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a,descending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6초

식도 내 금속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대동맥 식도 누공 -치험 1례- (Aorto-Esophageal Fistula Complicated by Esophageal Metalic Stent -A case report-)

  • 윤영철;조광현;김기봉;전희재;최강주;이양행;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79-482
    • /
    • 2002
  • 식도 내 스텐트에 의한 대동맥 식도 누공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사망률이 높아 생존자에 대한 보고가 아주 가끔 있을 뿐이다. 본 교실에서는 사고로 양잿물 음독 후 발생한 식도 협착 환자에서 식도 내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대동맥 식도 누공 환자에 대하여 내시경적 진단과 2단계에 걸친 수술로 성공적인 치료를 경험하였다. 수술은 일차적으로 식도 재거술, 하행 흉부 대동맥 누공 부위의 일차 봉합 그리고 위루술을 실시하였다. 환자가 일차 수술 후 회복된 다음 식도 재건술의 일환으로 우측 대장을 흉골 후면으로 위치시키는 경부 식도-대장-위 문합술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HeartMate 3 Implantation via Only Left Thoracotomy: A Case Report

  • Mi Young Jang;Jun Ho Lee;Su Ryeun Chung;Kiick Sung;Wook Sung Kim;Yang Hyun C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3호
    • /
    • pp.224-227
    • /
    • 2023
  • Median sternotomy is a standard surgical technique used for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implantation. However, if sternotomy has a prohibitive surgical risk, LVAD implant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only left thoracotomy. We managed a patient with end-stage heart failure who had recently undergon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elsewhere. The patient also had a deep sternal wound infection and bacteremia. Because of refractory cardiogenic shock, we perform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After multiple mediastinal washouts and omental flap placement, ECMO was converted to extracorporeal LVAD (from the left ventricular apex to the descending aorta) through a left thoracotomy. The extracorporeal LVAD was maintained for 18 days and replaced by the HeartMate 3 LVAD. The patient was discharged in good condition 115 days after CABG.

외상성 흉부 하행 대동맥 파열에서 원위부 관류 없이 시행한 겸자 봉합술 (Clamp and Sew Technique without Distal Perfusion for the Management of Traumatic Descending Thoracic Aortic Rupture)

  • 석양기;이종태;김근직;박일;조준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8호
    • /
    • pp.558-563
    • /
    • 2007
  • 배경: 외상성 대동맥 파열은 사망률이 매우 높은 치명적인 손상이며, 환자의 경과는 동반된 손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술 시기와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 및 방법: 겸자 봉합술로 수술한 15명의 외상성 흉부 하행 대동맥 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동반 손상 여부, 수술 후 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사망률은 6.68% (1예)로 환자는 수술 중 사망하였으며, 지연 혈복강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평균 수술 시간 및 대동맥 겸자 시간은 $231{\pm}53.1$분, $13.1{\pm}5.3$분이었다. 1예에서 수술 후 10일째, 장 폐쇄 증상을 호소하여 시행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기계적 장 폐쇄가 발견되어 구획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외상성 대동맥 파열은 여러 방법으로 수술할 수 있지만, 그중 겸자 봉합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 재수술 치험 1예 (Redo CABG through a Left Posterolateral Thoracotomy - A case report-)

  • 송창민;김미정;정성철;김우식;신용철;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66-368
    • /
    • 2008
  •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 협심증이 재발한 46세 남자 환자로 입원 후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 상에서 과거에 없었던 첫 번째 대각지의 폐쇄가 확인되어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우측와위에서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시행하였고 심폐바이패스 없이 우측 요골 동맥을 이용하여 하행 흉부 대동맥과 대각지 사이에 문합을 시행하였다. 술 후 시행한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조영술상에서 문합부위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대각지에 국한된 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통해 관상동맥 우회 재수술을 시행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하행 대동맥 내 스텐트-도관 삽입 후 발생한 역행성 대동맥 박리 - 2예 보고 - (Retrograde Aortic Dissection after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for Descending Aorta - 2 case reports-)

