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bypass surgery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4초

Long Term Results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econstruction with Homografts

  • Kim, Hye-Won;Seo, Dong-Man;Shin, Hong-Ju;Park, Jeong-Jun;Yoon, Tae-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2호
    • /
    • pp.108-114
    • /
    • 2011
  • Background: Homograft cardiac valves and valved-conduits have been available in our institute since 1992. We sought to determine the long-term outcome after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VOT) reconstruction using homografts, and risk factors for reoperation were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12 patients who had undergone repair using 116 homografts between 1992 and 2008. Median age and body weight at operation were 31.2 months and 12.2 kg, respectively. The diagnoses were pulmonary atresia or stenosi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n=93), congenital aortic valve diseases (n=15), and truncus arteriosus (N=8). Mean follow-up duration was $79.2{\pm}14.8$ months. Results: There were 10 early and 4 late deaths. Overall survival rate was 89.6%, 88.7%, 86.1% at postoperative 1 year, 5 years and 10 years, respectively. Body weight at operation, cardiopulmonary bypass (CPB) time and aortic cross-clamping (ACC) time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death. Forty-three reoperations were performed in thirty-nine patients. Freedom from reoperation was 97.0%, 77.8%, 35.0% at postoperative 1 year, 5 years and 10 years respectively. Small-sized graft was identified as a risk factor for reoperation. Conclusion: Although long-term survival after RVOT reconstruction with homografts was excellent, freedom from reoperation was unsatisfactory, especially in patients who had small grafts upon initial repair. Thus, alternative surgical strategies not using small grafts may need to be considered in this subset.

Takayasu 질환에서 신성 고혈압을 동반한 복부 대동맥 협착 수술 치험 - 1례 보고 - (Takayasu`s Disease Associated with Abdominal Coarctation and Renovascular Hypertension - Report of one case -)

  • 이종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791-798
    • /
    • 1990
  • Takayasu’s disease produces the occlusive and aneurysmal lesions of major branches of the aorta. Angiography is the most important diagnostic procedure in Takayasu’s disease. Surgical treatment is often justified to avoid the possible lethal consequences of hypertension on the heart, kidney, and brain, as well as in the case of aneurysm because of its risk of rupture. We experienced one case of the Takayasu’s disease associated with abdominal coarctation and renovascular hypertension. The patient was 17 years old female and had suffered from hypertension for 14 months. On physical examination, BP was 150/100 mmHg in the right arm and 120/80 mmHg in the left arm. The pulses of the left brachial and femoral arteries were weakly palpable. Aortogram showed the stenosis of the left common and subclavian arteries, coarctation of the abdominal aorta, and stenosis of the right renal artery and complete occlusion of the left renal artery. The stenosis of the right renal artery and the occlusion of the left renal artery produced the renovascular hypertension. She underwent aorta-aortic bypass for the coarctation of the abdominal aorta and aorta-renal bypass for treatment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Postoperatively, both femoral pulses were equally palpable. On discharge, antihypertensive drugs were discontinued. She has remained normotensive for last one year.

  • PDF

관상동맥 우회로술시 심근보호법에 따른 수술결과의 임상분석 (Clinical Analysi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ccording to Cardiac Protection)

  • 이서원;이계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961-965
    • /
    • 1997
  • 대전을지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1년 10월 부터 1996년 4월까지 27명의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하였으며 심정지액을 사용한 A그룹과 사용하지않은 B그룹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남자는 17명, 여자는 10명 이었 으며 연령은 45세에서 76세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65세였다. 술전 임상소견으로는 안전성 협심증 11 례,불안전성 협심증 13례, 심근경색후 협심증이 3례였다. 동반질환으로 고혈압 7례, 당뇨병 5례 및 기타질환 이 3례있었다. 환자당 평균 혈관문합수는 A군에서 2.0개소, B군에서는 2.83개소의 원위문합을 하였다. 대동 맥 차단시간은 A군에서 54.7분, B군에서는 18.5분이었다. 술중 혹은 술후 발생한 심근경색증은 A군에서 2례, B군에서 3례 였으며, 전체파망율은 4례론 14.8%이며 B군의 사망율은 8.3%였다.

