow-up.w-up.

  • PDF

단일관상동맥환자에시 대동맥판막 치환술 시행 중 발생한 관상동맥혈류장애의 치험 - 1예 보고 - (Coronary Blood Flow Disturbance of a Single Coronary Artery in a Patient Undergoing Aortic Valve Replacement - A case report -)

  • 정희석;이재원;정성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74-776
    • /
    • 2009
  • 57세 남자가, NYHA class III의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심장초음파 검사상 Grade III에 해당하는 대동맥판막 역류증을 진단받았다. 그는 수술 전 시행한 심혈관조영술 검사상 단일관상동맥 기형을 가지고 있었으며, 기계판막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시행받았다. 수술장 소견상 단일관상동맥이었으며 대동맥절개시술부위의 좌측절개부위와 우관상동맥의 주행이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를 보였다. 판막치환술을 시행하고 절개된 대동맥을 봉합한 후 인공심폐기로부터 탈출하던 도중 좌측대동맥절개부위와 인접한 우관상동맥이 당겨지면서 심실세동이 발생하여 대동맥을 다시 절개하였으며, 우관상동맥을 박리하고 대동맥을 재봉합하여 문제 없이 수술이 종료되었다. 수술 직후 방실리듬이 관찰되어 심방조율하여 정상동방결절리듬으로 전환되었고, 술 후 8일 째 특이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쎈트쥬드 대동맥판막의 장기 임상성적 (Clinical Results of the St. Jude Medical Valve in Aortic Pposition)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58-262
    • /
    • 1995
  • We have experienced 18 abdominal aortic aneurysms between March,1987 and June,1994.Unruptured patients were 11 cases and ruptured were 7.The fifth[33.4% ,sixth[27.7% and seventh[27.7% decades were most common age distributions.Sex ratio was 2.6:1[m:f .The most frequent symptoms were abdominal or back pain and palpable pulsating mass.Sixteen patients underwent resection and graft replacement.One patient refused operation.Atherosclerosis was the underlying pathology in 76%.Two ruptured patients died postoperative[28.5% .The frequency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higher in the ruptured group.

  • PDF

대동맥 판막 치환술 후 대동맥 판막 병변에 따른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변화 (Changes of Mitral Regurgitation after Aortic Valve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Aortic Valve Pathology)

  • 김시욱;이영탁;전태국;성기익;김욱성;양지혁;최진호;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667-673
    • /
    • 2007
  • 배경: 심한 대동맥 판막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많은 경우에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동반한다. 이런 환자들에서 대동맥 판막 수술 후 남겨지는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변화는 수술 등의 치료 과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그러나 대동맥 판막 형태에 따른 대동맥 판막 치환술 후 중등도 이하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변화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도 이하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동반한 대동맥 판막 협착(Group S)과 폐쇄부전(Group R)을 갖는 두 환자군에서 대동맥 판막 치환술 후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변화를 추적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본 병원에서 1996년 1월에서 2005년 5월까지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받고 중등도 이하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수술을 하지 않은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대동맥 판막 협착군(n=29)과 대동맥판막 폐쇄부전군(n=14)으로 나뉘었다. 추적검사 방법은 수술 후 7일, 수술 후 $6{\sim}10$개월 그리고 18개월 이후에 시행한 경흉부 심초음파 결과로 하였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38개월이었다. 결과: 평균나이는 60.9세(Group 5=62세, Group R=52.5세)였으며 60% (Group S=55%, Group R=71%)가 남자 환자였다. 수술 전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정도는 경도가 29 (67.5%)명이었고 경도와 중등도 사이가 11 (25.5%)명이었으며 중등도가 3 (6.9%)명이었다 Group S에서 승모판 폐쇄부전 정도가 수술 후 수 일 내에 16 (55%)명에서 만 호전을 보였고 수술 후 18개월 후에 시행된 검사에서는 17 (59%)에서 호전을 보였다. 반면에 Group R의 모든 환자에서 조기에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호전을 나타냈다. 좌심방 크기감소는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호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좌심실 구출률은 두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심한 대동맥 판막 질환과 동반된 중등도 이하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대동맥 판막치환술 후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호전은 대동맥 판막 협착증의 환자보다 대동맥 판막 폐쇄부전 환자에서 보다 조기에 잘 이루어진다.

