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agonist wea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In vivo wear determination of novel CAD/CAM ceramic crowns by using 3D alignment

  • Aladag, Akin;Oguz, Didem;Comlekoglu, Muharrem Erhan;Akan, Ende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2호
    • /
    • pp.120-127
    • /
    • 2019
  • PURPOSE. To determine wear amount of single molar crowns, made from four different restoratives, and opposing natural teeth through computerized fabrication techniques using 3D image align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4 single crowns (N = 24 patients, age range: 18 - 50) were made from lithium disilicate (IPS E-max CAD), lithium silicate and zirconia based (Vita Suprinity CAD), resin matrix ceramic material (Cerasmart, GC), and dual matrix (Vita Enamic CAD) blocks. After digital impressions (Cerec 3D Bluecam, DentsplySirona), the crowns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Cerec 3, DentsplySirona). A dualcuring resin cement was used for cementation (Variolink Esthetic DC, Ivoclar). Then,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crowns and the opposing enamel surfaces with the intraoral scanner were made as well as at the third and sixth month follow-ups. All measurements were superimposed with a software (David-Laserscanner, V3.10.4). Volume loss due to wear was calculated from baseline to follow-up periods with Siemens Unigraphics NX 10 software. Statist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by Repeated Measures for ANOVA (SPSS 21) at = .05 significance level. RESULTS. After 6 months, in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glass matrix and resin matrix materials for restoration/enamel wear were observed (P>.05).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lass matrix groups (P>.05),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in matrix group materials (P<.05) were obtained. Although Cerasmart and Enamic were both resin matrix based, they exhibited different wear characteristics. CONCLUSION. Glass matrix materials showed less wear both on their own and opposing enamel surfaces than resin matrix ceramic materials.

Wear of primary teeth caused by opposed all-ceramic or stainless steel crowns

  • Choi, Jae-Won;Bae, Ik-Hyun;Noh, Tae-Hwan;Ju, Sung-Won;Lee, Tae-Kyoung;Ahn, Jin-Soo;Jeong, Tae-Sung;Huh, Jung-B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1호
    • /
    • pp.43-5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ull-coverage all-ceramic zirconia,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leucite glass-ceramic, or stainless steel crowns on antagonistic primary tooth wear. MATERIALS AND METHODS. There were four study groups: the stainless steel (Steel) group, the leucite glass-ceramic (Leucite) group, the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Lithium) group, and the monolithic zirconia (Zirconia) group. Ten flat crown specimens were prepared per group; opposing teeth were prepared using primary canines. A wear test was conducted over 100,000 chewing cycles using a dual-axis chewing simulator and a 50 N masticating force, and wear losses of antagonistic teeth and restorative materials were calcul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profiling system and an electronic scale, respectively.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One-way ANOVA and Tukey's test (P<.05). RESULTS. The Leucite group ($2.670{\pm}1.471mm^3$)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antagonist tooth wear, followed by in decreasing order by the Lithium ($2.042{\pm}0.696mm^3$), Zirconia ($1.426{\pm}0.477mm^3$), and Steel groups ($0.397{\pm}0.192mm^3$). Mean volume losses in the Leucite and Lithium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Steel group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ean volume losses in the Zirconia and Steel groups (P>.05). CONCLUSION. Leucite glass-ceramic and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cause more primary tooth wear than stainless steel or zirconia.

제작방법에 따른 임시 수복용 레진의 마모저항성에 관한 연구 (In vitro evaluation of the wear resistance of provisional resin materials fabricated by different methods)

  • 안종주;허중보;최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0-117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법, 절삭 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법, 전통적인 방법에 따른 임시 수복용 레진의 마모 저항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제작방법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은 전용의 임시 수복용 레진을 사용하였다: S3P군,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3D 프린터 및 전용의 광경화성 수지로 제작한 군; D3P군,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프린터 및 전용의 광경화성 수지로 제작한 군; MIL군, Milling machine 및 밀링용 레진 블록으로 제작한 군; CON군, 전통적인 방법 및 자가중합형 레진으로 제작한 군. 한편, 3D 프린팅된 레진 시편을 제작함에 있어 적층 각도와 층 두께를 각각 $0^{\circ}$$100{\mu}m$로 설정하였다. 구강내 환경을 재현하기 위하여 열순환 처리와 수평, 수직운동이 가능한 2축 chewing simulator를 사용하였으며, 하부에는 한쪽면이 편평하게 제작된 임시 수복용 레진을, 상부에는 끝이 3 mm 직경을 가지는 원뿔형의 steatite를 고정하여 마모시험 진행하였다(5 kg, 30,000회, 0.8 Hz, $5^{\circ}C/55^{\circ}C$). 임시 수복용 레진의 마모량은 마모 전후의 Standard Triangulated Language (STL) 파일과 전용의 CAD software를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마모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S3P군, D3P군, MIL군의 마모량은 CON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P < .05), S3P군, D3P군, MIL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마모면을 관찰한 결과, S3P군과 D3P군에서는 대합치의 운동 방향에 대해 수직적으로 갈라진 흔적이 발견되었다. MIL군에서는 전반적으로 균일한 마모면이 보인 반면, CON군에서는 대합치 운동 방향으로의 뚜렷한 마모 흔적과 다수의 기포가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3D 프린팅된 임시 수복용 레진은 치과용으로서 적절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다.