  • PDF

심폐바이패스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기봉;임홍국;허재학;안혁;함병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38-44
    • /
    • 2000
  • Background: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performed to minimize inflammatory responses to cardiopulmonary bypass and myocardial ischemia during the aortic cross-clamp period. Material and Method : The preoperative diagnosis operative procedure mortality complication and postoperative course of the 50 patients who underwent OPCAB between January 1998 and September 1998 were analyzed. There were 34 males and 16 females with mean age of 60$\pm$9 years. Preoperative clinical diagnoses were unstable angina in 31(62%) stable angina in 16(32%) and clinical diagnoses were unstable angina in 31(62%) stable angina in 16(32%) and postinfarction angina in 3(6%) patients. Preoperative angiographic diagnoses were three-vessel disease in 25(50%) two-vessel disease in 5(10%) one-vessel disease in 7(14%) and left main disease in 13(26%) patients. There were elective operation in 37 cases and urgent operation in 13 cases. Result: The mean number of grafts was 3.2$\pm$1.2 per patient. Grafts used were un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in 43 greater saphenous vein in 37 radial artery in 7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in 4 and right gastroepiploic artery in 2 cases Forty sequential anastomoses were performed in 18 cases. Vessels accessed wer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in 48 diagonal branch in 41 obtuse marginal branch in 30 right coronary artery in 24 posterior descending artery in 9 ramus intermedius in 5 and posterolateral branch in 5 anastomoses. Predischarge coronary angiography performed in 44 patients demonstrated the patency rate of 89.5%(128/143) Operative mortality was 2%(1/150)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rrhythmia in 5 graft occlusion that needed reoperation in 4.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in 2 femoral artery thromboembolism developed after the application of IABP in 1 postoperative transient delirium in 1 peripheral compression neuropathy in 1 case. Sixteen patients(32%) were extubated at the operating room and the other patients were extubated at the mean 13$\pm$20 hours after the operation. Mean duration of stay in intensive care unit was 49$\pm$46 hours. Thirteen patients(26%) required blood transfusions perioperatively and the amount of perioperative blood transfusion was mean 0.70$\pm$1.36 pack/patient. Conclusion: OPCAB is suggested to be the ideal technique with l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 less hospitalization time and less cost.less cost.

  • PDF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에서의 혈관성형술의 결과 (Outcome of Patch Angioplasty for Left Main Coronary Ostial Stenosis)

  • 강창현;나찬영;서홍주;김재현;이철;장윤희;황성욱;백만종;오삼세;김웅한;이영탁;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56-63
    • /
    • 2004
  • 배경: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에서의 혈관성형술은 기존의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혈류 경합과 역행성 혈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의 수술 성적과 예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의 수술적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7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부천세종병원에서 좌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으로 혈관성형술을 시행 받은 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수술 전 임상양상, 수술결과, 수술 후 관상동맥조영술과 심초음파 검사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53.1$\pm$12.5세였으며 남녀비는 8 : 21이었다. 여성 환자 중 12예에서는 뚜렷한 죽상 경화증의 위험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26예(89.7%)의 환자는 다른 원위부 관상동맥에 병변이 없는 단독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 소견을 보였다. 결과: 28예의 환자에서 전방접근법을 사용하였고, 1예의 환자에서 상방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주폐동맥의 절단을 1예에서 시행하였다. 4예의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사망은 1예(3.4%)에서 발생하였으며 장기 추적관찰 결과 1예에서 외상으로 인한 만기 사망이 발생하여 5년 생존율은 91.2$\pm$6.1%였다. 수술 후 13예(44.8%)의 환자에서 17차례의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으며, 이 중 2예에서 첩포 원위부 협착이 발생하였고 1예에서 우관상동맥 개구부의 새로운 협착이 발생하여 3예의 경피적 중재술이 시행되었다. 1예의 환자에서 첩포 근위부 협착이 발생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5년 재시술 회피율은 82.4$\pm$8.5%였다. 수술 후 1도 이하의 새로운 대동맥 폐쇄부전이 4예에서 그리고 수술 전 동반되었던 대동맥 폐쇄부전의 심화가 1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은 좌주관상동맥 개구부의 협착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혈관성형술 부위의 협착과 대동맥 폐쇄부전에 대한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흉복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 안혁;김준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77-184
    • /
    • 1996
  •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흉복부 대동맥류의 진단하에 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는21명이었다. 이 환자들의 나이는20세부터 67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1.5세 였다. 남녀는 각각 11명, 10명이었다. 증상으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신체의 한 부분의 동통을 호소했는데, 배부동통이 가장 많았고, 흉통과 흉부의 불쾌감, 옆구리 동통 등도 호소했으며, 증상이 없었던 경우도 3례 있었다. 21례 중 15례(71.4%)가 만성 해리성 대동맥류였으며, 6례 (28.5%)가 진성 대동맥류였다. 만성 해리성 대동맥류 환자중 고혈압과 연관된 동맥경화증이 6례(28.5%)에서 관찰되었으며, Martian증후군이 5례 (2).8%)의 환자에서 확인되 었고, 2례 (9.5%)는 임신이 원 인으로 판단되 었다. 대동맥류의 크기는 6~12cm까지 다양했고, Crawford 분류에 따라 분류하면, Type I 이 7례 (33.3%), Type II가 8례 (38.1%)였고, Type R과 Type W가 각각 3례 (14.3%)씩 있었다. 한 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질환이 있는 부위의 대동맥을 인조혈관으로 치환하는 수술을 시행하였고, 한 예 에서만 가성동맥류로 인한 질환으로 진단되어 동맥벽의 열상\ulcorner위를 일차봉합하였다. 대동맥 교차차단시 근위부의 고혈압 및 그로인한 뇌척수액압 증가를 막고, 원위부의 허혈상태의 교정 및 척수허혈을 방지하고, 혈역학적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우회술을 시행하였는데 21명의 환자 중, 12례(57.1%)에서는 대퇴동맥과 대퇴정맥, 또는 대퇴동맥과 폐동맥에 캐늘라를 상관하여 부분적 체 외순환을 시행하였고, 4례 (19.0%)에서는 Biopump를 좌심실심이와 대퇴동맥에 상관하여 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체와순환술과 일시적 완전순환정지를 이용한 예가 2례 (9.5%), Gott씨 도관을 이용한 단락술을 실시한 예가 1례 (4.7%) 있었으며, 우회술물 시행하지 않고 단순 대동맥 교차차단만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도 2례 (9.5%) 있었다. 수술후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5례 (23.8%)에서 일측 성대신경 손상으로 인한 애성이 발생하였고, 창상감염이 4례(19.0%), 하반신 마비가 2례 (9.5%), 유미흉이 1례 (4.7%)에서 발생하였다. 병원사망율은 9.5%로 2례 있었고, 만기 사망례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중요합병 증 발생율과 사망율이 비교적 낮았고, 외래 추적조사 결과 퇴원환자 모두 양호한 건강상태를 유지 하고 있었기에, 흉복부 대동맥류의 丙珦岵\ulcorner치료는 이제 더이상 고위첨도의 수술이 아니라고 여겨지며, 수술의 적응증이 되는 환자에게는 조기에 수술을 권유하는 것이 좋으리라 판단된다.

