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systematics

검색결과 1,334건 처리시간 0.022초

나무이의 계통분류 및 진화적 패턴 (나무이상과: 동시목) - 1. 호주나무이아과를 중심으로 (Evolutionary Pattern and Taxonomy of Psyllid (Homoptera: Psylloidea) 1. On the Subfamily Spondyliaspidinae)

  • Hee Cheon Park;Keith L. Tayler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1호
    • /
    • pp.139-147
    • /
    • 2003
  • Burckhardt (1987)는 분명하게 과들을 구분해 주는 형질이 없기 때문에 날개 및 생식기의 기본구조가 비슷한 Aphalaridae (모나무이과)와 Spondyliaspididae (호주나무이과)를 Psyllidae (나무이과)의 아과로 통합하였다. 나무이를 대상으로 형질의 기울기와 진화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호주를 포함한 전세계의 나무이를 분석하면서 호주나무이아과에 관하여 Burckhardt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특히 호주나무이아과에 대한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기 위해 호주전역에서 채집된 28속 52종의 호주산나무이의 정소를 해부한 결과, 나무이의 정소 소포수 형질은 변이가 1-4개까지 나타났으며, 특히 Spondyliaspidinae (호주나무이아과)는 정소소포수가 공통적으로 1개였다. 호주나무이아과가 최근 신생대에 진화한 Eucalyptus 식물군을 기주로 하고, Gondwana 지역에서 폭발적인 종분화를 하였으며, 이 아과의 속 과 종 모두가 1개의 정소 소포수를 공통적으로 가진다는 점에서 호주나무이아과는 나무이과에서 독립된 호주나무이과로 분리하여야 한다.

밀어속(genus Rhinogobius, Gobiidae)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II.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 3型의 분포 및 분류학적 고찰 (Systematic studies on the freshwater goby, Rhinogobius species (Percifromes, Gobiidae). II. BEographic distribution and taxonomic status of three color types in the Rhinogobius brunneus complex from South Korea.)

  • 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31-347
    • /
    • 1996
  •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에 대한 지리적 변이 및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반 문 및 체색 등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3type이 채집되었다. 이들은 유전적으로도 typerks에 총 genome의 26-30%(A-B type : 30%, A-C type : 30%, B-C type : 26%) 차이가 있어 유전적 근연치(Rogers' S)가 S=0.628-0.661(A-B type : 0.631, A-C type : 0.628, B-C type : 0.661)로 뚜렷한 유전적 차이를 나타냈다. 각 type의 유전적 변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A-type은 평균 P=25.90%, Ho=0.081, He=0.092로 B-type(P=12.33%, Ho=0.037, He=0.044)과 C-type(P=11.10%, Ho=0.032, He=0.048)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이들 3 type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구명하고자 3type이 모두 서식하는 고성의 북천에서 유전적 표식인자를 이용하여 각 typerks의 생식적 격리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들 3 type은 동서(同 棲)하천에서 하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parapatric 하게 서식하면서 각 typerks에 유전자 교 환이 전혀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3type은 이미 생식적 격리가 완성되고 미세분포역에 차이가 있는 별종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담수 어류에 기생하는 요각류 (Copepod Parasites (Crustacea) of Freshwater Fishes in Korea)

  • Il-Hoi Kim;Soon-Kyoo Cho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1호
    • /
    • pp.57-93
    • /
    • 2003
  • 17종의 한국산 담수 어류로부터 5속 12종의 기생성 요각류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피라미낫벌레 (Ergasilus coniforemis n. sp.). 배불뚝낫벌레 (Ergasilus ventriosus n. sp.), 장구머리낫벌레 (E.briani Markewitsch). 쏘가리낫벌레 (E.peregrinus Heller). 풍선신낫벌레 (Neoergasilus inflatus Yin), 일본신낫벌레 [Neoergasilus japonicus (Harada)], 큰가시신낫벌레 (N. longispinosus Yin), 뚱보신낫벌레 (N. builatus n. sp.), 흘쭉신낫벌레 (N. angustus n. sp.), 키다리중국낫벌레 [Csinergasiius undujatus (Markewitsch)]. 닷벌레 (Lernaea cyprinacea L.), 중국민물아가미붙게 (Lamproglena chinensis Yu)이다. 일본 신낫벌레는 한국에서 가장 흔한 담수어류 기생성 갑각류로서 10종의 담수어류에 기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피라미는 한국에서 가장 다양한 갑각류가 기생하는 숙주로서, 7종의 요각류가 이 어류에 기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기생성 갑각류 중에서 신종과 한국 미기록종을 기재하였다. 과거에 기재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진 중국민물아가미붙게도 재기재하였다.

