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als of Chosun Dynast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조의 공문서 및 왕실자료에 나타난 장류 (Jang(Fermented Soybean) in Official and Royal Documents in Chosun Dynasty Period)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68-382
    • /
    • 2012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및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문집,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 의궤, 공문서 등의 문헌에 나타난 33가지 장의 종류 및 소요량, 장에 의한 백성의 구제, 장 관련 제도 등을 밝혔다. 우리나라 지명에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콩(豆)이 들어간 지명이 많다. 만주지역과 우리나라가 콩의 원산지이기 때문이다. 조선조에서는 콩과 소금, 메주를 세금으로 받거나, 공납 받아 장을 만들었다. 현종 5년(1664) 호조의 콩 저장량은 90,000여 섬(16,200 $k{\ell}$), 1년 소요량은 42,747섬(7,694 $k{\ell}$)이었다. 영조 32년(1756) 재해에 콩 10,000섬(1,800 $k{\ell}$)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고, 영조 36년 (1756) 재해에는 전국의 세두 85,700섬(15,426 $k{\ell}$)을 감면하여 주었다. 조선조의 장 담당 관청은 내자시, 사선서, 사도시, 예빈시, 봉상시 등이고, 총융청(경기군영)의 장은 973섬(175.14 $k{\ell}$), 예빈시의 장은 1,100여 섬(198 $k{\ell}$)이다. 장을 담당한 직책은 장색, 장두, 사선식장 등이 있다. 정조 때(1777~1800) 왕실에서는 메주를 가순궁, 혜경궁, 왕대비전, 중궁전, 대전에 연간 20섬(3.6 $k{\ell}$)씩 공급하고, 감장은 가순궁 74섬 5말 1되(13.41 $k{\ell}$), 혜경궁 95섬 7말 2되 6홉(17.23 $k{\ell}$), 왕대비전 94섬 9말 5되 4홉(17.09 $k{\ell}$), 중궁전 84섬 11말 3되 4홉(17.17 $k{\ell}$)을 공급하였다. 장독은 어장고에 112개 있고, 남한산성 장창고에 690개가 있는데, 연간 15섬(2.7 $k{\ell}$)씩 장을 담갔다. 백성들이 굶주리면 나라에서 장으로 백성을 구제하였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대량 구제 기록이 20여 차례 있다. 세종 5년(1423) 굶주린 사람들에게 콩 2천섬(360 $k{\ell}$)으로 장을 담가주고, 세종 6년(1424)에는 쌀, 콩, 장을 47,294섬(8,512.92 $k{\ell}$)을 주고, 세종 28년(1446)에는 콩 46,236섬(8,322.68 $k{\ell}$)으로 장을 담가주었다. 조정에서는 장을 급료로도 주었다. 상을 당하여 장을 먹지 않고 참으면 효행으로 표창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장은 19종류로 장(108), 염장(90), 말장(11), 육장(5), 감장(4)의 순이다. 승정원일기에는 11종류로 장(6), 청장(5), 말장(5), 토장(3)의 순이고, 일성록에는 5종류로 장(15), 말장(2), 감장(2)의 순이다. 의궤 및 공문서에는 13종류로 감장(59), 간장(37), 장(28), 염장(7), 말장(6), 청장(5)의 순이고, 시로는 전시(7)와 두시(4)가 있다. 이 중 육장 외에는 모두 콩만으로 만드는 장이다. 문집, 조리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 의궤 및 공문서 여섯 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된 장류는 장(372), 염장(194), 감장(73), 청장(46), 간장(46), 수장(33), 말장(26) 등 콩으로 만든 장으로, 조리서에 존재하는 중국계 장은 문집과 왕실자료에는 없다. 따라서 조선시대 백성들과 왕실, 조정의 식생활에서는 콩으로 만든 전통 장이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궁중의 천신(薦新) 식품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hunshin(薦新) Ceremony Food Items from Annals of the Chosun Dynastys)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89-501
    • /
    • 2002
  • The list of monthly offering items of the Chunshin(薦新) ceremony, the service of offering the first food product of year to ancestors, shown in the Walryong(月令) in Oreaeui(五禮儀), the book written in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was studied and classified by food group. Six kinds of the cereals and grain products - barley, wheat, an early-ripening rice plant, a barnyard millet, and millet seed were offered. The meat products offered were wild geese, pheasants, swans, hares and dried-pheasants. Though not shown in e Walryong, roe deer and deer were offered from hunting trips in e winter. Eight kinds of sea-fish, six kinds of fresh-water first and six kinds of other seafood such as crab, octopus, and squid were offered. Ten kinds of vegetables: bamboo shoots, e99plants, cucumbers, etc. - were offered. Eleven kinds of tree fruits - cherries, apricots, Pears, etc., seven kinds of citrus fruits - tangerines, citrons, etc., seven kinds of nuts - chestnuts, pine-nuts, etc. and two kinds of melons - watermelons etc. - were offered. The hi인est variety in the offering items was the fruits category The remaining offering items included wine brewed from new rice. new brown seaweed, and green tea.