  • PDF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 내막 파열의 위치에 따른 수술 성적의 분석 (Clinical Analysis of the Operative Results of the Type A Aortic Disse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Intimal Tear)

  • 김혁;정기천;지행옥;강정호;정원상;이철범;전순호;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17-523
    • /
    • 2004
  • 배경: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 내막 파열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막 파열의 위치에 따른 수술 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로 수술받은 18명의 환자에서 내막 파열이 상행대동맥에 존재했던 경우(Group I, 11명)와 대동맥궁이나 하행대동맥에 위치하거나 대동맥 벽 내 혈종 (intramural hematoma)만이 있었던 경우(Group II, 7명)로 나누어 술 전, 술 중 소견, 수술 방법, 합병증, 사망 원인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 체외순환 시간, 대동맥 차단 시간 및 순환 정지 시간은 Group I에서 각각 381.5$\pm$81.0분, 223.5$\pm$42.5분, 146.4$\pm$34.8 분, 36.5$\pm$17.4분이었고, Group II에서는 각각 461.7$\pm$54.0분, 252.5$\pm$45.3분, 162.5$\pm$45.3분, 47.0$\pm$14.4분으로 Group II에서 더 길었다. 전체적으로 5명이 사망하여 27.8%(5/18)의 사망률을 나타냈으며 Group I에서는 9.1% (1/11), Group II에서는 57.1% (4/7)로 Group I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3). 사망 원인으로는 출혈이 Group I에서 1명, Group II에서 2명, 저심박출 및 다발성 장기 기능 부전 1명, 술 후 복부대동맥 파열 1명이었다. 결론: 내막 파열이 상행 대동맥에 존재하는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의 수술 사망률은 크게 높지 않으나 내막 파열이 대동맥궁부 또는 하행대동맥에 위치했을 때 상행대동맥만을 대치한 경우 아직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술 성적의 향상을 위해서는 내막 파열 부위를 수술 범위에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Double Primary Aortoenteric Fistulae: A Case Report of Two Simultaneous Primary Aortoenteric Fistulae in One Patient