Genetic Distribution Pattern of Bluegill Sunfish Lepomis macrochirus in Freshwater Ecosystems across Korea

  • Lau, Hwee Hui;Huang, Jingting;Kwan, Ye-Seul;Lee, Wan-Ok;Won, Yo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3호
    • /
    • pp.325-329
    • /
    • 2009
  • Lepomis macrochirus from the family Centrarchidae, commonly known as Bluegill sunfish, is an introduced freshwater fish in Korea that thrives in lakes, ponds, reservoirs and rivers. Since its introduction into Korea in 1969, Lepomis macrochirus has rapidly dispersed out and increased in number almost all over the freshwater ecosystems in Korea. Consequently this species causes a severe ecological problem, threatening native fishes due to its omnivorous foraging behaviors upon fish juveniles and many freshwater invertebrates. To address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L. macrochirus, 74 fish samples from 10 population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for their mitochondrial D-loop control region. As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genetic diversity of L. macrochirus is extremely low such as resulting only four haplotypes with a few nucleotide differences among them.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AMOVA) revealed that the source of population genetic variation is largely retained in the comparison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while it is relatively low with slight significance at the highest hierarchical group. This distribution pattern differs from what is expected when biogeography is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 geographic barriers such as mountain ranges in Korea. Instead the result is accord with the influential role of random spreading events facilitated by local people for aquaculture and fishing, and subsequent dispersals since its single point of introduction into Korea.

Genetic Diversity among Local Populations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Rana plancyi chosenica (Amphibia: Ranidae), Assessed by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and Control Region Sequences

  • Min, Mi-Sook;Park, Sun-Kyung;Che, Jing;Park, Dae-Sik;Lee, H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1호
    • /
    • pp.25-32
    • /
    • 2008
  • The Gold-spotted pond frog, Rana plancyi chosenica, designated as a vulnerable species by IUCN Red list. This species is a typical example facing local population threats and extinction due to human activities in South Korea. A strategic conservation plan for this endangered species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conservation plann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 genetic diversity and taxonomic status is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units for this species. In this study, we used a molecular genetic approach using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and control region sequences to find the genetic diversity of gold-spotted pond frogs within South Korea. We sequenced the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gene and control region of 77 individuals from 11 populations in South Korea, and one from Chongqing, China. A total of 15 cytochrome b gene haplotypes and 34 control region haplotypes were identified from Korean gold-spotted pond frogs. Mean sequence diversity among Korean gold-spotted pond frogs was 0.31% (0.0-0.8%) and 0.51% (0.0-1.0%), respectively. Most Korean populations had at least one unique haplotype for each locus. The Taean, Ansan and Cheongwon populations had no haplotypes shared with other populations. There was a sequence diverg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gold-spotted pond frogs (1.3% for cyt b; 2.9% for control region). Analysis of genetic distances and phylogenetic trees based on both cytochrome b and control region sequences indicate that the Korean gold-spotted pond frog are genetically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China.

Anisakid Larvae from Anchovies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Chang, Taehee;Jung, Bong-Kwang;Hong, Sooji;Shin, Hyejoo;Lee, Jeonggyu;Patarwut, Laddawan;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99-704
    • /
    • 2019
  • Anisakiasis (anisakidosis) refers to a foodborne zoonosis caused by ingesting raw or undercooked marine fish or cephalopods infected with anisakid larva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nisakid larvae in anchovies (Engraulis japonica) purchased from 2 local markets in Gyeongsangnam-do, the Republic of Korea (=Korea), during 2018-2019. Anchovies were transported to our laboratory and examined by pepsin-HCl artificial digestion technique followed by microscopic observations and molecular analyses. The overall prevalence of anisakid larvae was 19.5% (39/200), from which a total of 51 larvae (av. 1.3 larvae/infected anchovy) were recovered. Sequencing of the larvae targeting the ITS region, including ITS1, 5.8S rRNA, and ITS2 genes confirmed the species of larvae as Anisakis pegreffii (54.9%; 28/51), Hysterothylacium sinense (23.5%; 12/51), and Hysterothylacium aduncum (21.5%; 11/51). The results suggested that anchovies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human anisakiasis in Korea.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6. 집쥐속 2종의 형태학적 형질, 염색체 핵형 및 미토콘디리아 DNA의 분석 (Systematic Studies on Korean Rodents: VI. Analysis of Morphometric Characters, Chromosomal Karyotypes and Mitochondrial DNA in Two Species of Genus Rattus)

