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instability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1초

Bankart 수술 후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못 합병증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tallic Suture Anchor Failures after Bankart Repair)

  • 신상진;정재훈;김성재;유재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6
    • /
    • 2006
  • 목적: 금속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 수술 후,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 못 돌출 합병증을 보고하고 발생 원인, 임상 양상 및 관절경적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Bankart 수술을 시행 받은 후 운동시 들리는 관절내 마찰음 및 통증 또는 불안정성을 호소하며 내원하여 관절경 재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수술 이후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5.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관절경 재수술시 봉합 나사못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며 관절경 술식을 이용하여 돌출 봉합 나사못을 제거하였다. 결과: 주 증상은 4명에서 통증을 동반한 관절내 마찰음이었으며 이 마찰음은 외전 및 외회전시 분명하게 들렸다. 1명은 통증과 함께 견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다. 견관절 운동 범위는 외회전만 약간 감소되었을 뿐 거의 정상 소견을 나타내었다. 돌출되었던 봉합 나사못의 위치는 5시 방향 1명, 4시 방향 2명, 2시 및 3시 방향 각각 1명씩이었다. 그 중 2명은 전방 관절와연에서 5 mm 정도 내측 관절면 위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3명은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어 있었으나 나사못 주변의 연골 마모 및 골소실이 관찰되었다. 재수술시 5명 모두 상완골두에 연골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1명은 관절와에도 연골 결손이 동반되었다. 재수술 후 2년째 추시 결과 재탈구나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통증에 대한 VAS 점수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2로 감소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수술 전 65점에서 수술 후 8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ASES 점수도 수술 전 67점에서 수술후 88점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봉합 나사못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은 불안정성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재활 운동 시점부터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수술 후 통증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돌출된 봉합 나사못은 상완골두 연골의 파괴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봉합 나사못 돌출이 의심되면 관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경추 물림 금속판을 이용한 경추 전방추체간 유합술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Cervical Spine Locking Plate)

  • 박주태;안길영;이영태;안면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209-219
    • /
    • 1997
  • 포항 성모병원 정형외과에서 실시한 경추 전방유합술 및 A-O금속판 고정술을 병행하여 치료하고 13개월이상(평균 20개월) 추시가 가능하였던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11례 및 외상환자 3례를 대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경추 추간판 탈출 환자 11례 중 상지 방사통을 호소한 경우가 8례이었으며 감각 둔화 및 근력약화를 호소한 환자가 3례이었다. 2. 외상의 기전으로는 굴곡 회전손상 3례이었다. 3. 고정범위는 1개 분절고정이 12례, 두개 분절고정이 2례이었으며 술후 분절수에 관계없이 필라델피아 보조기를 이용해 조기 보행을(평균 2일)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조기 보행으로 인한 불편함의 호소는 없었다. 4. 골유합은 이종골을 사용한 1례에서의 불유합을 보였으나, 동종골을 사용한 13례에서는 전례 모두 유합(평균 12주)을 보임으로 이종골 보다는 동종골의 이식에서 높은 유합율을 보였다. 5. 추간판 탈출환자 전례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불완전 마비가 있었던 외상환자 3례에서도 술후 추시 기간 중 Frankel분류상 B에서 C등급으로 호전되었다. 6. 술후 합병증은 금속판 파열 1례 및 일시적인 사성 2례를 제외한 환부 혈종이나 나사못 파열 등의 다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방 도달법에 의한 전방유합술 및 물림나사와 금속판을 이용해 시술한 경추 추간판 탈출증 및 외상 환자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가 안전하고 압박된 신경에 대한 감압, 충분한 안정성 확보로 인한 외고정 기간의 단축 및 신속한 골유합을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이며 기존의 금속판과 달리 후방 피질골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척수의 손상을 피할수 있으며 수술중 방사선 피폭량도 줄일수 있어 권장할 만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반건양근 건을 이용한 족관절 외측 인대의 해부학적 재건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using Semitendinosus)

  • 이우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3
    • /
    • 2008
  • 족관절 만성 외측 불안정증을 비해부학적인 방법으로 재건한 후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부학적으로 재건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보고되었다. 해부학적인 위치로 재건하는 것이 정상 관절 역학과 안정성을 회복하는데 중요하다. 해부학적인 재건 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인대를 정상적인 주행 방향으로 재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인데, 저자는 전거비 인대와 종비 인대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두 인대의 비골측 부착부에 한 개의 터널을 만드는 것이 각각의 인대가 통과 할 별도의 터널을 만드는 것보다 좀 더 해부학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외측 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알아보고 반건양건을 이용한 재건 수술 방법을 소개하였다.