In vitro wear behavior between enamel cusp and three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Zirconia, porcelain, and composite resin

  • Jang, Yong-Seok;Nguyen, Thuy-Duong Thi;Ko, Young-Han;Lee, Dae-Woo;Baik, Byeong Ju;Lee, Min-Ho;Bae, Tae-S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1호
    • /
    • pp.7-15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ree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on the wear between tooth and restoration by a pin-on-disk manner. MATERIALS AND METHODS. Six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were used to prepare disk specimens for wear test, which were Lava Zirconia as zirconia group, Vintage MP and Cerabien ZR as veneering porcelain group, Gradia Direct microhybrid composite containing prepolymerized fillers, Filtek Z250 microhybrid composite containing zirconia glass and colloidal silica particles, and Filtek Z350 nanocomposite as composite resin group. Vertical loss of the worn cusp, change of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storation materials, and the surface topography were investigated after wear test under 9.8-N contact load. RESULTS. The porcelain groups (Vintage MP and Cerabien ZR) caused the largest vertical loss of teeth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posite resin and zirconia groups, and Filtek Z250 microhybrid composite results in the second-largest vertical loss of teeth. The surface of Filtek Z350 nanocomposite was deeply worn out, but visible wear on the surface of the zirconia and Gradia Direct microhybrid composite was not observed. When the zirconia surface was roughened by sand-blasting, vertical loss of teeth considerab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at in the case of fine polished zirconia. CONCLUSION. It was identified that microhybrid composite resin containing a prepolymerized filler and zirconia with reduced surface roughness by polishing were the most desirable restorative materials among the tested materials to prevent the two-body wear between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 and tooth.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에서 금과 지르코니아의 마모 비교에 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comparison of gold and zirconia wear in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 김지환;양승원;오남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52-259
    • /
    • 2017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전장관으로 수복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장착 후 초기 6개월간의 마모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을 요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47개에 대하여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대합치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보철물 장착 1주 및 6개월 후 보철물 및 대합치를 인상채득 하여 교합면의 형태를 인기 하였다. 인상체를 스캔하여 보철물 및 대합치의 교합면 형태를 비교하여 마모 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Version 23.0; SPSS, IBM Corporation, Armonk,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규성 분석 후 Mann-Whitney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에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전장관 보철물의 6개월간 평균 수직거리 차의 중앙값은 각각 $50.84{\mu}m$, $42.84{\mu}m$로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대합치가 자연치인 경우, 지르코니아 전장관 및 금전장관 보철물의 6개월간 평균 수직거리 차의 중앙값은 각각 $47.72{\mu}m$, $41.97{\mu}m$였으며, 대합치 법랑질의 평균 수직거리 차의 중앙값은 각각 $47.26{\mu}m$, $44.59{\mu}m$이었고,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P > 0.05). 결론: 조사 기간이 짧았고, 실험군의 개수가 적었다는 단점이 있지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장착 후 초기 6개월간의 마모 비교에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전장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합되는 자연치 법랑질의 마모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구치부 지지 소실에 의한 전치부 마모 가속화 환자의 수복: 증례보고 (Restoration of patient accelerating anterior teeth wear by loss of posterior support: Case report)

  • 최혜진;이재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82-388
    • /
    • 2019
  • 구치부가 상실되면 전치부 저작이 증가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전방부에 교합력이 집중된다. 이로 인해 전방부 치아의 마모와 교합성 외상이 발생하고 상실된 치아로 인해 대합치의 정출과 교합부조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의 67세 여환에서 양측 상악 구치부, 좌측 하악 구치부의 소실, 상하악 전치부의 과도한 마모 및 다수치아의 정출이 관찰되었다. 진단모델은 수직고경 및 악간공간을 평가하기 위해 교합기에 중심위로 마운팅하였다. 보철물 제작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전치부 핀 기준 3 mm의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하여 진단왁스업을 시행하였다. 진단왁스업을 참고하여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였으며, 환자의 구내에서 확인하였고 이를 참고하여 최종보철 수복을 진행하였다. 수직고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을 평가하기 위해 3달 이상의 경과 관찰기간을 가졌으며 저작기능의 회복여부와 턱관절 및 근육 저작에 불편감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련의 치료 과정을 통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분절골절단술과 교정치료를 동반한 과개교합 환자의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deep bite patient with segmental osteotomy and orthodontic treatment)

  • 추승식;조웅래;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6-38
    • /
    • 2015
  • 과도한 수평 및 수직피개를 가진 과개교합 환자에서 치질의 파괴 및 대합치 정출의 문제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이는 곧 교합평면의 붕괴와 부적절한 전방유도로 이어지며, 조화로운 교합관계의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수의 치아 상실과 저작기능의 감소를 야기하게 된다. 과개교합환자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교정과, 구강외과 및 보철과의 협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증례보고는 심한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수직교합고경을 증가시킨 후 완전구강회복을 이룬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료는 구외 및 구내검사, 진단 및 치료계획, 진단 납형형성, 분절골 절단술, 교정적 함입 및 보철치료 순으로 진행되었다. 수직고경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Full-mouth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in a deep bite patient)

  •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87-197
    • /
    • 2017
  • 과도한 수직피개를 가진 과개교합 환자에서 안정적인 유지접촉이 없는 경우 연조직 외상, 치질 파괴, 대합치 정출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교합평면의 붕괴와 기능적, 심미적 문제로 이어진다. 치아의 상실과 마모가 발생된 환자에 대한 치료계획 수립 시 올바른 교합수직고경 설정을 통해 환자의 안정적인 악간관계를 회복시켜야 한다. 본 증례는 중심위에서 극심한 면 대 면 접촉이 발생된, 편측 구치부가 상실된 과개교합 환자에게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였다. 보철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고경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안정적인 교합관계와 조화로운 전방, 측방유도를 얻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