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maxilla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5초

치료법을 달리한 상악골절후 부정유합 2예 (THE CARE OF DELAYED MALUNION AFTER MAXILLARY FRACTURE BY DIFFERENT METHODS:REPORT OF THREE CASES)

  • 유재하;이원유;류수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7-127
    • /
    • 1991
  • 현대 사회에서 외상의 특성은 다발성 손상이 빈발하는 것이며 상악골절시 생명을 위협하는 다발성 전신손상이 동반되면 수술이 지연되어 골절부의 지연된 부정유합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골절된 양상에 따라서는 관혈적 정복술의 적용여부가 고려되는데 특히 골절편의 분쇄가 심하면 수술시 골절부위의 이개 후 정상위치로의 이동이 어렵고 설사 골절편의 이동이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정상위치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쇄골절편의 상실량이 많아지면 골이식까지 시행해야 하는 등 외과적이술식의 적용에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악골절 후 통상 6주일 간의 시간경과가 없다면 오히려 상악골절편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방견인용 headgear 또는 headcap 을 사용한 교정적인 치료를 시도함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우기 reverse headgear를 이용한 치료법은 골절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유용함이 실험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입증된 만큼 이를 상악골절후 후퇴된 상악골의 전방견인에 적용할 경우 교정치료의 최대장애인 cortical bone의 연속성이 골절로 인해 끊어지고 섬유성 유착상태로 남게되어 교정력의 효과가 치아이동 뿐만 아니라 골편의 이동에 매우 유익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적이 분쇄양상인 한 환자에서 headgear와 headcap을 이용한 교정치료법을 5개월간 적용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골절양상이 분쇄형이 아닌 증례에서는 외상후 5주간 경과 되었지만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정상교합을 회복했으며, 심한 두부 손상으로 6개월만에 의식 회복을 한 LeFort I, II, III, 환자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교합기 상에서의 모형분석,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등을 시행한 후 새로운 골면에다 LeFort I -osteotomy with iliac bone graft를 시행해 정상교합 및 안모추형을 개선시켰기에 이를 보고한다.

  • PDF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 부정교합 환자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of Pediatric Malocclusion Pati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이소피아;송지수;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현홍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0-150
    • /
    • 2021
  • 이번 연구는 2017 - 2019년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5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골격 형태를 측모두부방사선 분석으로 파악하고 골격 형태와 관련된 임상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골격 형태에 따라 행해진 치료방법에 대해 조사하여 임상의가 교정치료 계획 수립시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령분포는 7세 연령군이 교정진단을 받은 환자 중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골격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4.2%로 가장 많았고 2급은 22.2%, 3급은 23.6%를 차지하였다. 골격성 1급의 경우 상하악 모두 후퇴인 환자가 34.4%, 골격성 2급의 경우 상악은 정상범주이나 하악이 후퇴인 경우가 39.5%, 골격성 3급의 경우 상악 후퇴 및 하악 전돌이 3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수직적 골격형태는 brachyfacial type이 55%으로 가장 많았고 mesofacial type은 31.9%, dolichofacial type은 13.1%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중 43.3%가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다.

악골관계에 따른 전치부교합의 보상적 적응에 관한 연구 (The compensatory adaptation of an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skeletal relation)

