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ing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임상에서 분리된 Acinetobacter baumannii의 항생제 내성 패턴과 유전학적 특징 (Antibiotic Resistant Patterns and DNA Fingerprint Analysis of Acinetobacter baumannii from Clinical Isolates)

  • 김민지;이시원;이도경;박재은;강주연;박일호;신혜순;하남주
    • 약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32-138
    • /
    • 2013
  • Acinetobacter baumannii is gram-negative bacilli that can be widely found in environments. Recently, A. baumannii emerged as a serious nosocomial infection. A total of 92 A. baumannii were isolated from hospitalized patients in Seoul, Korea, between December 2010 and April 2011.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was investigated using CLSI agar dilution methods. Tigecycline non-susceptible A. baumannii isolates were investigated by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 sequence-based PCR (rep-PCR).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pidemiological relationships. All clinical isolates showed high-level resistance to the most commonly used antibiotics: Ciprofloxacin (87.0%), Ampicillin/sulbactam (82.6%), Cefotaxime (81.5%), Ceftazidime (80.4%). Moreover, 50.0% of these isolates were non-susceptible to tigecycline. When evaluated by RAPD analysis, generated distinct band ranging in size from 1kb to 8k band varying from 4 to 10 bands. Stricter surveillance and more rapid detection are essential to prevent the spread of multi drug resistant A. baumannii.

개와 고양이에서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의 내성인자 분포조사 (Study on the Methicillin-resistant Gene Distribution of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and Cats)

  • Pak, Son-I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2-307
    • /
    • 2003
  • 인의학에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균주는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소동물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8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개와 고양이에서 분리된 136개의 포도상구균 분리주 (coagulase 양성 87주, coagulase 음성 49주)에 대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이들 분리주에서 메티실린 내성 유전자인 mecA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136개 분리주중 43주 (31.6%)가 mecA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고, 유전자의 분포율은 균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43주의 mecA 양성균주 중 31주 (72.1%)가 oxacillin 내성을 보여 mecA 양성균주가 반드시 oxacillin 내성과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mecA 양성균주일수록 oxacillin 내성율이 높았는데 S. intermedius의 71.4% (p<0.001), coagulase 음성균주의 경우 72.4%가 내성을 보였다 (p<0.001). 분리주의 94주(69%)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특히 31주(22.8%)는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동시에 내성을 보였다. Penicillin 항생제에 내성율이 71.7%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국내 소동물에서 mcA 양성균주가 존재하며, 이러한 균에 의해 유도된 감염증을 치료할 때 다제내성의 특성 때문에 항생제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행성 괴사성 종격동염에 대한 수술 (Surgical Treatment for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

  • 류경민;서필원;박성식;김석곤;이재웅;류재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82-88
    • /
    • 2008
  • 배경: 하행성 괴사성 종격동염은 구인두에서 염증이 발생한 후 경부간막을 통해 종격동으로 진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종격동 결체조직의 중증 염증질환이며,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과 적극적인 배농술에도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하행성 괴사성 종격동염으로 진단되어 치료한 환자들의 수술 전 상태, 수술방법, 수술 후 경과등에 대한 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7년 8월까지 8명의 환자가 하행성 괴사성 종격동염으로 진단되어 치료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진단 즉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면서 응급 배농술을 시행하였고, 세균학적 감수성 검사에 따라 항생제를 선택, 사용하였다. 수술방법으로는 경부수술만 시행한 경우가 2예, 경부 및 개흉술을 통하여 수술한 경우가 6예였다. 결과: 증상발현부터 내원까지의 기간은 평균 $4.6{\pm}1.8$일($1{\sim}9$일)이었다. 감염의 원인으로는 치성감염이 4예(50%), 인두 농양이 2예(25%), 불명확한 경우가 2예(25%)였다. Endo 등의 분류에 따라서는 I형이 2예, IIA형이 3예, IIB형이 3예였으며, 원인균은 6예에서 동정되었는데, 연쇄상구균이 4예, 포도상구균이 1예, 클렙시엘라균이 1예였다. 개흉술의 비율은 75%였다. 수술 후 2명의 환자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25%였고, 사망의 원인은 모두 패혈증성 쇼크에 의한 다발성 장기부전이었다. 사망 환자들은 모두 초기 배농을 경부절개만 시행하였던 경우였으며, 염증조절이 실패한 경우였다. 결론: 하행성 괴사성 종격동염은 조기진단이 필수이며, 진단 후 혐기성 균을 제어할 수 있는 항생제를 포함한 충분한 항생제 투여와 함께 즉각적인 배농을 시행하여야 한다. 배농시에는 비록 국한적인 염증이라고 판단되더라도 경부절개 및 적절한 흉부접근을 통해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하겠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pneumoniae의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유전자형 및 분자유전학적 특성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Genes in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 정경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6-33
    • /
    • 2006
  • Recently, the rapid increase in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is study, the epidemiologic features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SBL among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genotype of the ESBL and patterns of chromosomal DNA from PFGE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were observed. A total of 53 ESBL-producing clinical isolates (30 of E. coli and 23 of Klebsiella pneumoniae) were collecte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the period of June to July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The antibiotic resistance frequency of those 53 strains was tested by the disk agar diffusion method with the result that all the strains were resistant to cephalothin. To other antibiotics, the resistance rates of E. coli (30 isolates) were in order of ceftazidime (90.0%), cefotaxime and aztreonam (respectively 83.3%). Also, the resistance rates of K. pneumoniae (23 isolates) were in order of aztreonam (78.3%), ceftazidime (73.9%) and cefotaxime (65.3%). Also the sensitivity of ceftazidime-clavulanic acid were 100% in E. coli and 95.7% in K. pneumoniae. And the sensitivity of cefotaxime-clavulanic acid was 96.7% in E. coli and 91.3% in K. pneumoniae. The types of the ESBL genes were determined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ong the 30 isolates of ESBL-producing E. coli, 6 (20.0%) have SHV only, 5 (16.7%) have TEM only and, 18 (60.0%) have both of TEM and SHV. Among the 23 isolates of ESBL-producing K. pneumoniae, 7 (30.4%) have SHV only, 2 (8.7%) have TEM only, and 14 (60.9%) have both of TEM and SHV. These results show that 52 strains, with only one exception, were confirmed as either TEM or SHV. The patterns of Xba I-digested chromosomal DNA of ESBL-producing E. coli and K. pneumoniae isolates were analyzed by PFGE. PFGE patterns of E. coli and K. pneumoniae were multiclonal, but many strains were grouped into a few types.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were clonal outbreaks or possible horizontal spread. In conclusion, the TEM and SHV ${\beta}$-lactamase are most widely spread in E. coli and K. pneumoniae in Korea. As these types are usually carried by plasmids, the spread of these ${\beta}$-lactamase genes could compromise the future usefulness of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E. coli and K. pneumoniae.