  • PDF

조선시대 '김치(沈菜)'문화의 원형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Archetype of Kimchi in the Chosun Dynasty)

  • 강용중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113-142
    • /
    • 2017
  • 이 논문은 조선시대 기록문헌인 "한국문집총간",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이상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를 활용함) 등을 대상으로 김치 관련 어휘를 확보하여 용례를 검출하고 문화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김치 관련 문헌자료는 일부 요리 전문서에 국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한성을 극복하고 종합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조선시대 고문헌은 주로 한문 고문으로 기록되어 가독성이 떨어지며, 자료 확보 이후에 번역 작업에 많은 시간과 공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필자는 이 부분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이상의 자료들을 주제별, 문헌 출처별 분류를 진행하여 조선시대 김치문화의 문화원형을 재구성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및 측우기 기록에 나타난 주요호우사상의 평가: 1. 정성적 평가 (Evaluation of Major Storm Events Both Measured by Chukwooki and Recorded in Annals of Chosen Dynasty: 1. Qualitative Approach)

  • 유철상;김대하;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7호
    • /
    • pp.533-5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의 문헌 기록 호우사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먼저, 조선왕조실록의 문헌기록에 대한 사상은 '큰비', '큰물', '홍수', '폭우'의 네 가지 키워드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큰비'가 포함된 사상의 경우, 피해상황이나 규모 등이 자세하게 기록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지만 '큰물', '홍수', '폭우'의 경우, 그 피해 정도나 규모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즉, '큰비'의 경우는 비의 절대량만으로 판단하여 기록된 것이고 '큰물', '홍수', '폭우'의 경우는 비의 절대량보다는 유출에 의해 피해가 비교적 컸던 경우 기록된 것으로 판단된다. 간단한 유효 우량 산정방법인 SCS방법을 적용하여 유효우량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대체로 '큰비'의 경우는 선행 5일 강수량의 크기가 작아 AMC-I 조건인 경우가 많았고 반대로 '큰물', '홍수', '폭우'의 경우는 선행 5일 강수량이 상당히 커 AMC-III 조건이 대부분 이었다. 이에 따라 강수량 대비 유효우량은 '큰물', '홍수', '폭우'의 경우가 '큰비'에 비해 훨씬 크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피해기록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유출로 인한 피해가 큰 경우라 할 수 있으며 '큰물', '홍수', '폭우' 문구가 포함된 기록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미륵리 봉산석표(封山石標)에 관한 연구(硏究) - '문경읍(聞慶邑) 봉산(封山)' 및 조령봉산(鳥嶺封山)과 관련(關聯)하여 - (A Study on the Miruk-ri Bongsan Stone Landmark - With a Relevance to the 'Moonkyung County Bongsan' and Choryung Bongsan -)