  • PDF

만성 족관절통 환자에서의 족관절 관절경 소견 (The Role of Ankle Arthroscopy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Pain)

  • 김승호;하권익;한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4-16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arthroscopic examin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pain. Eighty eight arthroscopic procedures were conducted due to symptoms of chronic ankle pain. The pathology of the 88 ankles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 22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20 anterolateal impingement syndrome, 22 instability and 20 osteochondral lesion, 59 of patients(67.0%) had trauma history and 14(15.9%) of patients had injured chronic repetitive microtrauma. During the arthroscopic procedure, we found unexpected chondral lesions of high incidence(39.1%). These lesions were not detected both by the physical examination and radiologic examinantion. These pathologies were treated during the course of arthroscopic procedure. We concluded that ankle arthroscopy may be a very useful and therapeutic tool in the patients who have not reponded to the conservative treatment. And due to high incidence of intra-articular pathology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pain, arthroscopic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prior to final decision.

  • PD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Ankle and Subtalar Joint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and Ligament Reconstructions: A Case Report

  • Shin, Jae-Hyuk;Lee, Byung Hoon;Kim, Gab-Lae;Kim, Kwon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2-195
    • /
    • 2016
  • Diffu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nvolving ankle joint needs complete mass excision and total synovectomy to reduce recurrence rate, while surrounding ligaments can be easily damaged. So the concurrent ligament reconstruc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post-excisional instability in subtalar joint as well as lateral ankle joint. We describe our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a diffuse type PVNS, invades lateral talocrural joint extended to subtalar joint and introduce a new technique of all-in-one reconstruction for anterior talofibular,calcaneofibular and cervical ligament. Our new reconstruction technique applying modified Chrisman and Snook technique is useful in stabilization for deficiencies of the ligament complexafter PVNS excisionat lateral ankle and subtalar joint.

슬관절 주위 글격의 기초과학 및 스포츠 손상 (KNEE: Basic Science and Injury of Bone)

  • 김희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7-81
    • /
    • 2003
  • 목적: 슬관절 주위 골격의 기초과학을 생체역학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빈도가 높은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해부 밀 운동학: 슬관절은 순수한 경첩 관절이 아니며 적합하지 않으므로 여섯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다. 경골대퇴간 운동역학: 슬관절의 굴곡-신전 축은 시상면에 수직이 아닐 뿐 아니라, 관상면상 관절선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경골대퇴관절은 굴곡 시 내반과 내회전이 동반되고 신전 시에는 외반과 외회전이 동반된다. 슬개대퇴 관절: 슬개대퇴 관절 압박력은 슬관절의 굴곡 각도와 사두고근력에 비례한다 슬개골은 신전기전의 moment arm을 증가시켜 신전기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지렛대 역할을 한다. 슬개골 골절: 비전위성 골절이면서 하지 직거상 운동이 보존된 경우에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며 수술적 치료 시 고정 방법의 선택은 골절 양상에 따라 결정되겠으나 어느 술식을 선택하여도 신전지대의 봉합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슬개골 불안정성: 선행 해부학적 이상을 조사해야 하며 급성 탈구에서도 골연골 골절편이 있거나 재발의 위험이 높은 운동선수에서 인대 봉합을 고려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및 재활에도 불수하고 계속되는 재발성 아탈구나 탈구는 수술이 필요하다 학령기 스포츠 손상: Idiopathic Adolescent Anterior Knee Pain, Osgood-Schlatter Disease, Sinding-Larsen-Johansson Disease 등이 흔하다

  • PDF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군에서 변형 브로스트롬 술식과 봉합 테이프를 추가한 술식 간의 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Modified Brostrom Repair Technique with and without Augmentation Using Suture Tape for Chronic Ankle Instability)