  • 오창근;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5-183
    • /
    • 2000
  •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남녀의 구강검사를 통해 대구치의 전후방관계는 Angle씨 I급 관계를 보이고, 전치부는 정상범위내의 수평피개교합 및 수직피개교합를 지니면서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남자 51명 여자 50명, 합계 101명 (평균 나이: 남자 23.6세, 여자 21.5세)의 표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악골관계에 따라 정상교합을 이루기 위한 치아, 치조의 보상적 변화의 양상을 상하악골과 치아, 치조의 배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교합의 표본에서도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관계 및 치아, 치조관계를 나타내는 변수의 계측치들은 그 변이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였다. 2. 상하악전치의 치축경사도는 악골의 전후방적 위치관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악골에 대하여 하악골이 후방에 위치할수록 상악전치는 설측경사, 하악전치는 순측경사의 경향을 보였다 (P<0.01). 3. 상하악 치조의 높이는 악골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하안면고경의 크기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상하악 치조의 높이와 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관계에 대해서는 상호간의 관련성이 없었다 (p>0.05). 5.상하악 전치의 치축경사와 악골의 수직적 위치와의 관계는 상악전치부가 하악 전치부에 비해 더욱 긴밀히 관련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정상적인 교합을 보이는 경우에도 개인에 따라 악골의 배열 및 치아, 치조의 배열에 있어서 차이가 많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악골의 전후방적 위치와 전치부 치축경사도간, 그리고 악골의 수직고경과 상하악 전치부 치조의 높이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이는 달라진 악골의 위치에 따른 보상적 변화로 결론 지을 수 있을 것이다.ine을 병용할 경우 방사선조사효과는 증강되며, 저산소상태에 있는 마우스 종양에서의 증강효과가 대조 종양에서의 증강효과와 동일하거나 더욱 양호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었으나 $7.4\%$만이 심한 증상을 보였고, 만성 합병증은 $7.9\%$에서 관찰되었으며, 장폐색, 비뇨기계증상의 악화, 방사선 방광염등의 순이었다.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지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이었고(p<0.01) 포장에 대해서는 주택형태에 따라 농가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에 거주하는 주부보다 더 나쁘게 평가하는 경향이었다. (p<0.05) (9) 조사대상주부들은 시판제품의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위생성(37.0%), 가격(23.8%), 포장(15.6%), 맛(11.1%), 저장성(10.1%) 및 색(2.4%) 등의 순으로 지적하였고 주부의 거주지에 따라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위생성을,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가격을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보는 경향이었다. (p<0.05)3.2%는 채소에는 cholesterol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채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치료에 유효한 채소는 당근 등 42가지, 질병을 유발시키는 채소는 고사리 등 10종을 지적하였으며 이들은 과학적 증명이 가능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전해지고 있는 내용이다. 이상과 같이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의 채소 소비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가공된 채소반찬과 김치의 구입은 현재까지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김치보다 채소반찬의 구입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

  • PDF

Cervical Headgear와 Hotz 장치를 이용한 II급 I류 부정교합의 치료 : 증례 보고 (Treatment for Class II Division I Malocclusion Using Cervical Headgear and Hotz Appliance: A Case Report)

  • 조용제;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0-78
    • /
    • 2016
  • 성장기 아동의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는 많은 악정형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발전되어 왔다. Headgear는 II급 부정교합 중 상악이 과성장된 경우 상악골의 성장 억제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구외장치이다. Hotz 장치는 주로 II급 I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cervical headgear와 함께 사용한다. 이 증례 보고는 상악의 과성장과 상악전치의 전향을 가진 3명의 II급 I류 부정교합 환자들에 관한 것이다. 모두 cervical headgear와 Hotz 장치를 이용하여 성장기에 악정형 치료를 시작하였다. cervical headgear와 Hotz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한 후, 각 환자의 상황에 맞는 후속 치료를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 유지 및 계속적 악정형 치료를 위한 class II activator, 기존의 Hotz 장치를 이용한 유지. 환자들을 악정형 치료하고 각각의 상황에 맞는 후속 치료를 하였으며 돌출된 안모와 상악전치 전향의 개선, 전치부 총생의 개선, 상악골 성장 억제 등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Using the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9-529
    • /
    • 1992
  •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ype to treat and stabilize. For a child with develop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treatment objective would be to stimulate maxillary growth, particulary one who has markedly deficient maxilla, and to restrain excessive mandibular growth. In order to stimulate the maxillary growth,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is the one of the effective orthopedic appliances in skeletal Class II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evaluation of th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in children with Class III Maxillary deficiency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between the group with RPE and labiolingual intraoral appliances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related to the ages of the patients :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about 1 year after reten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60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3.4 who were diagnosed as Class III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were treated with Face Mask (Delaire Type) from the Dept. of Orthodontics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48 children wore the RPE and 12 children wore Labiolingual Appliance.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for each patient at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anterior cross-bite in 60 children, and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10 to 14 months in 19 children. X and Y coordinate of 10 landmarks were analyzed using a horizontal line through sella and rotated $6^{\circ}$ down anteriorly as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and a perpendicular verticual line through sella as the vertical reference axis. Each of the 31 measurents (10 verticals, 10 horizontals, 2 angles and 9 others)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PC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maxillary protraction the maxilla and maxillary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while the mandible and mandibular incisor rotated downward and backward. 2. Maxillary protraction with rapi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labiolingual appliance. 3. More downward movement of the posterior palatal plane obserbed with maxillary protraction doing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than with protraction after finishing the palatal expansion 4. The clinical effects of protraction and changes of the retention perio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age groups. 5. During the retention period, maxilla and maxillary teeth, and mandible and mandibular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however the mandibular changes were larger than the maxillary changes.

