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approach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9초

Clinical Application of Endoscopic Inguinal Lymph Node Resection after Lipolysis and Liposuction for Vulvar Cancer

  • Wu, Qiang;Zhao, Yi-Bing;Sun, Zhi-Hua;Ni, Jing;Wu, Yu-Zhong;Shao, Heng-Hua;Qu, Jun-Wei;Huang, Xin-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121-7126
    • /
    • 2013
  • Aim: To examine lymph nodes obtained after lipolysis and liposuction of subcutaneous fat of the inguinal region of female vulvar cancer patients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The field of operation was on the basis of the range of the conventional resection of inguinal lymph nodes. We injected lipolysis liquid fanwise, started liposuction after 15-20 minutes; then the subcutaneous fatty tissue was sucked out clearly by suction tube. We selected the first puncture holes located on 2-3 cm part below anterior superior spine, the others respectively being located 3cm and 6cm below the first for puncturing into the skin, imbedding a trocar to intorduce $CO_2$ gas and the specular body, and excise the lymph nodes by ultrasonic scalpel. The surgical field chamber was set with negative pressure drainage and was pressured with a soft saline bag after surgery. Results: A lacuna emerged from subcutaneous of the inguinal region after lipolysis and liposuction, with a wide fascia easily exposed at the bottom where lymph nodes could be readily excised. The number of lymph nodes of ten patients excised within the inguinal region on each side was 4-18. The excised average number of lymph nodes was 11 when we had mature technology. Conclusion: Most of adipose tissue was removed after lipolysis and liposuction of subcutaneous tissue of inguinal region, so that the included lymph nodes were exposed and easy to excise by endoscope. This surgery avoided the large incision of regular surgery of inguinal region, the results indicating that this approach is feasible and safe for used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이용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 증례 (Case Report :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Using a Removable Anti-Nociceptive Appliance)

  • 노병윤;안종모;윤창륙;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2
  •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은 특기할 임상적인 증상 없이, 구강 내에 나타나는 병적인 작열감 또는 통증을 지칭한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주로 혀 전방 그리고 측방에 증상이 나타나며, 경구개 전방, 입술 등의 다른 구강점막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원인은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과 외상 같은 국소적 요인, 내분비 변화, 당뇨, 영양결핍(비타민, 아연 등), 철분 또는 엽산 결핍과 관련된 빈혈과 같은 전신적인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안, 우울, 암공포증과 같은 심리적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이 신경학적 병변에 의한 신경병변성 통증의 특성을 나타냄을 보고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는 알려진 원인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 또한 여러 각도로 시행되고 있다. 그 중, clonazepam의 국소적 적용, capsaicin, alpha lipoic acid 투여 등의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며, 저주파 에너지 레이저 조사, 침술요법과 같은 치료법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혀를 국소적 자극요인으로부터 보호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증상을 완화시킨 사례들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하악 치아에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장착하여 증상이 개선된 증례를 소개하고, 구강 이상악습관과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연관성 및 이에 대한 치료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2단계 치료후 경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THE SKELETAL CL III MALOCCLUSION PATIENTS AFTER 2-PHASE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 조윤주;김상중;김동률;석근정;홍광진;이정구;손홍범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6호
    • /
    • pp.628-63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 after 2-phase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without pre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for the skeletal Cl III malocclusion patient and to obtain an adequate protocol on the bases of this result. This retrospective study of ten patients who underwent 2-phase treatment were done to evaluate 1) the surgical stability and relapse pattern 2) the facial esthetics 3) the TMJ problem 4) the total time of the treatment. Results were followed : 1) The horizontal relapse of the mandible was 26.8% and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3-phase treatment. But, it was considered that this amount of relapse was the sum of true relapse and autoratation of mandible due to decreased vertical dimens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2) It was estimated that there's no difference on the ratio of anterior facial height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normal patients. On the horizontal analysis, the mandible of the subjects was located more anteriorly than that of the normal patients. This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need for the accurate preoperative esthetic evaluation and the additional methods for reducing the relapse due to the occlusal interference. 3) Wide variation was noted on the TMJ symptoms of the subjects, however, it was estimated that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es of symptoms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3-phase treatment on literatures. 4) The average of the overall period of treatment was 20.8 months and we obtained reduction of the treatment time compaired to 3-phase treatment on many literatures. Mos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milar to the findings of the 3-phase treatment(preoperative orthodontic-orthognathic surgery-postoperative orthodontic), but total time of the treatment was shorter in patients with 2-phase treatment than in those with the conventional 3-phase treatment. With 2-phase treatment, we experienced many advantag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considering that it was favarable conditions for the teeth, it had the flexibility for the treatment, and it could be the adequate treatment approach for the stomatognathic system. Although this retrospective pilot study had some limitations, due to small samples, the authors would hope that it could serve as a guide for the future researches, and the clinical applications.