  • 배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85-194
    • /
    • 1999
  • 본 연구는 1997년에 발견된 '미륵리 봉산석표(封山石標)'와 '문경읍(聞慶邑) 봉산(封山)' 및 조령봉산(鳥嶺封山)의 관련성을 밝혀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조선 후기 지리지(地理誌), 읍지(邑誌), 지도(地圖),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등을 이용한 문헌분석과 현장답사를 병행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미륵리 봉산석표(封山石標)'는 조령봉산(鳥嶺封山)의 경계표식석(境界標識石)이며, (2)지정 목적은 한양의 문호(門戶)며 남한강(南漢江)에 접속된 충주를 방어하기 위해 설치된 조령관방(鳥嶺關防)의 산림을 보호하는 데 있었다. (3)미륵리에 봉산석표(封山石標)를 세웠던 이유는 그곳이 오래 전부터 조령(鳥嶺), 문경(聞慶), 충주(忠州)를 이어주는 교통상의 요지(要地)에 위치하여 왕래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봉산(封山)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 PDF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의안(醫案)을 통해 살펴본 경종(景宗)의 기질(奇疾)에 대한 이해 (A Study of King Kyung-jong's strange diseases according to Medical records from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Chosun Dynasty』)

  • 김동율;김남일;차웅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53
    • /
    • 2013
  • In this paper, King Kyung-Jong's strange diseases which had been exacerbated by the Sinim-Sahwa(辛壬士禍) are researched and discussed. The subject will be described mostly based on health and medical records from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Chosun Dynasty(承政院日記)" and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朝鮮王朝實錄)". Sinim-Sahwa had occurred for two years. It is thought that the beginning of it was 'a controversy on a proclamation of a crown prince, Yeon Ing Goon'. At the first year of Kyung-Jong's ruling, August 21, the No-Ron demanded a king's heir be decided as soon as possible, the king asked Yeon Ing Goon as his successor because of his 'strange diseases'. In October of the same year, the conflict between No-Ron and So-Ron parties reached its peak after a dispute about 'regency from behind the veil for the crown prince' at that time. Kyung-jong added that he had a mysterious and heavy disease and there was little hope to recover from it. Some opposing courtiers emphasized the king was in his good health and there weren't any actual diseases he suffered. But Kyung-Jong stubbornly persisted the diseases he had were so heavy that he couldn't get well readily. In detail, he announced his disease had so deeply rooted in internal organs that he could feel some kind of heat and fire arousal form his heart, then rage and resent soaring. Eventually, on 16th, the No-Ron party followed the king's demand, thus the king's health and illness condition itself was gradually getting off the subject. It seems that Kyung-jong's strange diseases was hwa-byung(火病). His symtoms are similar to the symtoms of hwa-byung. Environment he lived, was enough to cause hwa-byung. as a result, Sinim-Sahwa was the event what his hwa(火) was erupted.

기록과 실물을 통해 본 조선시대 습신(이(履)·혜(鞋)) - 김원택 일가 출토 습신 중심 - (A Study on Supsin(Shoes for dead) in 18th Centur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Records and Excavated Relics)

  • 장인우
    • 복식
    • /
    • 제65권8호
    • /
    • pp.95-10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upsin (shoes for dead) in late Chosun dynasty through records and excavated relics. The research records in this study were two types which one was official records as The Annals of The Chosean Dynasty(朝鮮王朝實錄), Dairy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ets and the other was private records as Korean literary collections of confucian scholars in classical chinese(文集) ect. as for relics use two types of materials that one is the excavated supsins and the other is Research Reports of Excavated Costumes published from museums. Through the Collections, we can notice that shoes were several types which Wunhae(雲鞋), Danghae(唐鞋) Onhae(溫鞋) Wunli(雲履), Taesahae(太史鞋) in Chosun dynasty. these were worn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wearer's gender, the social status, daily life or rituals, inside or outside in palace. Wunhae and Wunli was the most ceremonial shoes for man and Onhae was the most ceremonial shoes for woman. the dead man worn the Wunhae or Wunli for Supsin and the dead woman worn Onhae. we could see they use the most ceremonial shoes for supsin. through the records, we could see the change that Women's Supsin was written for the first time in 18th Saraepyenram(四禮便覽). men's Supsin was recorded as '履', while Women's Supsin was recorded as '鞋' in Saraepyenram. the reason for making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in costumes(男女有別). and the excavated Supsin showed that the dead worn more ceremonial shoes than records. these changes mean one of the results for making korean style rituals from chinese style(國俗化).