  • PDF

The preliminary study for three-dimensional alveolar bon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for alveolar bone restoration

  • Cho, Hyun-Jae;Jeon, Jae-Yun;Ahn, Sung-Jin;Lee, Sung-Won;Chung, Joo-Ryun;Park, Chang-Joo;Hwang, Kyung-Gy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33.1-33.7
    • /
    • 2019
  • Background: The concept of the ideal morphology for the alveolar bone form is an important element to reconstruct or restore the in maximizing esthetic profile and functional alveolar bone restoration.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is to evaluate the normal alveolar bone structure to provide the standard reference and guide template for use in diagnosing for implant placement, determining the correct amount of bone augmentation in actual clinical practice and producing prostheses based on three-dimensional imaging assessment of alveolar bone. Methods: This study was included 11 men and 11 women (average age, 22.6 and 24.5 years, respectively) selected from among 127 patients. The horizontal widths of alveolar bone of maxilla and mandible were measured at the crestal, mid-root, and root apex level on MDC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mages reconstructed by medical imaging software. In addition, tooth dimensions of the central incisors, canines, second premolars, and first molars of maxilla and mandible, including the horizontal width of the interdental alveolar bone crest, were also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horizontal alveolar bone width of the palatal side of maxilla showed a distinct increment from the alveolar bone crest to the apical region i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areas. The average widths of the maxillary alveolar ridge were as follows: central incisor, 7.43 mm; canine, 8.91 mm; second premolar, 9.57 mm; and first molar, 12.38 mm. The average widths of the mandibular alveolar ridge were as follows: central incisor, 6.21 mm; canine, 8.55 mm; second premolar, 8.45 mm; and first molar, 10.02 mm. In the buccal side, the alveolar bone width was not increased from the crest to the apical region. The horizontal alveolar bone width of an apical and mandibular border region was thinner than at the mid-root leve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are useful as a clinical guideline when determining dental implant diameter and position. And also, these measurements can also be useful during the production of prefabricated membranes and customized alveolar bone scaffolds.

치아 이상의 발생 빈도와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ALENCE AND PATTERN OF DENTAL ANOMALIES)