단일 관상동맥 기형이 동반된 급성 대동맥박리의 수술치험 (Aortic Dissection with Aberrant Origin of Single Coronary Artery -Report of 1 case-)

  • 김웅한;안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2호
    • /
    • pp.1036-1041
    • /
    • 1994
  • Emergency operation was performed in a patient with severe aortic insufficiency caused by type A acute aortic dissection with aberrant high take-off origin of single coronary artery. The single coronary artery was found to arise from an unusual position high in the ascending aorta. Dissection was begun in the aortic root and involved the single coronary ostium. Valve competance was restored by resuspension of the commissures. the false lumen was obliterated with strips of Teflon felt and surgical glue. The aortic tissues were firmly reinforced and sutured. The proximal aortic stump was anatomically reconstructed, and fortunately the aortic valve was preserved and coronary reimplantation avoided. The patient was discharged at postoperative 13 days without specific complications. Postoperative course during the 18 months follow-up was uneventful.

  • PDF

AESOP 3000을 이용한 흉강경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 (Thoracoscopic Aortic Valve Replacement assisted with AESOP (Automated Endoscope System for Optimal Positioning) 3000)

  • 신홍주;김희중;주석중;송현;정철현;송명근;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507-509
    • /
    • 2005
  • 우측 개흉술을 통한 개심술은 심방중격 결손증, 승모판막 질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에 본원에서는 AESOP 3000을 이용하여 흉강경적 심방중격 봉합술, 승모판막 성형술, Maze 수술, 최소침습적 관상동맥 우회술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흉강경을 이용한 대동맥 판막 치환술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본원에서는 31세 여자 환자에게서 AESOP 3000을 이용한 흉강경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돼지 대동맥, 폐동맥의 근위부 기하학적 구조 측정을 통한 판막 구조 수치의 계량화와 판막 도안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Porcine Aortic and Pulmonary Valve Geometry and Design for Implantable Tissue Valve)

  • 박성준;김용진;남진혜;김수완;이창하;임홍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02-613
    • /
    • 2010
  • 배경: 사람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판막 질환이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과거에는 심장 판막 이식에 기계 판막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혈액 응고 장애로 인한 출혈, 임신 시 태아의 기형 가능성, 판막의 급성 기계적 작용 부전,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 등의 여러 합병증이 동반되는 단점이 있어, 조직 판막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그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와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조직 판막은 외국계 회사의 수입된 제품으로서 그 구조나 도안에 이론적인 제안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돼지의 대동맥 및 폐동맥 판막의 구조에 대한 기하학적 분석을 시행하고, 각 수치를 계량화, 분석하여 그 3차원적 구조를 이해하여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판막을 만들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도축한 25마리의 돼지에서 채취한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판막을 신선한 상태에서, 그리고 글루타알데하이드(GA) 용액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판막의 각 구조물 수치를 2차원적으로 측정하여 그 배율을 계량화하고 분석하였다. 신선한 상태와 글루타알데하이드(GA) 용액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판막엽 간 길이, 접합면 간 길이, 판막엽의 높이, 접합면 높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이식 가능한 판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스텐트의 도안으로 모양, 유순도에 따른 스텐드의 두께, 높이, 간격 및 판막 크기에 따른 심낭 판막엽의 크기, 모양, 두께 등을 도안하였다. 결과: 돼지 대동맥과 폐동맥 판막의 수치 및 각 구조물들의 배율을 구하였다. 대동맥 판막 및 폐동맥 판막은 각각 우측 관상동맥 첨판 및 우향 관상동맥 첨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제일 컸다. 무접합 관상동맥 첨판이 가장 작았으며(우향 관상동맥 첨판: 무접합 관상동맥 첨판: 좌향 관상동맥 첨판=1.00 : 0.88 : 1.00), 판막의 높이는 첨판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스텐트를 사용한 돼지 대동맥 판막은 외측 직경 크기를 19 mm부터 33 mm까지 정하였고, 이전에 정한 비율 및 스텐트 두께, 그리고 실제 판막 제작에 필요한 봉합 두께와 판막 주변 벽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스텐트의 높이 ($R{\times}1.4$, R: radius, 직경), 폭, 간격 수치를 정하였으며, 심낭을 이용한 판엽은 판막의 직경, 각 첨판 길이 ($2{\times}R$), 높이 ($R{\times}1.4$)와 첨판의 최소 접합면을 고려하여 스텐트 크기와 함께 모양을 도안하였다. 결론: 25개의 돼지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판막의 구조물에 대한 수치를 측정하여 판막들의 기하학적 비율을 계산하고, 여려 크기의 이식형 돼지 대동맥 판막을 만들어 볼 수 있었으며, 또한 소의 심낭을 이용하여 다양한 표기의 판막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만들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도안의 판막 제작 후 충분한 생체 내외의 실험 및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승모판과 대동맥판의 중복치환수술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Results of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54-61
    • /
    • 1985
  • One-hundred-and-seven patients were the consecutive cases of double replacement of the mitral and the aortic valves at the same time using the lonescu-Shiley bovine pericardial xenograft valve during the period between May, 1979 and June, 1984. They were 64 males and 43 females, and their ages ranged from 13 to 62 years [mean age, 34.011.9 years]. Eight patients died within 30 days after surgery [operative mortality rate, 7.5%], and 7 others thereafter [late mortality rate, 6.5%; or 4.21%/patient-year]. Ninety-nine early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a total duration of 166.1 patient-years [mean duration, 20.116.1 months]. Two patients experienced thromboembolic complication with no death [1.20%/patient-year]; five developed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3.01%/patient-year] with one death; and three had a new development of aortic regurgitant murmur and they were, along with a mortality from endocarditis, classified into the cases of tissue valve failure [2.41%/patient-year]. The actuarial survival rate including the operative mortality was 82.24.7% at 6 years after surgery. The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thromboembolism and from valve failure were 97.61.7% and 88.67.6% at 6 years respectively. Symptomatic improvement was excellent in most of the cases at the follow-up end, showing the mean of the postoperative NYHA Classes of 1.120.33 from the preoperative one of 2.860.54. These results compares favorably with the ones reported from the major institutions. Clinical results of isolated replacement of the mitral valve and of the aortic valve were previously reported. The clinical results of a total and consecutive patients with replacement of single mitral and single aortic and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s on the mortality rate, survival rate, complication frequency, and symptomatic improvement all fully stands for the good therapeutic modalities of the valvular heart diseases with severely damaged lesions.