  • PDF

First Detection of $bla_{IMP-1}$ in Clinical Isolate Multi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from Korea

  • Jeong Seok-Hoon;Bae Il-Kwon;Sohn Seung-Ghyu;Park Kwang-Ok;An Young-Jun;Sung Kwang-Hoon;Jang Seon-Ju;Heo Myong-Jin;Yang Ki-Suk;Lee Sa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9호
    • /
    • pp.1377-1383
    • /
    • 2006
  • Among 46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s collected in 2004, two imipenem-resistant isolates were obtained from clinical specimens taken from patients hospitalized in Busan, Republic of Korea. Two carbapenemase-producing isolates were further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resistance. These isolates were analyzed by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microbiological tests of carbapenemase activity, determination of pI, transconjugation test, enterobacterial repetitive consensus (ERIC)-PCR, and DNA sequencing. Two cases of infection by A. baumannii producing the IMP-1 ${\beta}$-lactamase were detected.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a modified cloverleaf synergy test and EDTA-disk synergy test. Isoelectric focusing of crude bacterial extracts revealed nitrocefin-positive bands with a pI value of 9.0. PCR ampl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mplicons by direct sequencing indicated that the isolates carried a $bla_{IMP-l}$ determinant.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a multidrug resistance phenotype, including penicillins,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carbapenems, and aminoglycosid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bserved imipenem resistance of two Korean A. baumannii isolates was due to the spread of an IMP-1-producing clone. Our microbiological test of carbapenemase activity is simple to screen class B metallo-${\beta}$-lactamase-producing clinical isolates to determine their clinical impact and to prevent further spread. This study shows that the $bla_{IMP-l}$ resistance determinant, which is emerging in Korea, may become an emerging therapeutic problem, since clinicians are advised not to use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imipenem, and aminoglycosides. This observ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ving effective control measures in Asian hospitals, such as early detection of colonized patients, isolation procedures, and a judicious use of antibiotics.

제주지역 야생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분변의 호기성 장내 미생물 분포 (Distribution of Aerobic Intestinal Microorganisms in the Feces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in Jeju)

  • 김지로;오윤희;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9-65
    • /
    • 2024
  • 제주특별자치도에 서식하는 등줄쥐를 포획하여 대장을 포함한 내부장기에서 분변 검체를 채취한 후, 장내 미생물을 호기적 배양하여 등줄쥐 분변에서 배양된 장내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등줄쥐 분변 36개의 검체를 호기성 배양된 세균 집락을 그람염색 한 결과 모든 검체에서 그람음성막대균이 우세하게 관찰되었다. 36 검체 중 그람음성막대균은 36 균주(100%), 그람양성알균은 21 균주(58.3%), 그람양성막대균은 15 균주(41.7%)로 나타났으며 그람음성알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36개의 검체에서 배양된 그람음성막대균은 Vitek 2 system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모두 Escherichia coli (E. coli) 균종으로 동정되었으며, 1개 검체는 E. coli 균종과 Enterobacter cloacae 균종이 동시에 동정되었다. 분리된 E. coli 36 균주 중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1 균주만 cefoxitin 항균제에 중등도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등줄쥐의 분변에서는 병원성 세균은 존재하지 않았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02의 다양한 배양조건에서 어류 질병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02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 김동휘;문영건;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632-638
    • /
    • 2024
  • 다양한 조건의 배지 성분 및 pH, 배양온도에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02를 배양하여 제주도 넙치 양식장에서 분리된 어류 질병세균 9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Flexibacter maritimus, Staphylococcus caprae,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parauberis, Photobacterium damselae, Vibrio harveyi, Vibrio campbellii, Vibrio alginolyticus, Vibrio anguillarum가 동정되었다. 어류 질병세균에 대하여 florfenicol이 가장 큰 감수성을 보였고, 다음으로 gentamycin, neomycin이 감수성을 보였다. 또한 penicillin에 대하여 어류 질병세균이 가장 큰 내성을 가졌으며, 다음으로 amoxy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B. amyloliquefaciens JFP-02는 pH 9에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은 pH 6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양온도는 30℃에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 효과는 20℃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배지 성분에 따른 B. amyloliquefaciens JFP-02의 항균 활성은 탄소원 중 dextrin을 첨가 시 가장 높은 생육 활성과 항균 활성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 중 yeast extract를 첨가 시 가장 높은 생육활성과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무기염 중 MgSO4·7H2O, FeSO4·7H2O를 첨가 시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 효과는 KH2PO4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