  • PDF

소아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TREATMENT OF JAW CYSTS IN CHILDREN)

  • 김재곤;김영진;김미라;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01
  • 악골의 낭종은 크게 치성과 비치성으로 구분되며 치성낭은 치성기관이나 그 잔존 세포성분과 관련되어 주로 골내에서 발생한다. 비치성낭종은 과거에는 태아의 발육중 상피의 봉입이나 융합선을 따라 존재하는 상피잔사가 증식하여 낭성변형을 일으킨다는 설이 유력하였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태아의 발육 동안상피의 봉입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함치성낭은 미맹출 치아와 관련되어 발생하고 상피의 전암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능한 발리 제거하도록 하며 조대술이나 적출술이 이용될 수 있고 간혹 원인치의 발거가 추천된다. 비구개낭은 가장 일반적인 비치성낭으로 상악 중절치 사이에 경계가 명확한 방사선 투과상으로 나타난다. 적출술과 조대술로 치료할 수 있으며 전암 가능성이나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함치성낭의 환아에서, 원인 치아를 보존하고 완전 적출술로 병소를 제거한 후 경과를 관찰한 바 영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이 이루어졌다. 2. 비구개낭을 치료시, 인접치아의 생활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법의 선택으로 불필요한 근관치료를 피할 수 있다. 3. 향후 비구개낭의 환아의 관련치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 악골내 방사선 투과성의 병소를 치료시, 정확한 감별진단과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이 중요하다.

  • PDF

충돌 증후군 및 회전근 개 파열의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Treatment of Impingement Syndrome and Rotator Cuff Tear)

  • 정홍준;전인호;전재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9-86
    • /
    • 2012
  • 충돌 증후군 및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 보존적 치료의 방법은 그 목적에 따라 염증과 통증의 완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휴식, 진통 소염제 복용,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제의 사용, 물리 요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부조직의 유연성 회복을 위한 스트레칭 운동과 기능의 회복을 위한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할 수 있다. 흔히 보존적 치료를 단계별로 구분해 보면 1단계로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일상 생활 동작의 조절, 스트레칭 운동 등의 방법을 사용해 볼 수 있고, 2단계로는 전후방 회전근 개에서 시작하여 견갑골 주위 근육과 삼각근의 순서로 진행하는 근력 강화 운동을 시도해 볼 수 있으며, 3단계에서는 직업, 가사 및 취미 활동 등의 정상 생활로의 복귀를 위한 훈련과 유지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서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시행하게 되는 충돌 증후군 및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보존적 치료의 핵심은 운동 치료라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충돌 증후군 및 회전근 개 파열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다양한 운동 치료 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나노섬유 방사노즐 설계를 위한 거미 실크 방적장치의 생체모사 분석 (Biomimetic Analysis on the Spider Silk Apparatus for Designing the Nanofiber-spinning Nozzle)

