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utagenicity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46초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ell Wall and Cytosol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Park, Kun-Young;Kim, So-Hee;Son, Tae-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29-333
    • /
    • 1998
  • Cell wall (lactic acid bacteria-sonicated precipitate ; LAB-SP) and cytosoll(lactic acid bacteria-sonicated supernatant ; LAB-SS)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kimchi fermenting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acidilactici, with Lactobacillus acidophillus isolated from yogurt. Using the Ames mutagenicity test and SOS chormotest system, the antimutagenic acitivity of those cell fractions was studied . One hundered eighty $\mu$l of LAB-SP from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excepting Pediococcus acidilactici, supressed the mutagenicity of 4-nitroquinoline-1-oxide(4-NQO) in Ames mutagenicity test and SOS chromotes system , by above 90% and 60% , respectively. LAB-SP from lactic acid bacteria also inhibited the mutagenicity mediated by 3-amino-1-methyl-5H-pyrido [4,3-b]indole (Trp-P-2).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acidphillus had higher antimutagenicity against Trp-P-2).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Lactobacillus acidphillus had higher antimutagenicity against Trp-P-2 than the other lactic acid bacteria. However, LAB-SS of lactic acid bacteria did not show any mutagenic activity against 4-NQO in Ames mutagenicity test and SOS chromotest systems. On the mutagenicity of MEIQ and Trp-P-2 , LAB-S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or dairy products exhibited a weaker inhibitory effect than LAB-SP of those bacteria.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whether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re viable or nonviable, antimutagenic acitivity was still effective. We suggest that the strong, antimutaganic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might be found in the cell wall fraction , rather than in the cytosol fraction.

  • PDF

Lactobacillus spp.와 Bifidobacterium spp.에 의한 돌연변이원물질 2-Nitrofluorene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특성 (Antimutagen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a spp. and Bifidobacterium spp. against 2-Nitrofluorene)

  • 윤영호;조중근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83-89
    • /
    • 1998
  • 젖산균에 의한 항돌연변이원 활성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돌연변이원 물질 2-nitrofluorene에 대한 Lactobacillus spp.와 Bifidobacterium spp.의 항돌연변이원 활성의 균주간의 차이, 활성의 분포 및 활성의 최적조건을 Salmonella typhimurium TA 9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spp.와 Bifidobacterium spp.는 평균 20.29% 수준의 억제활성을 보였고 Lactobacillus spp.는 20.53%와 Bifidobacterium spp.는 21.63%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균주별로 가장 큰 활성을 보인 균주는 L. plantarum CU 722로서50.34%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L. plantarum CU 722의 탈지유 배양액에서 항돌연변이 활성의 분포를 측정하였던 바 세포벽 성분 및 세포질 성분에서 34.91%와 24.48%로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세포를 함유하지 않은 배양액에서는 매우 낮은 활성이 나타났다.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는 조건으로 균주의 배양시간은 24시간 배양액에서, 돌연변이원 물질과 젖산균 배양액 및 시험균주와의 예비배양시간은 60분으로 유지할 때, 배양시간은 48시간 이상으로 할 때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활성을 보였다.

  • PDF

Trp-P-1과 2-AF에 대한 산채류 생즙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dible Mountain Herb Juices Against Trp-P-1 and 2-AF)

  • 한규석;함승시;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61-168
    • /
    • 1992
  •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두 균주를 이용한 Ames Assay를 실시하여 신채류 생즙의 돌연변이원성과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돌연변이 유발물질로는 Trp-P-1과 2-AF가 사용되었다. 쑥, 들미나라, 두릅, 돌나물 및 도라지의 생즙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산채류 생즙의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는 쑥, 들미나리, 두릅이 가장 강하였으며 다음은 돌나물이었고, 도라지는 거의 항돌연변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TA98과 TA100을 이용한 실험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돌연변이 물질로 Trp-P-1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가 2-AF를 사용한 실험결과에 비하여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 PDF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식품 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Salmonella serotype Typhimurium TA100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 Hazardous Microorganisms and Antimutagenicity against Salmonella serotype Typhimurium TA100 of an Ethanol Extract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L.)

  • 김세령;원지혜;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7-26
    • /
    • 2011
  • 본 연구는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측정하여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E. coli, E. coli O157:H7, P. aeruginosa,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B. cereus, S. aureus의 7가지 주요 식품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paper disc diffusion assay 및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으며 24시간 동안 균의 생육억제도를 측정하였다. Paper disc assay 결과 E. coli와 E. coli O157:H7을 제외한 5가지 균에 대한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뚜렷한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Micro-well dilution법으로 확인한 최소저해농도의 범위는 E. coli와 E. coli O157:H7을 제외한 5가지 균에 대해서 0.625~2.5 mg/mL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도 실험결과도 최소 저해농도 결과와 일치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한 Ames test 결과, 5 mg/plate의 농도에서 직접 돌연변이원인 sodium azide와 4-NQO에 대한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이 각각 72.42와 89.85%로 나타나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우수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유 에탄올 추출물이 주요 식품위해성 세균들에 대한 우수한 항균성과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한 높은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시마(Laminaria japonica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2. 저분자 alginate의 항돌연변이효과와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Cd) 결합능의 변화-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2. Changes in Antimutagenicity Effects and Cholesterol, Glucose and Cadmium(Cd) Binding Capacity of Depolymerized-)

  • 김육용;이근우;김건배;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8-392
    • /
    • 2000
  • Alginate의 광범위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평균분자량이 약 10,000 (HAG-10), 50,000 (HAG-50) 및 100,000 (HAG-100) 정도의 저분자 alginate를 제조하였으며, 이 저분자 alginate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과의 결합능을 측정하여 그 물리${\cdot}$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Ames test로 저분자 alginate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flatoxin B_1 (AFB_1)$에 대한 간접돌연변이원성과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에 대한 직접돌연변이원성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HAG-10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HAG-50, HAG-100 및 alginate의 순으로 나타나 저분자화가 진행될수록 그 효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분자 alginate의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에 대한 결합능은 alginate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HAG-50과 HAG-100은 유사하였으며, HAG-10은 결합능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 PDF

송화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적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Pine Pollen)

  • 박정섭;안병용;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3-309
    • /
    • 2003
  • 직ㆍ간법 변이원과 산화적 돌연변이원에 대한 송화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에 대하여 Ames test로 조사하였다. 메탄을 추출물을 이용하여, 10종의 돌연변이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색한 결과 S. typhimurium TA98에서는 daunomycin, AFB$_1$과 Trp-P-1의 변이원성에 대해서만 각각 17.8, 82.2, 80.9%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S. typhimurium TA100에서는 AFB$_1$의 변이원성에 대해서만 72.3%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 typhimurium TA102, 104에서 t-과산화부틸과 $H_2O$$_2$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메탄을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는 t-과산화부틸을 돌연변이원으로 한 S. typhimurium TA102에서 16.3%의 억제효과를 선택적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메탄을 추출물을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순차용매 분리한 다음, 이 분획물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S. typhimurium TA98에서 daunomycin, AFB$_1$과 Trp-P-1에 대해서 플로로포름 분획물은 각각 55.6, 93.7, 93.5%,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11.4, 74.3, 85.2%, 부탄을 분획물에서는 10.9, -5.6, 6.8%, 물 분획물은 각각 -3.4, -3.8, 4.6%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100에서는 AFB$_1$에 대해 클로로포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각각 95.1, 62.5%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 typhimurium TA102에서는 t-과산화부틸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돌연변이에 대해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93.6%로 매우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기타 분획물에서는 매우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