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Temperature Cycl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천연가스 액화를 위한 캐스케이드 냉동사이클의 전산모사에 대한 연구 [2]: 다단 캐스케이드 냉동 사이클에 적용 (A Simulation Study on the Cascade Refrigeration Cycle for the Liquefaction of the Natural Gas [2]: An Application to the Multistage Cascade Refrigeration Cycle)

  • 조정호;김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013-101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천연가스를 액화시키기 위해서 프로판, 에틸렌 및 메탄 냉매를 이용한 다단 캐스케이드 냉동사이클에 대한 전산모사를 PRO/II with PROVISION 8.3에 내장되어 있는 Peng-Robinson 상태방정식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천연가스의 조성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제공받은 것을 적용하였으며, 유량은 연간 500만톤으로 가정하였다. 프로판 냉매의 공급온도는 $-40^{\circ}C$로, 에틸렌 냉매의 공급온도는 $-95^{\circ}C$로 메탄 냉매의 공급온도는 $-155^{\circ}C$로 각각 정하였으며, 천연가스와 각각의 냉매의 최소 접근온도는 $3^{\circ}C$로 정하였다. 다단 냉동을 위한 프로판 냉동 사이클은 3단 냉동을 가정하였으며, 에틸렌 냉동 사이클은 2단 냉동을 그리고 메탄 냉동 사이클은 3단 냉동을 가정하였다. 메탄 냉매에 의해서 $-152^{\circ}C$까지 냉각된 천연가스는 줄-톰슨 팽창에 의해서 $-162^{\circ}C$까지 냉각되어 액화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캐스케이드 냉동 사이클과 줄-톰슨 팽창을 통한 천연가스의 액화율은 몰 비로 91.71%이며, 액화천연가스 1.0 kg/hr당 0.433 kW의 압축 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표수 열교환기 설계 변수와 적용 효과에 대한 선행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n Design Parameters and Application Effects of Surface Water Heat Exchanger (SWHE))

  • 손병후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4-32
    • /
    • 2016
  • Commercial buildings and institutions are generally cooling-dominated and therefore reject more heat to a borehole ground heat exchanger (BHE) than they extract over the annual cycle. Shallow ponds can provide a cost-effective means to balance the thermal loads to the ground and to reduce the length of BHE.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mpact of design parameters on the length of SWHE pipe and its application effect on geothermal heat pump (GHP) system using BHE. In order to analysis, we applied ${\varepsilon}-NTU$ method on designing the length of SWHE pip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equired pipe length of SWHE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pproach temperature difference and with the decrease of pipe wall thickness. In addition, when the SWHE was applied to the GHP system, the temperature of BHE was more stable than that of standalone BHE system.

Soil CO2 Efflux and Leaf-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Stand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r

  • Kim, Sung Bin;Jung, Nam Chul;Lee, Kye-Ha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83-188
    • /
    • 2009
  •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O_2$) absorbed by plants and released from forest floor into atmosphere,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how forests participate in the global carbon cycle. Soil $CO_2$ efflux, litter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in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stands in the vicinity of Gwangju, Chonnam province. Soil $CO_2$ efflux was measured using Infrared Gas Analyzer (IRGA) at midday of the 10th day at every month over 12-month period, to quantify seasonal and annual budgets of soil $CO_2$ efflux.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Seasonal soil $CO_2$ efflux in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were the highest in summer season. In August, maximum soil $CO_2$ efflux in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was 7.49, $4.61CO_2{\mu}mol{\cdot}m^{-2}{\cdot}s^{-1}$, respectively. Annual $CO_2$ efflux in each stand was 1.77, $1.67CO_2kg{\cdot}m^{-2}$ respectively. Soil $CO_2$ efflux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soil temperature and related strongly in Q. variabilis ($r^2$=0.96), and in P. densiflora ($r^2$=0.91). Litter production continued throughout the year, but showed a peak on November and December. Annual litter production in the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stands were $613.7gdw{\cdot}m^{-2}{\cdot}yr^{-1}$ and $550.5gdw{\cdot}m^{-2}{\cdot}yr^{-1}$.$yr^{-1}$, respectively. After 1 year, % remaining mass of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litter was 48.2, 57.1%, respectively. The soil $CO_2$ efflux rates in this study showed clear seasonal variations. In addition, the temporal variation in the $CO_2$ efflux rat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il temperature fluctuation rather than to variations in the soil moisture content. The range of fluctuation of soil $CO_2$ efflux and litter decomposition rate showed similar seasonal changes. The range of fluctuation of soil $CO_2$ efflux and litter decomposition rate was higher during summer and autumn than spring and winter.