  • 전승준;이제호;최형준;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29-449
    • /
    • 1996
  • An objective definition of the anomaly is not avaliable and most investigators define the term differently or fail to describe their criterion. Because dental anomaly may lead to many complications,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of dental anomalies are essential steps in the evaluation of the child patient and in treatment planning. These procedures require detailed medical and dental histories, through clinical examination and the use of radiographs.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The clinical and roentgenographic examination was undertaken for 8,054 children at age from 0 to 15 yea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examined subjects, 2,134 subjects(26.5%) showed dental anomalies. The prevalence of individual dental anomalies were as follows : supernumerary teeth 15.6%, congenitally missing teeth 6.6%, fusion 2.2%, odontoma 0.35%, microdontia 1.2%, macrodontia 0.05%, gemination 0.22%, talon cusp 0.36%, dens evaginatus 0.24%, dens invaginatus 0.15%, dilaceration 0.27%, taurodontism 0.09%, abnormal tooth position 1.7%, natal & neonatal teeth 0.92%, amelogenesis imperfecta 0.01%. 2.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roups with individual dental anomalies were as follows : between group I and other group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especially group I and group II.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le and female showed differences. 3. For the supernumerary teeth group, the prevalence of male was higher than female(p<0.001). While for the congenitally missing teeth, macrodontia, microdontia, abnormal tooth position group, the prevalence of female was greater than male(p<0.001). 4. For the congenitally missing teeth group, the mandibular primary lateral incisor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in primary dentiton, while mandibular lateral incisor in permanent dentition. In the mandible(72.5%), this site showed higher prevalence than in maxilla. In the case with deciduous congenitally missing teeth, the prevalence of successive permanent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about 33.9%, the incidence was highest in mandibular lateral incisors. 5. Most supernumerary teeth existed on middle area and showed inverted position and unerupted state. In addition, supernumerary teeth showed higher incidence on maxilla (99.3%). 6. In the case with deciduous fused teeth, the prevalence of successive permanent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39.9%, while that of successive permanent fused teeth was 2.7%. And the highest rate of the prevalence (40.3%) appeared in fusion of mandibular deciduous lateral incisor and canine. 7. In the case of odontoma, the prevalence was higher in maxilla(78.6%) and anterior region(82.7%) than mandible and posterior region.

  • PDF

한국인에서의 상악골 교정수술후 안면중부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MID-FACIAL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OF THE MAXILLA IN KOREANS)

  • 박형식;최진호;김영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3호
    • /
    • pp.278-290
    • /
    • 1991
  • Prediction of the sop tissue changes following hard tissue movements is very important in the preoperative analysis of surgical changes of the patient who have orthognathic surgery. This study examined post operative changes of the mid-facial sop tissues in Koreans depending upon two major positional changes of the maxilla following Le Fort - I type osteotomy for orthognathic purposes. Sixty patients(41 males and 19 females) of Korean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irectional change of movement of anterior bony structures of the Maxilla as follows : Group I (44 patients) was mooed anteriorly and/or inferiorly, and Group II (16 patients) was mooed posteriorly and/or superioly. Postoperative changes of the sop tissue measurements following hard tissue changes were examined on pre - and post - operative cephalometrics by means of computerized digitation methods and the ratios of changes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Group I, all of the sop tissue measures except the Pn was closely followed by the changes of the hard tissue measures in the horizontal plane, but the Sn and the Cm were only correlated to the vertical changes(p<0.001). In group II, all of the sop tissue measures excluding of the N' and the P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hard tissue measures in horizontal plane(p<0.001), but the Ls and Stm were only correlated relatively to the vertical changes of the ANS(p<0.01). 2. Predictable ratio of the Sn was 66% of the ANS or 56% of the A in the horizontal plane and 89% of the A in the vertical plane in Group I. In Group II, the Sn was predictable as 85% of the ANS or 70% of the A in the horizontal plane but was not predictable in vertical plane. 3. Predictable ratio of the Cm was 28% of the ANS or 50% of the A in the horizontal plane and 56% of the ANS or 36% of the A in the vertical plane in Group I. In Group II, the Cm was predictable horizontally as 74% of the A. Predictable ratio of the Pn was 30% of the ANS or 38% of the A in horizontal plane in Group I, but it was not predictable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Group II. 4. Predictable ratio of the Ls was 52% of the Pr in Group I and 77% in Group II in the horizontal plane. The Stm was predictable as 34% of the pr or 22% of the I in the horizontal plane in Group I, and was also predictable as 55% of the pr or 68% of the I horizontally and 21% of the pr or 65% of the I vertically in Group II. 5. All ratios of change in the thickness. length and area of the upper lip following maxillary movement were statiscally correlated, however, mangitudes of them were meaningful clinically.