역사문헌 고찰을 통한 조선시대 산불특성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 Survey)

  • 김동현;강영호;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8-21
    • /
    • 2011
  • 본 연구는 역사기록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518년 동안 산불발생 및 특성에 관한 기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역사기록서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국역비변사 등록, 각부청의서존안, 철종행장 등으로 조선시대 왕조별로 산불이 기록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역사기록문헌에서 기록된 산불 내용은 발생 개요, 산불 종류, 산불피해 등에 관한 사항과 함께 송전(松田)의 산불예방 조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시대 역사기록서를 분석한 결과, 산불발생건수가 많았던 왕조는 현종(14건)과 순조(13건)로 강풍으로 인한 산불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기록되었고 최대 산불피해는 순조 4년(1804)에 발생한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사망자 61명, 민가 2,600호가 소실되었다. 또한 최대 인명피해가 발생한 산불은 현종 13년(1672)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65명이 사망하였다. 조선시대 산불 발생 원인은 원인미상(42건)>실화(10건)>방화, 낙뢰(3건)>수렵입화(2건)>어린이 불장난, 논밭두렁소각, 가옥화재(각 1건)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산불발생은 동해안 지역이 39건(56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산불발생은 봄철기간 산불이 46건(73 %)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중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기간은 4~5월로 현재의 산불위험시기와 유사하다. 산불관련자에 대한 처벌의 경우, 방화자 및 실화자에 대해서는 유배, 관직박탈, 효시 등의 처벌기록과 관리지역 책임자에 대한 문책이 기록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시대의 경우에도 산불 위험성과 심각성에 대해 여러 문헌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현재 우리나라 산불발생 기간 및 지역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빈도해석에서의 측우기자료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for usefulness of Chukwookee Data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 김기욱;유철상;박민규;김대하;박상형;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26-1530
    • /
    • 2007
  • In this study, the chukwookee data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at for the historical rainfall frequency analysis. To derive a two 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by using historical data and modern data, censored data MLE and binomial censored data MLE were applied. As a result, we found that both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ll estimated smaller with chukwookee data then those with only modern data. This indicates that rather big events rarely happens during the period of chukwookee data the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using the parameters estimated were also similar to those expected. The point to be noticed is that the rainfall quantiles estimated by both methods were similar, especially for the 99% threshol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historical document records like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could be valuable and effective for the frequency analysis. This also means the extension of data available for frequency analysis.

  • PDF

조선왕조실록의 호우기록을 이용한 확률강우량의 변동성 (Probable rainfall variability using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 박민규;유철상;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131-11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의 호우기록을 이용하여 강우량 기록기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얻어 이를 반영했을 때의 확률강우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선왕조실록은 약 500여년에 걸친 조선왕조의 주요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으며 큰 피해를 입힌 홍수나 가뭄피해 및 현상을 잘 기록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의 경우 조선초기부터 강우량의 과학적 측정에 대한 관심으로 측우기를 개발하여 전국적인 우량 관측망을 갖춘 바 있으며 현재는 영조 말년에 해당하는 1777년 이후의 측우기 기록이 남아있다. 따라서 조선왕조실록의 큰 호우사상이 발생하였을 때의 기록을 당시의 대처, 기록방법 등의 검토와 함께 측우기 기록과 비교하여 조선왕조 전체에 걸친 주요호우사상을 판별할 수 있었다. 이때, Stedinger가 제시한 censored data를 이용한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할 경우 조선왕조실록을 검토하여 얻은 주요 호우사상의 개략적인 규모 및 회수를 이용하여 확률 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일정기간동안 특정 크기 이상의 호우사상의 크기를 안다면 연속적인 연최대강우량계열이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현대 강우빈도해석의 가장 큰 문제는 자료의 관측기간의 부족으로 인해 고빈도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조선왕조실록과 측우기 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강우자료를 확보한 효과를 반영할 때 확률강우량은 현재보다 상당히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