  • 고홍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2호
    • /
    • pp.231-242
    • /
    • 1992
  • 한국에 서식하고 잇는 집쥐속 2종 (곰쥐, Rattus rattus Linnaeus; 집쥐, Rattus norvegicus Berkenhaut)의 채집된 표본들의 31개 형태적 형질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종내 지리적 변이와 종간 차이를 구명하였다. 염색체 G-bands와 C-bands도 비교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DNA의 제한요소에 의한 절단 단편들의 분석도 하였다. 한국내 여섯지역의 곰쥐들은 형태적 형질에 있어서 서로 비슷하였다: 두동장, 미장, 염색체 핵형과 C-bands에 있어서는 일본산 곰쥐인 Rattus rattus tanezumi와 유사하였다. 한국내 일곱지역의 집쥐들은 형태적 형질에 있어서 서로 비슷하였다: 염색체 핵형은 동부 아시아산 집쥐인 Rattus norvegicus caraco와 유사하였다. 집쥐와 곰쥐는 형태적으로 형질뿐만 아니라, 염색체 핵형과 미토콘드리아 DNA도 차이가 있었다.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곰쥐의 옳바른 학명은 Rattus rattus tanezumi Temminck이고, 집쥐의 학명은 Rattus norvegicus caraco Pallas이며, 집쥐는 곰쥐와 다른 종임이 확인되었다.

  • PDF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의 동물지리학적 분포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Hydroids(Cnidaria: Hydrozoa: Hydroida) in Korea)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2호
    • /
    • pp.279-300
    • /
    • 1992
  •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는 17과 55속 120종이다. 이 가운데 Abietinaria filicula (ellis and Solander, 1786)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졌고 Sertularella miurensis Stechow, 1921는 96개 채집지 가운데 33개 지점에서 채집되어 한국해역의 히드라충류 가운데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한국 해역은 동해, 남해, 황해 그리고 제주도의 4개 해역으로 나뉜다. 각 해역에서 채집된 종수는 동해 43종, 남해 73종, 황해 52종 그리고 제주도 83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도 해역은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의 가장 높은 다양활르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각 해역간의 군집계수는 동해-황해가 0.444, 동해-남해가 0.553, 동해-제주도가 0.519, 황해-남해가 0.682, 황해-제주도가 0.533 그리고 남해-제주도가 0.642이다. 그러므로 히드라충류의 분포에 따른 두 해역 사이의 연관은 황해-남해가 가장 높고 동해-황해가 가장 낮다.

  • PDF

진도 해역의 극피동물상 (Fauna of Echinoderms from Jindo Island and Its Adjacent Waters, Korea)

  • 신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47-60
    • /
    • 2005
  • 2004년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이루어진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합동채집회에서 벌포와 초평, 수품, 회동, 서망, 북위 $34^{\circ}11'N$과 동경 $126^{\circ}21'E$ 등, 진도의 6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동정된 극피동물은 4강 10목 13과 20종으로서 바다나리가 1목 1과 1종, 불가사리류가 3목 4과 7종. 거미불가사리 류가 2목 3과 5종, 성게류가 1목 2과 4종, 해삼류가 3목 3과 3종이었다. 이들 중 바다니리류 1종, 가시예쁜갯고사리 (Antedon serrata)와 불가사리류 2종, 도우손햇님불가사리 (Solaster dawsoni)와 일본불가사리 (Distolasterias nipon), 그리고 거미불가사리류 1종, 나무거미불가사리 (Astrodendrum sagaminum)는 진도에서 처음 기록되는 종이며 1종의 한국 미기록 해삼류 (Pseudocnus sp.)가 포함된다. 과거기록을 포함하여 총 31종의 종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분포형과 종 출현양상을 근거로 진도 해역의 극피동물상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