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ring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6초

종압축확중하에서 춘채와 추재의 역학적 거동 (Mechanical Behaviour of Earlywood and Latewood under Longitudinal Compression Load)

  • 강춘원;주이치 쯔츠미;장상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76-83
    • /
    • 2001
  • 춘재부와 추재부로 분리한 일본삼나무재 시험편을 이용하여 목재의 목리방향에 평행하는 압축응력에 대한 목재의 역학적 거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춘재와 추재간에는 역학적 거동의 차이가 있었는데, 춘재는 하나의 연륜내에서 거의 동일한 세포벽율을 나타내며 응력의 증가에 대하여 변형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 연륜내에서 수에서 수피방향으로 세포벽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재부에서는 응력의 증가에 따라 변형량이 더 커져서 곡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하중속도가 변화할 때 종적탄성율의 하중속도 의존성은 춘재부와 추재부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추재부의 종압축강도와 종압축탄성율은 춘재부의 약 4백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지리산 반야봉 아고산 침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on Banyabong in Mt. Jiri)

  • 조민기;정재민;임효인;노일;김태운;김충열;문현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65-47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on Banyabong, Mt. Jiri. Soil pH was 4.20.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 available P and CEC were 14.15%, 0.43%, 10.1 ppm and $17.17cmol^+/kg$, respectively. Sub-alpine coniferous forest had a relatively soil moisture content with 22.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Picea jezoensis (42.7) and Abies koreana (34.0) for tree laye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25.5) for subtree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18.4)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16.6) for shrub layer were high, respectively. Shannon's diversity ranged from 0.3560 to 1.050. Evenness and dominance ranged from 0.398 to 0.733 and 0.267 to 0.601, respectively. A. koreana population had a reverse J-shaped DBH distribution, while P. jezoensis population had a normal DBH distribution. Height growth according to DBH of A. koreana was higher than that of P. jezoensis, which indicate than A. koreana have more effective water use efficiency than P. jezoensis. Annual mean tree ring growth of P. jezoensis and A. koreana showed up 1.792, 1.652, 1.389 mm/yr and 2.081, 1.921, 1.576 mm/yr for small, middle and large diameter tree, respectively.

지리산 세석 구상나무림의 사면별 생태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Slope of an Abies koreana Forest in Seseok of Jirisan National Park)

  • 노일;정재민;김태운;타미랏 솔로몬;문현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3-302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n Abies koreana forest through analyz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slope in Seseok, Mt. Jirisan. Soil moisture content at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was 29.9% and 21.7%,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oil properties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The importance value of A. koreana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was high for tree and subtree layers, respectively. It is noteworthy that many seedling and saplings of A. koreana were present on the southern slope. The species diversity was 0.413 for the tree layer, 0.632 for the subtree layer, and 0.609 for the shrub layer on the southern slope and 0.396 for the tree layer, 0.783 for the subtree layer, and 1.215 for the shrub layer on the northern slope. Evenness and dominance ranged from 0.371 to 0.609 and 0.629 to 0.391 on the southern slope and from 0.380 to 0.968 and 0.620 to 0.032 on the northern slope, respectively. The mortality of A. koreana was 9.6% on the southern slope and 24.4% on the northern slope,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slopes. The mortality type at two slopes was the highest proportion of standing dead. Annual mean tree ring growth of A. koreana on the southern slope (1.76 mm/yr) was higher than that on the northern slope (1.64 mm/yr).

65년생 소나무림에서 송이 균환 생장 (Fairy Ring Growth of Tricholoma matsutake in 65-year-ol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Stand)

  • 가강현;박현;허태철;윤갑희;박원철;여운홍;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5-98
    • /
    • 2002
  • 송이 균환의 생장을 알아보기 위하여 1) 균환 선단의 1년간($1999{\sim}2000$) 생장 길이 측정과 2) 2000년의 균환선단을 기점으로 $1997{\sim}2000$년 송이 발생위치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65년생 소나무림에서 송이 균환 선단은 1년간 평균 11.3cm 생장하였고 ($1999{\sim}2000$), 연도별 ($1997{\sim}2000$) 송이 자실체 발생위치는 연평균 11.3cm 이동하였다. 또한 송이 균환 선단에서 송이 버섯간 거리는 2000년 경우에는 균환선단 안쪽 13.8cm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당년의 송이 발생위치는 1년 전에 땅속의 송이균사들이 생장하였던 곳임을 알 수 있었다. 송이는 송이 균환의 보호 차원에서 송이 버섯발생 위치에서 50cm 떨어진 밖에서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청평 내수면에 서식하는 엷은재첩, Corbicula (Corbiculina) papyracea Heude의 성장모수 추정 (Estimation of Growth Parameters of Corbicula (Corhiculina) papyracea Heude from Chungpyeong)

