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tion blend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Linear Interpolation Transition of Character Animation for Immediate 3D Response to User Motion

  • Lim, Soo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methods for performing transition that have visual representation of corresponding animations with no bounce in subsequently recognized user information when attempting to interact with a virtual 3D character in real-time using user motion. If the transitions of the animation are needed owing to a variety of external environments, continuous recognition of user information is required to correspond to the motion. The proposed method includes linear interpolation of the transition using cross-fades and blending techniques. The normalized playing time of the source animation was utilized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transition interpolation length of the target animation and also as the criteria in selecting the crossfades and blending techniqu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lending, the weighting value based on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animations is used as a blending parameter. Accordingly, transitions for visually excellent animation are performed on interactive holographic projection systems.

맥스 스크립트를 이용한 바이페드 애니메이션 합성 (Biped Animation Blending By 3D Studio MAX Script)

  • 최홍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134
    • /
    • 2008
  • 오늘날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실사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광고 등 대다수의 영상물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캐릭터의 부드러운 움직임은 모션캡쳐(Motion Capture)나 숙련된 애니메이터의 키 프레임(Key Frame) 작업의 결과물일 것이다. 이런 작업들은 고가의 장비나 많은 인력을 요구하고 완성된 결과물은 수정하거나 효과를 주기가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3D Studio MAX Script를 이용한 삼차원 회전 값의 연산으로 바이페드(Biped)의 포즈나 애니메이션을 합성하고 보다 사실적인 합성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Blending Surface Modelling Using Sixth Order PDEs

  • You, L.H.;Zhang, Jian J.
    • International Journal of CAD/CAM
    • /
    • 제6권1호
    • /
    • pp.157-166
    • /
    • 2006
  • In order to model blending surfaces with curvature continuity, in this paper we apply sixth orde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PDEs), which are solved with a composite power series based method. The proposed composite power series based approach meets boundary conditions exactly, minimises the errors of the PDEs, and creates almost as accurate blending surfaces as those from the closed form solution that is the most accurate but achievable only for some simple blending problems. Since only a few unknown constants are involved,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able with the closed form solution in terms of computational efficiency. Moreover, it can be used to construct 3- or 4-sided patches through the satisfaction of continuities along all edges of the patches. Therefore, the developed method is simpler and more efficient than numerical methods, more powerful than the analytical methods, and can be implemented into an effective tool for the generation and manipulation of complex free-form surfaces.

모션 캡처 애니메이션 프로세스 연구 : 단편 애니메이션 'Drip'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tion capture animation process : Focusing on short animation film 'Drip')

  • 김지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97-104
    • /
    • 2016
  • 이 연구는 단편 애니메이션 'Drip'을 통해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과 모션 캡처 애니메이션을 융합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을 실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상호 유기적 연결을 통해 효율적인 프로세스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과 모션 캡처 애니메이션의 단점을 서로 보완하는 과정을 처리함으로써 제작 기간을 단축 시켰다. 이를 통해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과 모션 캡처 애니메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고 복합적인 프로세스를 인지하고 응용하여 효율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nalysis of Sino-American Culture in Disney Animation Mulan

  • ZHEN, ZHA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1호
    • /
    • pp.11-17
    • /
    • 2021
  • This article takes Disney animation as the research object to analyze the Chinese and American culture in the animation. The first part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animation. The theme of the animation comes from the long-standing narrative folk song Mulan Ci du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it introduces the parallel montage of animation narrative. The second part narrates the Chinese cultural elements in Mulan, and expounds on Disney's use and blending of Chinese cultural elements from three aspects of ink painting effect, national costumes and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culture, the third part analyzes how to integrate Western thought and characteristics, and contrast with Chinese culture in Mulan from three aspects: Mushu, character and hierarchy.

맥스 스크립트를 이용한 바이페드 애니메이션 합성 (Bipeds Animation Blending By 3D Studio MAX Script)

  • 최홍석;정재욱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259-266
    • /
    • 2009
  • 오늘날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실사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광고 등 대다수의 영상물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캐릭터의 부드러운 움직임은 모션캡쳐(Motion Capture)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숙련된 애니메이터들이 오랜 시간 키 프레임(Key Frame)을 수정함으로써 얻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애니메이터 개인의 감성적 기준에 따라 제작되어진 캐릭터의 행동이 관객들의 보편적 기대치와 다를 때도 있는데, 이것은 제작되어진 캐릭터의 행동과 관객들의 감성반응에 대한 객관적 관계식이 정립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3D 캐릭터의 걸음걸이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관계식 추출과 정립을 위한 실험장비로서 3D Studio MAX Script를 이용한 3차원 회전의 연산 툴을 제안한다. $2{\sim}3$개의 바이패드 데이터 수정과 합성을 주요기능으로 삼고 있는 이 툴을 통해 걸음걸이와 감성반응 사이의 정량적 관계식에 접근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용이하게 되었다.