  • PDF

이첨 대동맥판막협착을 동반한 단일 관상동맥증 -1례 보고- (Single Coronary Artery Associated with Bicupid Aortic Valvular Stenosis -1 Case Report-)

  • 김우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472-476
    • /
    • 1994
  • The incidence of single coronary artery is extremely rare in a review of congenital anomalies of the coronary arteries. This 27-year-old male patient was referred for the evaluation of cardiac condition showing exertional dyspnea[NYHA class II-III] and chest discomfort for about 1 year. A complete catheterization study including angiogram disclosed large single coronary artery arising from left aortic sinus [Ogden classification L-4] associated with bicuspid aortic valvular stenosis and low grade supravalvular aortic stenosis. Calcified stenotic aortic valve was fully removed with caution and the 19mm St. Jude Medical valve was then implanted in the small nortic annulus. The patient had an uneventful recovery and was discharged on 13th postoperative day.

  • PDF

특발성 낭포성 중층 괴사 -1례 보고- (Idiopathic Cystic Medial Necrosis -A Case Report-)

  • 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183-190
    • /
    • 1979
  • A 23-year-old male patient complained dyspnea on exertion and orthopnea since December 1977. On examination, he was tall and slender. There was grade IV/VI to-and-fro murmur on the left sternal border especially on Erb`s point. The liver was descended 2 fingers breadth below right costal margin. There were no signs of Marfan`s syndrome. Echocardiography demonstrated partial closure of aortic valve and dilated aortic root with enlargement of ascending aorta. Left heart cardiac catheterization revealed moderately elevated pulmonary wedge pressure and right ventricular pressure. The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pressure was markedly elevated to 26 mmHg. On aortography, the aortic regurgitation was severe and it was belonged to angiographically Grade IV. The aortic valve was replaced with Carpentier-Edwards valve without excision and replacement of ascending aorta, under the impression of rheumatic valvular heart disease. After closure of aortotomy, blood pressure was transiently elevated and bleeding from the site of inserting air vent needle of ascending aorta was developed. The bleeding was not controlled by any means. On postmortem microscopic study, the histologic changes were strikingly limited to the ascending aorta from the region of the aortic valve 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