  • PDF

외부계측법에 의한 상악골 이동의 위치적 정확도에 대한 평가 연구 (A STUDY ON ACCURACY OF MAXILLARY REPOSITIONING BY EXTERNAL MEASURING TECHIQUE)

  • 박형식;차인호;박형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44-52
    • /
    • 1991
  • 하악골의 발육이상과 더불어 상악골의 수평적 및 수직적 발육이상이 동반되어 있는 대부분의 악안면 기형 환자에서 상하악골을 동시에 재위치시키는 "상하악골 동시 이동 수술"은 현재 악교정 수술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술식으므로, 이 경우 수술중에 일차로 상악골의 정확한 위치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Le Fort I 수평골절단술을 이용한 상악골의 재위치시 위치 이동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고전적으로 사용되어온 계측방법인 내부계측법(Intrnal measuring technique)은 최근에 이르러 계측상의 삼차원적 오차에 따른 정확도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으며,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1985년 Johnson 이 처음으로 외부계측법(External measuring technique)을 소개한 이후로, Van Sickels 등의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그 사용의 유용성 및 정확성이 입증되어 왔다. 이에 저자등은 최근 2년간 본 교실에서 경험상 상${\cdot}$하악골동시이동 악교정수술환자중, 외부계측법에만 의존하여 상악골 이동량을 술중 계측했던 17명의 환자에서 수술전 이동계측량과 수술후 이동된 결과를 Lateral cephalometics상에서 전치부와 구치부의 수직 및 수평적 이동 오차 관계로, P-A cephalogram 상에서 수평적 이동 및 상악치열의 중심선 변위에 대한 이동 오차 관계로 분석하여 외부계측법에 의한 수술적 이동의 정확도를 평가하므로써 향후 이 방법의 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써, 상악골의 수직 및 수평적 이동시 외부계측법 만을 이용한 경우, 수술전 이동량에 비해 비교적 신뢰성 있게 상악골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대체적으로 전하방 및 우측으로 위치되기 쉬운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정면상의 수평기울기(transverse plane)에 대한 편차는 수술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상악치열의 중심위는 수술자에 의해 영향을 받은것 같다.

  • PDF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술방법에 따른 치료 후 상악 연조직 변화 - ASO/BSSRO와 Le Fort I/BSSRO 비교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ASO/BSSRO and Le Fort I/BSSRO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upper lip protrusion)

  • 강주만;김윤지;박재억;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83-397
    • /
    • 2010
  • 본 연구는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전방분절골절단술(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과 Le Fort I 골절 단술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SSRO) 후 상악의 경 연조직 변화 및 경조직 변화에 대한 연조직 변화율을 비교하였다. A군은 ASO/BSSRO를 시행한 군 14명, B군은 Le Fort I/BSSRO를 시행한 환자 중 상악의 후방부가 상방으로 이동(posterior impaction)된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술 전 2개월 이내와 수술 후 6개월 이후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군 모두 수술 후 상악 전방부 경조직과 연조직이 후방이동되었고, A군에서 더 큰 변화량을 보였다. A point의 후방이동에 따른 superior labial sulcus의 변화율은 A군에서 79%, B군에서 15%를 보였고, supradentale에 대해 labrale superious는 A군에서 80%, B군에서 68%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교합평면각은 B군에서 증가한 반면, A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양악수술 시 상악 수술은 상악 전방부와 상순의 돌출이 심한 경우에는 ASO를 시행하고 교합평면각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posterior impaction을 동반한 Le Fort I 골절단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