  • PDF

레이어링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인간형 캐릭터의 감정 표현 방법 제안 (Suggestion of Emotional Expression with Human Character in 3D Animation using Layering Method)

  • 김주찬;석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7
    • /
    • 2015
  • 국내 게임 업계에서 비디오 게임 시장은 좁아지고 있고 그에 따른 자본과 인력 또한 줄어들고 있다. 이런 열악한 환경과 전문 기술력에서 나오는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보다 사실적이고 질적으로 뛰어난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과 평론가들에게서 캐릭터 감정 표현 및 전달이 잘 되었다고 평가받는 해외 전문 제작사의 애니메이션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애니메이션의 스크립트에서 Ekman의 6가지 기본 감정과 그레마스의 역동적 서술어를 이용해 캐릭터가 감정을 표현하는 행동을 선별하여 분석 및 분류하였다. 또한, 게임 제작 프로그램 유니티의 블렌딩 작업에 사용되는 '애니메이션 레이어'를 이용해서 캐릭터가 특정 감정을 표현하려 할 때 필요로 하는 행동들을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사용해서 감정을 표현하는 행동을 제작해주는 프로그램의 구상안을 제안한다.

입술 애니메이션을 위한 한글 발음의 동시조음 모델 (Coarticulation Model of Hangul Visual speedh for Lip Animation)

  • 공광식;김창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9호
    • /
    • pp.1031-1041
    • /
    • 1999
  • 기존의 한글에 대한 입술 애니메이션 방법은 음소의 입모양을 몇 개의 입모양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보간하여 입술을 애니메이션하였다. 하지만 발음하는 동안의 실제 입술 움직임은 선형함수나 단순한 비선형함수가 아니기 때문에 보간방법에 의해 중간 움직임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음소의 입술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없다. 또 이 방법은 동시조음도 고려하지 않아 음소들간에 변화하는 입술 움직임도 표현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조음을 고려하여 한글을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입술 애니메이션 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 카메라로 발음하는 동안의 음소의 움직임들을 측정하고 입술 움직임 제어 파라미터들을 추출한다.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들은 L fqvist의 스피치 생성 제스처 이론(speech production gesture theory)을 이용하여 실제 음소의 입술 움직임에 근사한 움직임인 지배함수(dominance function)들로 정의되고 입술 움직임을 애니메이션할 때 사용된다. 또, 각 지배함수들은 혼합함수(blending function)와 반음절에 의한 한글 합성 규칙을 사용하여 결합하고 동시조음이 적용된 한글을 발음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치 생성 제스처 이론을 이용하여 입술 움직임 모델을 구현한 방법은 기존의 보간에 의해 중간 움직임을 생성한 방법보다 실제 움직임에 근사한 움직임을 생성하고 동시조음도 고려한 움직임을 보여준다.Abstract The existing lip animation method of Hangul classifies the shape of lips with a few shapes and implements the lip animation with interpolating them. However it doesn't represent natural lip animation because the function of the real motion of lips, during articulation, isn't linear or simple non-linear function. It doesn't also represent the motion of lips varying among phonemes because it doesn't consider coarticul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coarticulation model for the natural lip animation of Hangul. Using two video cameras, we film the speaker's lips and extract the lip control parameters. Each lip control parameter is defined as dominance function by using L fqvist's speech production gesture theory. This dominance function approximates to the real lip animation of a phoneme during articulation of one and is used when lip animation is implemented. Each dominance function combines into blending function by using Hangul composition rule based on demi-syllable. Then the lip animation of our coarticulation model represents natural motion of lips. Therefore our coarticulation model approximates to real lip mo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model and represents the natural lip motion considered coarticulation.

Facial Expression Explorer for Realistic Character Animation

  • Ko, Hee-Dong;Park, Moon-H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Advanced Image Technology
    • /
    • pp.16.1-164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Facial Expression Explorer to search for the components of a facial expression and to map the expression to other expressionless figures like a robot, frog, teapot, rabbit and others. In general, it is a time-consuming and laborious job to create a facial expression manually, especially when the facial expression must personify a well-known public figure or an actor. In order to extract a blending ratio from facial images automatically, the Facial Expression Explorer uses Networked Genetic Algorithm(NGA) which is a fast method for the convergence by GA. The blending ratio is often used to create facial expressions through shape blending methods by animators. With the Facial Expression Explorer a realistic facial expression can be modeled more efficiently.

모방학습과 모션 블렌딩을 이용한 객체 상호작용 애니메이션 (Object Interaction Animation Using Imitation Learning and Motion Blending)

  • 신정민;한상원;신병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71-574
    • /
    • 2023
  • 애니메이션은 주어진 키프레임(key frame)에 맞추어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객체와 상호작용할 때 상대편 물체의 위치나 방향을 애니메이션에 맞추어 변환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방학습으로 애니메이션을 학습하고, 모션 블렌딩(motion blending) 기법으로 객체 간 상호작용을 학습하여 새로운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에이전트(agent)는 오브젝트의 상태를 관측하고 주어진 모션들을 블렌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행동을 취하고 목적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에이전트가 행동하는 과정에서 모션 블렌딩 비율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함수를 설계하고, 생성되는 애니메이션이 사람이 취할 수 있는 동작에 가깝도록 회전 각도 clamping 함수와 보상 시스템을 설계하여 반영한다. 모방학습 기반 모션 블렌딩 기법은 객체의 변화에 상호작용하는 애니메이션을 기존 강화학습 기반 애니메이션 생성 기법보다 적은 학습량으로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