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proliferative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6초

Differential Effects of Resveratrol and its Oligomers Isolated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Peony) on Proliferation of MCF-7 and ROS 17/2.8 Cells

  • Kim, Hyo-Jin;Lee, Won-Jung;Park, Yun-Hee;Cho, Sung-Hee;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56-364
    • /
    • 2003
  • A methanol extract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Paeoniaceae, peony) was found to possess different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four different human cancer cell lines: Hela, MCF-7, HepG2 and HT-29. Furthermore, five different methanol (20, 40, 60, 80 and 100 % MeOH) fractions obtained by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 of the seeds on a Diaion HP-20 column exhibited differential antiproliferative effects against the above four cancer cell lines. Among five fractions, the 60 % MeOH fraction showed relatively lower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MCF-7 estrogen-sensitive breast cancer cell than the other cancer cell lines. Systematic separation of 60% the MeOH fraction by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s led to the isolation of four known stilbenes, trans-resveratrol (1), trans-(+)- $\varepsilon$ -viniferin (2), gnetin H (3) and suffruticosol B (4). The four stilbenes (1∼4) exerted differential biphasic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of MCF-7 cells in a similar manner as genistein, a soybean isoflavone used as a positive reference, 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1.0 to 200 $\mu$M. Three stilbenes (1 ∼ 3) weakly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MCF -7 cells at doses below 10 JIM. However, strong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CF-7 cell were exerted by extract 1 at a dose of 200 JIM, and by 2 and 3 at doses above 25 $\mu$M. In contrast, 4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MCF-7 cell at a dose below 25 $\mu$M, but stimulated cell proliferation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mu$M. All four stilbenes (1∼4)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ROS 17/2.8 osteoblast-like cells in the range of 10$^{-10}$ ∼10$^{-1}$ $\mu$M. Compound 1 exhibited especially potent proliferative activity, although its activity was weaker than that of genistein. Additionally, three resveratrol oligomers (2∼4) also exhibited concentration-dependently moderate proliferative activity, but less than that of 1.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veratrol, and its dimer and trimers from the seeds of Paeonia lactiflora may act as a phytoestrogen, but in a somewhat different manner from that of genistein.

겨우살이 물추출물 첨가 김치의 A549 인체 폐암 세포 증식저해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istletoe Extract Added Kimchi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 길정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507-1514
    • /
    • 2017
  • 김치는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발효식품이며, 여러 연구에서 암예방, 항비만, 항염증 등의 활성을 가지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김치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항암기능성이 알려진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개발한 암환자용 김치(kimchi B)의 암세포 증식억제능 및 그 기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인체 폐암 A549세포를 이용하여 증식저해 효과와 apoptosis 유도 및 관련된 mRN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표준화김치(kimchi A)를 사용하였다. A549 인체 폐암 세포를 이용한 성장 저해시험에서 MTT 방법과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암세포 수를 개수한 결과, 김치를 첨가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더 높은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DAPI 염색을 통해 암세포 핵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DNA단편이 발견되어, A549 인체 폐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는 apoptosis에 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Apoptosis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Bcl-2 family (Bax, Bcl-2, Bcl-xL) 발현과 p53, p21 발현을 측정한 결과,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Bax 유전자는 증가하고 Bcl-2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여, 이들 유전자 발현과 관련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은 p21 발현 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아 kimchi B를 처리한 A549인체 폐암세포는 p53 비의존적인 p21 발현증가에 의해 암세포 증식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암환자들을 위한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연안지역에 서식하는 갯강활의 항산화 및 암세포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the Halophyte Angelica japonica Growing in Korean Coastal Area)

  • 사지와니 자야팔라;오정환;공창숙;심현보;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49-761
    • /
    • 2022
  • 본 연구는 갯강활 추출물과 그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갯강활의 건조 시료를 차례대로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로 2회, 그리고 메탄올(MeOH)로 2회 추출한 다음, 그 조추출물을 합한 후에 다시 용매극성에 따라 n-hexane, 85% 메탄올 수용액(85% aq.MeOH), n-buta- nol(n-BuOH) 및 물 분획층으로 분획하였다. 합해진 조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과 peroxynitrite 소거능, 세포내 활성산소종(ROS) 생성, DNA 산화, NO 생성, 철이온 환원력(FRAP)에 의해 평가되었다. 조추출물은 모든 항산화활성검색 시스템에서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용매분획들 중에서는 n-BuOH 및 85% aq.MeOH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이 활성은 시료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을 포함한 모든 시료들이 인간 암세포(AGS, HT-29, MCF-7, HT-1080)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HT 1080을 이용한 wound healing assay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이동을 억제하였다. 시료 중에는 85% aq.MeOH 용매분획이 HT-1080 세포의 침입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갯강활을 이용하여 항산화제 및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tioxidant, Antiinflama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trawberry Extracts

  • Hong, Ji-Young;Song, Su-Hyun;Park, Hyen-Joo;Cho, Yong-Jin;Pyee, Jae-Ho;Lee, Sang-Koo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3호
    • /
    • pp.286-292
    • /
    • 2008
  • Strawberry is widely consumed in diet and has been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its potential for human health benefits. Strawberry contains a diverse range of phytochemicals but the biological activities with molecular mechanisms are poorly elucidated ye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extracts of strawberry (Maehyang cultivar) o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potential against various cancer cells were investigated. The strawberry extracts (SE) of Maehyang cultivar show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addition, SE inhibited the growth of human colon (HCT-116), lung (A549), stomach (SNU-638) and fibrosarcoma (HT-1080) cancer cells. The strawberry extracts also exhibited the inhibitory effect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suppressed LPS-induc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rawberry extracts (Maehyang cultivar) might have antioxidant, antiinflammotry, and anticancer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