돌매화나무 서식지로서 한라산 정상 암벽 표면의 온도특성 (Rock-Surface Temperatures of the Summit Area of Mt. Halla as a Habitat for an Arctic-alpine Plant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 김태호;이승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9-101
    • /
    • 2018
  • In Mt. Halla, an arctic-alpine plant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largely clings to rock surfaces. We observed the rock-surface temperatures of a rocky ridge on the summit area of the mountain from late April 2009 to early May 2010 in order to examine the diurnal and annual temperature variations and the thermal amplitude. We also investigated temperature regimes such as the frequency of freeze-thaw cycles and the temperature change, which might endanger the habitat through frost weathering. For comparison of slope aspects, temperature monitoring was carried out on the north and south faces of the same rocky ridge. The south face experiences the high daily maximum rock-surface temperatures and the high thermal amplitudes during the unfreezing season of May to November 2009. The temperature regimes are considered to exert physiological stress to the arctic-alpine plant. In addition, the south face shows the high frequency of freeze-thaw cycles during the seasonal freezing period of December 2009 to April 2010. This indicates that the south face is susceptible the exfoliation and granular disintegration of rock surfaces, which results in habitat destruction. As a consequence, the south face is believed to be less favorable for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the arctic-alpine plant than the north face on the summit area of Mt. Halla.

천연가스 액화를 위한 캐스케이드 냉동사이클의 전산모사에 대한 연구 [1] (A Simulation Study on the Cascade Refrigeration Cycle for the Liquefaction of Natural Gas [1])

  • 김소희;조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52-55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천연가스를 액화시키기 위해서 프로판, 에틸렌 및 메탄 냉매를 이용한 캐스케이드 냉동 사이클에 대한 전산모사를 PRO/II with PROVISION 8.3에 내장되어 있는 Peng-Robinson 상태방정식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천연가스의 조성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제공받은 것을 적용하였으며, 유량은 년간 500만톤으로 가정하였다. 프로판 냉매의 공급온도는 $-40^{\circ}C$로, 에틸렌 냉매의 공급온도는 $-95^{\circ}C$로 메탄 냉매의 공급온도는 $-155^{\circ}C$로 각각 정하였으며, 천연가스와 각각의 냉매의 최소 접근온도는 $3^{\circ}C$로 정하였다. 메탄 냉매에 의해서 $-152^{\circ}C$까지 냉각된 천연가스는 줄-톰슨 팽창에 의해서 $-162^{\circ}C$까지 냉각되어 액화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캐스케이드 냉동 사이클과 줄-톰슨 팽창을 통해서 천연가스의 액화율은 몰비로 91.64%임을 알 수 있었다.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Estradiol-17β 변동 (Profile of Plasma Estradiol-17β According to Ovarian Development of the Pike Eel, Muraenesox cinereus)

  • 김대중;김이청;손맹현;이정의;손상규;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51-1854
    • /
    • 2009
  • 본 연구는 통영 해역에서 채집되어진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생식년주기에 있어서 난소 발달과 생식소중량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변화에 따른 혈중 estradiol- $17{\beta}$ ($E_2$) 농도 변화를 서로 연관시켜 조사하였다. 난소 성숙도는 조직학적 관찰을 기초로 주변인기(11월-2월), 유구기(3월-4월), 초기 난황형성기(4월-5월) 및 후기 난황형성기(6월-10월)로 나 눌 수 있었다. GSI의 계절적 변화는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의 성숙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혈중 $E_2$ 농도는 GSI 변화와 관련이 있어 4월에 증가하여 7월에 년중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10월까지 비교적 높은 농도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SI와 혈중 $E_2$ 농도 변화는 갯장어 난소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산란기의 암컷 갯장어를 채집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산란기의 개체는 외해의 심해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파랑볼우럭, Lepomis macrochirus의 생식기구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Mechanism of Reproductive Cycle in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 이택렬;김성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89-500
    • /
    • 1987
  • 파랑볼우럭, Lepomis macrochirus의 생식주기성립기구를 밝히고저 자연을 대상으로, 생식주기를 비롯하여 산란횟수, 군성숙도 및 포란수를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생식소의 활성과 퇴화 그리고 재성숙에 미치는 수온 및 광주기의 영향을 실험적으로 밝혔다. 1. 자연산 생식년주기는 수온이 상승하며, 일장이 결어지는 3월부터 성장하기 시각하며, 6월에는 완숙기가 되고 7월에 산란성기를 이룬다. 이후 년중최고 수온기이며 일장이 짧아지는 8월부터 생식소는 퇴화 되어 휴지기로서 월동한다. 2. 춘계생식소의 활성화에는 고수온($15^{\circ}C$이상)과 장일광주기(14 L 이상)의 복합적 작용이 필요하다. 3. 생식소의 성숙에는 14 L 이상의 장일광주기가 유지되어야 하며 이때 수온상승은 보상적으로 작용한다. 4. 생식소퇴화는 고수온($25^{\circ}C$이상)에 의해 초래되며 일장의 단일화가 촉진적 역할을 한다. 5. 산란기를 마치고 휴지기에 접어든 개체도 장일광주기(15 L)에서 재성숙되고 있어, 이들 생식주기는 인공적으로 제어가 가능함을 시사해 준다.