  • 권대현;강용주;김대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57-562
    • /
    • 2002
  • This study was to estimate population growth parameters of the freshwater bivalve, Corbicula (Corbiculina) papyacca (Heude) in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ojong stream in Chungpyeong from September 1999 to August 2000. Ages were determined from the ring of shell, The shell length of the samples ranged from 4,2 mm to 28.1 mm, The ring on the surface of shell was formed once a year from January to March, Marginal increment analysis of shell rings indicated that annuli were formed in June. Spawning period was estimated to be May to August with a peak between June and July through fatness analysis, and thus rings were considered to be true annual marks. Von Bertalanffy's growth parameter were estimated from a nonlinear method with the value of logical maximum shell length ($L_{propto}$) was 34,36 mm, K was 0.1531/year, logical age of shell length 0 ($t_{0}$) was -0,5246 year, and logical maximum total weight ($W_{propto}$) was 11.42 g.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한 소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Climatic Factors Based on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 임종환;박고은;문나현;문가현;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249-257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에 의해 수집한 소나무의 연륜생장 목편자료에 근거하여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소나무의 연도별 생장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1951년부터 2010년까지 60년 동안의 연륜생장 자료를 정리하였다. 또한 소나무가 분포하는 시군을 대상으로 일별 평균기온과 강수량의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연도별 생장도일과 표준강수지수를 산출하였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기후조건이 소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온도효과지수와 강수효과지수를 추정하였으며, 이들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소나무의 연륜생장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추정식을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에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가 소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2011년부터 2100년까지 90년 동안의 연륜생장 변화를 예측한 결과 시간이 경과하면서 연륜생장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CP 4.5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상대적으로 생장감소가 적은 반면, RCP 8.5를 적용하면 2050년 이후에는 큰 폭으로 연륜생장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소나무의 지역별 생장특성의 추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 수종의 연륜형성(II) - 수지구, 타일로시스 및 만재부 형성 - (Annual Ring Formation in Major Wood Species Growing in Chuncheon, Korea(II) - Formation of Resin canals, Tyloses and Latewood -)

  • 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1-7
    • /
    • 2005
  •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 침엽수 2수종(소나무, 잣나무)과 활엽수 2수종(신갈나무, 아까시나무)의 생장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륜형성 과정에서 수지구, 타일로시스 및 만재부 형성시기를 조사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의 수직수지구는 각각 7월 초 중순경과 5월 초순경에 형성되어 잣나무 수직수지구의 출현이 소나무보다 상당히 빠른 것을 보여주었다. 신갈나무의 도관내 타일로시스는 5월 중순경에, 아까시나무는 5월 하순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소나무의 만재부 형성기는 8월 중순경, 잣나무는 9월 하순에서 10월 초순경으로 관찰되었다. 신갈나무는 5월 하순경에, 아까시나무는 6월 초 중순경에 조재부 도관의 형성이 완료됨과 동시에 만재부의 도관과 다른 세포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동일 환경조건에서 생장하였더라도 수종에 따라 수지구, 타일로시스 및 만재부 형성 시기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확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전영문;이호영;권재환;박홍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5-577
    • /
    • 2019
  • 설악산 분비나무 개체군의 쇠퇴징후에 대한 요인과 군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지역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군락구조, 개체군동태, 비대생장 및 활력도 등을 2009년부터 모니터링 하였다. 설악폭포지를 제외한 3개 조사지는 아교목층이 수관층을 형성하는 3층구조를 보였다. 목본수종의 중요치에서는 분비나무, 눈측백,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분포하였으며, 설악폭포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45.3%에서 2018년 36.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생육목의 개체수($DBH{\geq}5cm$)는 귀때기청봉2와 관모능선에서 각각 1,800개체/ha와 1,700개체/ha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 10년 동안 고사율은 귀때기청봉1과 설악폭포지에서 각각 38.3%와 3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분비나무 개체군의 흉고직경급 분포에서는 귀때기청봉1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인 역 J자형의 분포를 보였다. 분비나무의 연평균 비대생장은 0.96~1.73mm/year 였으며, 활력도가 감소 추세를 보인 귀때기청봉2, 관모능선, 설악폭포 지역에서 비대생장은 대체로 생장이 저하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향후 모니터링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고산 식생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개체군의 식생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Populations in Jirisan National Park)

  • 전영문;김상민;박은희;박선홍;이호영;김진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08-423
    • /
    • 2021
  • 지리산 구상나무개체군의 쇠퇴 요인과 군락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7개 지역에 조사구를 설치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세석조사구를 제외한 6개 조사구의 층상구조는 4층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조사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상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55.7%에서 2018년 39.8%로 2009년 대비 28.5%라는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다. 흉고직경 5cm 이상의 개체수에서는 조사구 전체 평균이 2018년 711개체/ha 이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누적 고사율 평균은 10.8% 이다. 고사 유형에서는 서서 고사하는 유형(Dead Standing, DS)이 조사구 전체의 82.4%로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입지의 경사도가 35° 로 높은 반야봉1 조사구의 경우 DS유형을 제외한 기타 유형이 44.2%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개체군의 직경급 분포 유형은 세석평전에서 역 J자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적인 군락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체 조사구를 대상으로 한 비대생장값의 평균은 1.09mm/year 였으며, 주로 아교목상의 개체들이 수관층을 형성하고 있는 세석평전에서 가장 왕성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나이테 조사 결과, 벽소령과 반야봉1 조사구에서 구상나무의 평균 수령은 102년과 91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활력은 2013년 이후 대체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남해안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 (Günther)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Günther)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김희용;허선정;김성태;서영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1호
    • /
    • pp.35-41
    • /
    • 2015
  • The age and growth of the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were investigated using left sagittal otoliths of 832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mid-southern waters of Korea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07. The seasonal changes in the ratio of an translucent zone to interval between annular rings reveale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translucent and opaque parts of the otolith were annual growth rings formed between May and June once a year. The spawning period was November to March and therefore the duration from fertilization to the complete formation of the annual growth ring became fifteen months. The parameters of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s estimated using the average standard length at each age are the $L_{\infty}$ of 48.04cm, K of 0.1406/year and $t_0$ of -0.5116 for female and 26.14cm, 0.3056/year and -0.8202 for male, respectively.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growth of female is faster than that of male from ag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