  • 곽희철;정수환;김정한;박대현;추혜정;김대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0-47
    • /
    • 2022
  • Purpose: The modified Broström repair (BR) technique has yielded good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This study compare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between two groups of patients who underwent modified BR or lateral ligament augmentation using suture tapes (ST).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seven patients (ST group [n=47], BR group [n=30]; body mass index <26.61 kg/m2; mean age, 30.7±11.0 years [range, 17~39 years]; mean follow-up, 34.0±12.0 months [range, 24~59 month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etween January 2014 and July 2017.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core (AOFAS),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nd Sefton grading system were used for clinical assessment. The talar tilt angle and anterior talar translation were measured using the Telos stress device (Telos GmbH, Marburg, Germany) at 150 N for radiological evaluation. Results: FAOS, AOFAS, FAAM, and VAS scores improved in both groups at final follow-up (ST, 91.1±5.2, 93±2, 88.1±4.5, 1.5±0.7 vs. BR, 91.3±5.4, 93±3, 83.3±4.8, 1.2±0.7, respectively; p=0.854, 0.971, <0.001, 0.0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FAOS, mean sports activity scores for the ST and BR groups at the final follow-up were 90.3±3.2 and 76.6±4.2, respectively, reflecting superior outcomes in the ST group (p<0.001). Sefton grading revealed satisfactory functional outcomes (ST, 91.5% vs. BR, 90.0%).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alar tilt angle and anterior talar translation in both the ST and BR groups (7.6°±1.2°, 10.5±1.8 mm vs. 4.9°±1.1°, 7.9±1.5 mm,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 The ST group demonstrated comparable clinical but better improvement in mechanical stability and FAOS sports scores than the BR group.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 송은규;이근배;신상규;김현종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5
    • /
    • 2002
  • 목적: 슬괵건과 대퇴부의고정을 위해새로이 고안된Ligament Anchor (LA) 나사를이용한전방십자인대재건술후 임상결과에평가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슬괵건4가닥과LA 나사를이용하여전방십자인대재건술후최소2년이상추시가능하였던 58예를대상으로하였다. 이식건의 고정으로 대퇴골측은 LA나사를, 경골측은 생흡수성 간섭나사를 이용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8개월이었다. 임상적결과로는 Lachmann 검사와Lysholm 점수를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로는 Telos(R) 기기(Telos stress device; Austin & Associates, Inc., Polston, US)를 이용한 전방 전위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와 골터널확대정도를평가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술전평균6 0점에서술후평균94.0점으로호전되었으며, 술전Lachmann 검사상 16예에서 경도의양성, 24예에서중등도, 18예에서 고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 후 Lachmann 검사상50예는 음성이었으며, 8예에서만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Telos(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 검사상 건측과의 차이는 술 전 평균12.9 mm에서 최종 추시상 3.1 mm로호전되었다(p<0.05). 대퇴터널은전후방방사선사진상수술직후10.6 mm에서최종추시상12.7 mm(21.1$\%$ )로확장되었으며, 측면방사선사진상술후10.7 mm에서최종추시상12.4 mm(16.5$\%$)로확장되었다(p<0.05). 경골터널은전후방방사선사진상술후9.8 mm에서최종추시상11.8 mm(20.7$\%$)로확장되었으며측면방사선사진상술후9.9 mm에서최종추시상11.7 mm(18.9$\%$)로확장되었다(p<0.05) .결론: 슬괵건과L A나사를이용한전방십자인대재건술은임상성적이우수하며, 슬관절전방동통이나골터널확장등의합병증이적어슬관절의전방안정성을회복하는데좋은이식물및내고정물이라생각된다.

  • PDF

Biceps long head tendon revisited: a case report of split tendon arising from single origin

  • 김경천;이광진;신현대;변기용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165-165
    • /
    • 2008
  • A 27-year-old, right-hand-dominant woman with a post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3 months earlier after traYc accident presented because of pain and limited range of motion in the right shoulder. On physical examination, the patient had negative instability tests and a sulcus sign. On arthroscopic examination, a bifurcate long biceps tendon with two limbs was observed about 1 cm distal to the origin in the supraglenoid tubercle. We found no evidence of a tear in the long biceps tendon on probing, and the margin of each limb was smooth and round. Although this anatomic variant may be benign, its presence might be associated with other shoulder pathology. It is interesting to speculate whether the aberrant biceps anatomy in our patient contributed to transfer of injury at dislocation to the rotator cuff rather than to the classic anterior-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In addition, recognition of the described anatomic variant on arthroscopy can aid the shoulder surgeon in focusing treatment on the actual pathology.

  • PDF

Effect of Taping and Virtual Reality Combined Exercise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Kim, Ki-jong;Gang, Mi-yeong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2-297
    • /
    • 2020
  • Background: Ankle sprain is one of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injuries in the sports population or during usual daily life activities. The sprain can cause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and it is very important to treat FAI. However, the optimum intervention method for FAI has yet to be determined.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that virtual reality (VR) training program on balance with ankle kinesio taping for FAI. Methods: Twenty-two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n = 11) and the control group (n = 11). The experimental group had attached kinesio taping on the ankle and then implemented a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for 30 minutes a day. Nintendo Wii Fit Plus was used for the VR intervention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only two measurements without intervention.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anterior-posterior (AP), medial-lateral (ML) index of the static balanc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AP, ML index of the dynamic balance when taping and VR exercise were applied at the same time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and ML index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assess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found differences in AP index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p < 0.05). Conclusion: Kinesio taping may not influence the balance of FAI as great as people expected. VR approach does not affect the static balance of FAI, but it influences dynamic balance in overall, AP, ML index. The authors suggest that VR-based exercises can be used as an additional concept in clinicians for FAI or as part of a home program because the exercises still have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