  • PDF

한강하류수역의 기초생산과 식물플랭크톤 색소량의 년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Primary Productivity and Pigments of Downstream Water of the Han River)

  • 최상;정태화;곽희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5
    • /
    • 1968
  • 천연하천수는 다면적인 용도를 지니는 귀중한 천연자원이다. 선진국가에서의 예를 들지않드라도 우리의 사회생활이 발전함에 따라 물의 용도는 너무나 다양하게 요구되는 것이며, 이로 인한 수많은 오염요소는 물과 그 속의 천연자원을 파괴하는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천연자원은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속성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이용해야 할것이고 또 그 자원은 항구적인 보존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적지않은 하천수계가 있으나 그 활용은 아직은 미미한 상태에 있다. 하천수를 포함한 내수면의 수산업적이용도 그 중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니, 각하천수계의 어업생물학적조사, 수질조사를 비롯하여 식용어, 유어자원 또는 유용생물자원의 함양은 시급하게 착수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

  • PDF

전복의 증식에 관한 연구 (II) 여수근해산 한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의 산란기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THE ABALONES (II) The spawning season of Haliotis discus hannai Ino in the adjacent areas of Yeosu)

  • 노섬;박춘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4-241
    • /
    • 1975
  • 여수근해산 한전복 Haliotis discus hannai를 재료로 1973년 1월-12월까지 매월 1회씩 24회에 걸쳐 생식선열도지수, 성열도계수, 비만도등의 월변화와 각장 및 전중량의 생식선중량과의 관계, 수온조건 및 자연산모패의 산란유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수근해산 한전복의 산란가능기간은 5월 하순-7월하순과 9월상순-11월하순이며, 주요산란기는 5월하순-6월중순과 9월하순-11월하순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2. 생식선성열도계수가 극대치를 보인 것은 5월의 44.10과 9월의 49.05였고, 최소치는 1월의 10.09였다. 3. 비만도는 년중 7월이 0.221로 가장 높았으며, 10월에 0.1058로 가장 낮았다. 4. 각장(SL)에 대한 생식선중량(GW)의 비가 년중 가장 높았던 달은 9월이었고, 가장 낮았던 달은 1월로서 이때의 관계식은 9월 : $GW=0.0000003710SL^{3.7860}$ 1월 : $GW=0.000021198SL^{2.8564}$ 각년평균치 : $GW=0.0000005013SL^{4.2273}$ 으로 각각 표시되었다. 5. 전중량(TW)에 대한 생식선중량(GW)의 비가 년중 가장 높았던 달은 9월이었고, 가장 낮았던 달은 1월로서 이때의 관계식은 9 月 : GW=0.1918TW-4.9231 1 月 : GW=0.0992TW-0.1759 주년평균수 : GW=0.1568TW-3.5236으로 표시되었다.

  • PDF

섬진강 서식 동남참게(Eriocheir japonicus)의 생식년주기와 암컷 생식소의 성숙과 포란에 미치는 환경적 요인 (Reproductive Cycl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onadal Maturation and Egg Breeding of the Freshwater Mitten Crab, Eriocheir japonicus Living in Sumjin River)

  • 이현기;임상구;김대중;김대현;이재용;김명희;김병기;한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31-241
    • /
    • 2008
  • 본 실험은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의 명확한 생식년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그들의 자연 서식처인 섬진강에서 채집한 성체 참게의 생식소 조직의 계절적인 변화 그리고, 암 참게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에 미치는 환경요인 즉, 온도, 광주기 그리고, 염분 농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암 참게의 생식소 발달과 GSI의 계절적 변화를 기초로하여 생식년주기를 다음과 같이 4단계로 구분하였다: 난황형성전기$9{\sim}10$월), GSI는 낮았으며, 난소내에는 난황형성전기와 감수분열전기의 난모세포들을 가지고 있었다; 성숙기(11월$\sim$다음해 3월), GSI는 점차적로 증가하여 난모세포내에는 난황구들이 축적되었다;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광주기 조건(12L12D, 9L15D)에 관계없이, $10^{\circ}C$ 실험군의 암 참게보다, $18^{\circ}C$ 실험군의 암 참게의 GSI가 더욱더 증가하였다. 그리고, $26^{\circ}C$ 실험군에서 두 개의 광주기 조건(12L12D, 9L15D)에서 암 참게의 GSI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난소내에는 난황이 축적되고 있는 난모세포들은 없었다. 산란은 수온과 염분 농도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으며, 난황형성중인 암 참게는 두 달간 사육하여도, $10^{\circ}C$에서는 전혀 산란을 하지 않았으며, $18^{\circ}C$$26^{\circ}C$에서 사육한 암 참게의 반 이상은 염분 농도 9.6%o와 19.2%o의 조건하에서 산란하였다. 그러나, 염분 농도 0.0%o의 조건에서는 산란한 암 참게가 한 마리도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