  • 문명진;김훈;박종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67-76
    • /
    • 2012
  • 고강성 나노섬유 생산이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방사노즐의 설계를 위해 자연을 모방하는 공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Koch) 대병상선의 토사관과 그 생체방적 시스템이 지닌 미세구조적 특성을 고해상도의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연계에서 가장 강도가 높은 드래그라인을 생성, 분비하는 대병상선의 토사관은 bullet type spigot을 통해 전방적돌기 표면에 개구되어 있었으며, 신축성 구조를 지닌 토사관 말단마디의 노즐을 통해 고체상의 실크가 생성되었다. 분비낭과 토사관 사이를 연결한 분비관은 루프를 형성한 후 방적돌기에 수납되었고, 분비관 내강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축소되어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실크의 직경은 펀넬 부위의 1/10 이하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실크 중합과정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큐티클의 특수구조가 관찰되었는데, 분비낭의 펀넬 부위에서는 해면상 큐티클 구조가 그리고 분비관의 말단부에서는 비후된 subcuticle 구조와 함께 잘 발달된 상피의 미세융모 층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비관의 내강부 큐티클 표면에서 확인된 나선형 강선구조는 실크 전구물질의 신속한 유동을 촉진하는 장치일 것으로 해석되었다.

견관절 다방향 불안정성의 하방 관절낭 이동술에 대한 중간 추시 결과 (The Mid-term Results of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이용걸;조창현;이재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3권1호
    • /
    • pp.1-9
    • /
    • 2000
  • Purpose: To report the mid-term results of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the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and to analyze whether the bilateral laxity, the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and the voluntary instability can influence upon the final outcome.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95 patients with 96 shoulders treated by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through an anterior approach. In total, 49 shoulders(51%) showed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56 shoulders(58%) bilateral laxity, and 65 shoulders(68%) voluntary subluxation. Mean follow-up was 27 months(11-60 months). Result: The final Rowe score was 75 points in patients who had had at least one of the bilateral laxity,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or the voluntary subluxation and 84 points without any of these in each element. Seventy-five percent of the bilateral laxity and 87% of the unilateral instability continued to function well without any pain and instability postoperatively. Those with a voluntary(74%), those with an involuntary instability(83%), those with a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73%) and without laxity(84%) could do well a daily living activity without instability Eighty-six percent who had had the voluntary instability was eliminated completely the voluntability. Eighty-four percent of the patients stated that they were subjectively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their shoulder. Nine shoulders(9.4%) had recurrence of symptomatic and disabling instability and theses patients had had at least voluntary instability preoperatively. Seven patients(7.3%) suffered from the stiff shoulder afte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Conclusion: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in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both in objective and subjective terms. Nonetheless, a patient who has a bilateral laxity, a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or a voluntary instability could be expected less favorable results compared to those with neither of these. A careful selection of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the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is needed before surgery. But our results suggests that a voluntary instability is not always poor candidate fo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 PDF

원위 상완골 분쇄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 조남수;박성우;정기연;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97-104
    • /
    • 2005
  •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comminuted fracture of distal humerus were enrolled.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A2.3 was 1 case, A3.2, 2 cases, A3.3, 8 cases, B1.3, 1 case, B2.3, 1 case, C2.2, 5 cases, C2.3, 4 cases, C3.2, 3 cases and C3.3, 7 cases. As fixation technique, 17 cases were fixed by double plates, 4 cases by only K-wires, 4 cases by only screws, 3 cases by K-wires and screws and 4 cases by one plate and screw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49 years(range, $19{\sim}77$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6 months(range, $8{\sim}51$ months).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maximum flexion was $116.4^{\circ}\;(range,\;85{\sim}140^{\circ})$ and the mean loss of terminal extension was $11.8^{\circ}\;(range,\;0{\sim}40^{\circ})$. The averag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91.4^{\circ}\;(range,\;55{\sim}100^{\circ})$. Overall 29 cases(91%) showed good to excellent results. The mean range of motion of extraarticular and intraarticular fracture group was $105.5^{\circ}\;(range,\;65{\sim}140^{\circ})$ and $104^{\circ}\;(range,\;55{\sim}140^{\circ})$, respectively. The average elbow score of both groups was$93^{\circ}\;(range,\;70{\sim}100^{\circ})$ and $90.7^{\circ}\;(range,\;55{\sim}100^{\circ})$. Over 90% showed more than good results. 30 cases(94%) showed complete bony union but two cases, nonunion. One case of the nonunion cases underwent replating with bone graft as revision surgery and total elbow arthroplasty was performed in the other case. At the last follow-up, 27 patients(84.4%) showed subjective satisfaction. Conclus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ppropriate surgical technique for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showed good results, which were not affected by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fixation methods and anterior transposition of the ulnar nerve. Transolecranon approach may be considered as good choice for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침자극에 의한 안정성 네트워크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Regional Homogeneity와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의 변화 비교: fMRI연구 (Changes of Regional Homogeneity and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 on Resting-State Induced by Acupuncture)