  • 홍순창;김정환;이희정;윤영남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58-763
    • /
    • 2010
  • 흉부대동맥 질환에서 대동맥 내에 스텐트-도관(stent-graft)을 삽입하는 흉부 혈관내 대동맥 성형술(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은 최근 이의 적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 술식은 endoleak으로 인한 치료 실패, 시술 중 안착지점(landing zone)에서 발생하는 혈관벽의 손상으로 인한 역행성 대동맥박리 및 스텐트-도관 감염으로 인한 대동맥 파열 등의 심각한 합병증 발병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하행 대동맥 박리 혹은 외상성 하행 대동맥 파열에서 적용된 TEVAR 후 발생한 2예의 역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 경험을 문헌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심실중격결손의 크기 측정에 있어서 술전 검사의 의의 (Significance of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in Predicting the Defect Siz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 김근;장봉현;이종태;김규태;이상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3호
    • /
    • pp.289-295
    • /
    • 1992
  • We evaluate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ed defect size at preoperative examination and the actual defect size at operation room, by examining 69 cases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operated at the depar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8 to December 1990. We excluded cases associated with other cardiac anomalies. Of the 69 cases, 39 are male and 30 female, forming 1.3:1 sex ratio in males favor. Their age range from 6 months to 16 year, and 4.3 on the average Their body weights are from 6 to 45kg and 15 on the average. According to Soto`s classification, perimembranous type costitutes 42 cases[61%], doubly committed subarterial type 23 cases[33%], and muscular type 4 cases[6%]. The average diameter of defect size is 8.0$\pm$3.5mm measured in 2D-echocardiogram, 5.6$\pm$3.4mm in angiogram, and 7.4$\pm$4.4mm in operative field.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from 2D-echocardiogram and actual defect size[p=0.001],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specially in the cases without anurysmal formation, they are nearly the same. Cardiothoracic ratio, pulmonary to systemic flow ratio, pressure ratio and resistance ratio als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Main pumonary artery to descending aorta diameter ratio is correlated with the actual defect size.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from angiogram and actual defect size with some difference.

  • PDF

공압식 심실보조장치의 개발 및 동물실험 (Development and Animal Tests of Pneumatic Ventricular Assist Device)

  • 박영환;김상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47-252
    • /
    • 1997
  • 심장이식시에 가교 역할을 담당하거나 수술 후 심부전에 빠진 심장을 보조할 공압식 심실보조장치를 개발하여 동물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 에 이용한 심실보조장치는 소아용과 성 인용의 두 가지 종류로서 박동장이 각각 34cc와 70cc이다. 심실 재료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하여 항혈전성을 높였다. 총 10마리의 동물실험을 시행하였다. 심실보조장치의 혈액펌프는 좌심방과 대동맥에 연결관을 이용하여 이식하였다. 심실보조장치의 평균 박출량은 펌프 박동수가 60회일 때 성 인의 경우 2.38 L/min였고 소아용의 경우 0.41 L/min였다. 생존시간은 최고 26시간이었다. 가장 큰 합병증은 출혈이었고 주 사망원인은 심부전 및 폐부전이었다. 심실보조장치 자체 에 대한 결함때문에 일어난 실패는 없었다. 현재까지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심실보조장치를 발전시키면 임상에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폐격리 없이 좌하엽이 체순환 동맥으로부터 공급되는 기형적인 혈관 2예 (Anomalous Systemic Arterial Supply to Normal Basal Segments of Left Lower Lobe : A Report of Two Cases)

  • 이기만;안종준;김병철;정인두;신제균;정종필;황재철;서재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710-717
    • /
    • 2001
  • 본 증례에서는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두 환자에서 폐격리증의 소견이 없이 좌측 기저폐구역에 흉부 하행 대동맥에서 기인하는 기형적인 전신동맥의 혈액공급, 좌측 상폐구역을 제외한 하폐동맥의 결손과 함께 좌측 폐정맥을 거치어 좌심방으로 유입되는 혈관기형을 경험하였기에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폐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 내 평활근종 -1예 보고- (Endobronchial Leiomyoma Combined with Pulmonary Sequestration -A case report -)

  • 이석열;오재윤;이승진;이철세;이길노;조현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7호
    • /
    • pp.556-560
    • /
    • 2006
  •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42세 여자환자가 단순 흉부 촬영상 좌측 폐의 무기폐 소견을 보였다. 기관지 내시경과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상 좌측 주기관지에 종괴가 발견되었다. 조직검사상 종괴는 기관지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었다. 개흉술을 실시하여 좌측 주기관지절개를 하고 종괴를 제거하자 중엽은 정상적으로 환기가 되었다. 또한 하행대동맥에서 좌폐하엽으로 공급되는 이상동맥이 발견되어 좌폐하엽 절제수술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병리검사상 좌폐하엽은 내엽형 폐격리증으로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기관지 평활근종과 내엽형 폐격리증이 공존하는 드문 질환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폐분획증이 없이 하행 흉부 대동맥에서 분지된 좌측 바닥 구역의 이상 기시 체혈관 - 1예 보고 - (Anomalous Systemic Arterial Supply to the Left Basal Segments without Sequestration from Descending Thoracic Aorta - A case report -)

  • 김혁;정원상;장효준;강정호;김영학;김지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12-515
    • /
    • 2008
  • 폐분획증이 없는 좌측 바닥 구역의 이상 기시 체혈관은 폐분획증의 범주 안에 속하는 매우 드문 선천성 질환이다. 하지만 폐분획증과는 달리 정상적인 기관지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다. 술전에 진단된 폐분획증이 없는 좌측 기저 분엽의 이상 기시 체혈관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치험하였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