  • Lee, Chung Won;Chung, Sung Woon;Song, Seunghwan;Bae, Mi Ju;Huh, Up;Kim, Jae H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5호
    • /
    • pp.330-333
    • /
    • 2012
  • Aortoenteric fistula is a rare but potentially fatal condition causing massive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particular, double primary aortoenteric fistulae are vanishingly rare. We encountered a 75-year-old male patient suffering from abdominal pain, hematochezia, hematemesis, and hypotension. His computed tomography images showed abdominal aortic aneurysm and suspected aortoenteric fistulae. During surgery, we found two primary aortoenteric fistulae. The one fistula was detected between the abdominal aorta and the third portion of the duodenum, and the other fistula was detected between the abdominal aorta and the sigmoid colon. We conducted the closure of the fistulae, the exclusion of the aneurysm, and axillo-bifemoral bypass with a polytetrafluoroethylene graft.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 no complications on the 21st postoperative day.

심폐바이패스시 대동맥캐늘라에 대한 M-NUMBER의 임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M-number for Aortic Cannulas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김원곤;박성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10-516
    • /
    • 1996
  • 심폐바이패스시 사용되는 캐늘라의 ,EB거는 전통적으로 French number로 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 표시법은 단순히 캐늘라의 외경 만을 나타낼 뿐이지 캐늘라의 중요한 특성인 압력-유량 관계를 나타내 지는 못한다. 최근 캐늘라의 압력-유량 특성을 잘 나타낼 수있는 M-number라는 새로운 표시법이 개발 되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어떤 캐늘라의 M-number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알게 되면 그 캐늘라의 압 력-유량 관계를 손쉽게 파악할 수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과연 실험적으로 측정된 M-number가 실제 임상적으로 심폐바이 패스에 적용될때 어떤 상관 관계를 가지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모두 50명의 소아 심장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시 사용되는 3가 지 크기의 대동맥 캐늘라(Argyle 10 Fr, 14 Fr, 16 Fr)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실험적으로 산 출된 M-number와 임상 M-number 간에는 강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임상 M-number가 실 험 M-number에 비해 0.35~0.55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임상 M-number는 또한 체온이 하강할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는 즉 체온과는 역의 상관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저 체온으로 인한 態\ulcorner점도의 상승 때 문으로 판단되었다. 체온 하강에 따를 M-number의 이러한 변화는 높은 M-number 를 가진 캐늘라에서 더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료 실험적으로 측정된 M-number는 심폐바이패스시 대동맥캐늘라에 임상 적용될 때의 M-number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체온 하강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 PDF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임상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Cardiac Surgery Using Minimal Incision)

  • 김광호;김정택;이서원;김혜숙;임현경;이춘수;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73-378
    • /
    • 1999
  • 배경: 최근에 시작된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은술 환자에게 미용상 효과가 좋으며, 통증이 적으며 빠른 회복을 가져온다. 본 교실에서는 그간 실시한 소절개심장수술의 현황을 임상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이후 1998년 11월까지 총 31례의 소절개술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실시하였다. 남녀 비는 17:14였으며, 1세에서 75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흉골좌연종절개술을 실시한 예는 9례로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공심폐기의 사용없이 박동상태에서 내유동맥으로 좌전행지관상동맥에 우회술을 실시하였는데, 그 중 1례는 내유동맥의 비꼬임으로 술 후 1주일 째 재수술한 경우였다. 흉골우연종절개는 1례로 승모판교련절개술 후 재발된 협착증에 대해 승모판치환술을 실시한 경우였다. 소흉골절개선으로 수술한 예는 21례로, 승모판치환 및 삼첨판성형술이 6례, 승모판치환술 5례, 중복판치환술 2례, 대동맥판치환술 1례, 좌심방점액종 1례, 심방중격결손증 2례, 심실중격결손증 2례, 우심실 자창 1례였다. 처음 5례는 T형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으나 경험이 쌓이면서 대동맥기저부의 노출이 좋고 흉골 봉합시 안정감이 높은 화살모양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시간, 인공심폐 구동시간, 대동맥차단시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수술 1일까지의 흉관배액양, 흉관 거치기간, 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은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선 예들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 예는 2례였으며 1례는 흉골소절개선으로 승모판치환 수술 1일에 대동맥 삽관부위의 파열로 출혈 사망하였고, 다른 1례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2일에 부정맥으로 사망하였다. 사망의 원인과 수술절개선의 선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합병증은 뇌색전증 1례, 창상의 혈종 1 례가 있었다. 결론: 소절개선으로도 정중흉골절개선과 마찬가지로 심장 수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