  • 여수정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3호
    • /
    • pp.161-170
    • /
    • 2013
  • 목적 : 침치료는 침자극을 가한 뒤, 발침한 뒤에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침연구에 있어서 침자극을 가하고 발침한 뒤에 나타나는 침의 반응을 관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침자극 후의 반응을 관찰하여 발침 후에 뇌에 미치는 침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방법 : 침자극에 의하여 나타나는 안정성 네트워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사용하여 12명의 건강인을 대상으로 우측 양릉천 혈자리에 자침한 후, 침자극 전후의 뇌를 촬영하였다. 그리고 regional homogeneity(ReHo)와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ALFF)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 ReHo와 ALFF에서 공통적으로 안정성 네트워크가 증가된 영역은 좌우측 중전두이랑, 좌측 내측전두이랑, 좌측 상전두이랑, 그리고 우측 뒤쪽 띠이랑의 뇌부위였다. 특히 ReHo분석 결과 섬엽, 앞쪽 띠이랑과 선조체에서 안정성 네트워크가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들 영역은 침의 진통작용과 관련된 영역들이다. 하지만 ALFF 분석결과에서는 이들 영역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ReHo와 ALFF 모두에서 침자극에 의한 안정성 네트워크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ReHo분석을 통하여 침자극에 의한 진통관련 영역들의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격동 질환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Mediastinal Lesions)

  • 김연수;김광택;손호성;김일현;이인성;김형묵;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0-45
    • /
    • 1998
  • 종격동은 기관, 식도, 심장 및 주요혈관 등 주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다양한 병변이 발생하며, 종격동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외과적 접근방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최근 흉강경수술 개발은 종격동질환 진단 및 치료에서 새로운 효과적인 수기로 평가받고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3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종격동의 병변에 33명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가 16명 여자가 17명이었으며 연령은 14세부터 69세였고 평균 42세였다. 대상이된 종격동 질환의 해부학적 위치는 전종격동 14례, 중종격동 5례, 후종격동 11례, 상종격동 3례였다. 종격동 질환은 신경초종 9례, 낭성기형종이 5례, 심막 낭종 4례, 신경절신경종 2례,흉선 2례, 흉선낭종 2례, 흉선종 1례, 식도평활근종 2례, 유피종 1례, 지방종 1례, 악성 림프종 1례, 기관지 원성 낭종 1례, 심막 삼출 1례, Boerhaave's병 1례였다. 수술중 작업 창이 필요했던 경우가 6례였다. 개흉수술로 전환한 경우는 6례(24%)로 종양이 커서 개흉수술 전환이 필요했던 경우가 1례, 심한유착으로 인한 개흉수술 전환이 3례, 흉강경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경우가 2례있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116분($\pm$56분)이었다. 수술후 흉강 드레인 거치기간은 평균 4.7일이었다. 수술후 평균 입원일수는 8.7일이었다. 종격동 각부위의 종양 및 염증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비디오 흉강경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은 안전성, 수술후 통증경감 및 빠른회복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