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us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5초

Differences in the Taste-active Compounds between Hanwoo Longissimus and Semitendinosus Muscles and Its Comparision with Angus Longissimus Beef Muscle

  • Dashmaa, Dashdorj;Yang, Jieun;Ba, Hoa Van;Ryu, Kyeong-Seo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08-514
    • /
    • 2013
  • Taste-active compounds (e.g., amino acids and nucleotid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on to the gustatoty sensation of food.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aste-active compounds between different beef muscles, breeds and aging periods. We have chosen the longissimus dorsi and semitendinosus muscles of Hanwoo breed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of Angus bre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aforementioned compounds. Hanwoo muscles were aged for 7 or 28 d, and Angus samples were aged for 28 d at $4^{\circ}C$. Results revealed that 8 out of the 18 detected free amino acids (FAA)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between the two Hanwoo muscles. Twelve FAAs showed aging effect (p<0.05) in which the amounts of 8 FA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aging time increased. Inosine 5-monophosphate (IMP), hypoxanthine (Hx) and inosine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between the Hanwoo muscles, aging resulted in an increase in amounts of these nucleotides. Hanwoo beef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total amount of sweet amino acids than the Angus ones in that 15 amino acids showed differences (p<0.05) between the two breeds. Amounts of guanosine 5-monophosphate (GMP) and Hx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Angus beef.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muscle type, breed and aging period had large variations in free amino acid and nucleotide contents, which may subsequently affect the taste attributes of cooked beef.

육우의 혈액단백질 및 효소의 유전적 변이체 (Genetic Variants of the Blood Proteins and Enzymes in Beef Cattle)

  • 상병찬;류승희;상병돈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69-81
    • /
    • 1995
  • 본 연구는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원에서 사육하고 있는 Hereford, Angus 및 Charolais 육우품종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이들의 혈액내에 존재하는 transferrin(Tf), post-transferrin-2(pTf-2), albumin(Alb), post-albumin(pAlb), ceruloplasrmin(Cp), amylase-I(Am-I) 및 hemoglobin(Hb)의 혈액단백질 및 효소좌위의 유전적다형을 분석하여 이들 집단의 유전적 변이체를 조사하고자 PAG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와 STAGE(starch gel electrophoresis)방법으로 분석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f좌위는 A, $D_1$, $D_2$ 및 E와 pTf-2좌위는 F와 S의 공우성 대립유전자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유전자형의 빈도에 있어서는 Hereford 종에서는 Tf $D_1D_2$와 pTf-2 SS 형이 각각 25 및 90%이었고, Angus종에서는 Tf $AD_1$와 pTf-2 FF형이 각각 25와 100%이었으며, Sharolais종에서는 Tf $D_1D_1$와 pTf-2 FS형이 각각 50%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유전자빈도에 있어서는 Hereford종에서 Tf E와 pTf-2 S 빈도가 각각 0.400과 0.900이었고, Sharolais종에서는 Tf $D_1$과 pTf-2 S가 각각 0.678 및 0.607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Alb좌위는 A, 그리고 pAlb좌위는 F와 S의 대립유전자의 지배를 받는것으로 사료되며, 유전자형 빈도에 있어서는 Hereford, Angus와 Sharolais종에서 각각 pAlb SS, FF 및 SS가 각각 70, 90 및 57.15%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pAlb의 유전자 빈도에 있어서는 Hereford와 Sharolais종에서 pAlb S가 각각 0.825와 0.750이었고, Angus종에서는 pAlb F가 0.900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Cp 좌위는 F 및 S와 Am-I 좌위는 B와 C의 대립유전자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유전자형 빈도에 있어서는 Herford종에서는 Cp FF와 Am-I BB형의 빈도가 각각 100 및 85%이었고, Angus종에서는 Cp FF와 Am-I CC형이 각각 45 및 85%이였으며, Sharolais종에서는 Cp FF와 Am-I BC형이 각각 50 및 64.29%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유전자 빈도에서 있어서는 Herford, Angus와 Sharolais 종에서 Cp F가 각각 0.800, .875 및 0.680이었고 Hereford종에서 Am-I A가 0.800이었으며, Angus와 Sharolais종에서 Am-I C가 각각 0.875 및 0.680이었다. 4. Hb좌위 는 Hereford종과 Angus종에서는 Hb A, Sharol ais종에서는 Hb A와 B의 대립유선자가 검출 되었으며, Sharolais종에서 유전자형 빈도는 Hb AA 및 AB가 각각 57.14 및 42.88%이었고, 유전자빈도에 있아서는 Hb A와 B가 각각 0.785 및 0.215이었다.

  • PDF

Fatty Acid Profiles and Sensory Properties of Longissimus dorsi, Triceps brachii, and Semimembranosus Muscles from Korean Hanwoo and Australian Angus Beef

  • Cho, Soohyun;Park, B.Y.;Kim, J.H.;Hwang, I.H.;Kim, J.H.;Lee,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2호
    • /
    • pp.1786-1793
    • /
    • 2005
  • The study compared the fatty acid profiles of 3 muscles (Longissimus dorsi, LD, Triceps brachii, TB and Semimembranosus, SM) obtained from Korean Hanwoo (18 steers, 24 months old) and Australian Angus beef (18 steers, 24 months old) and assessed their role in sensory perception. The samples of each carcas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nd cooked both as traditional grilled steaks and Korean BBQ style. A total of 720 Korean sensory panelists evaluated the beef samples for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liking. Oleic acid (18:1)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B than that in LD and SM. The essential linoleic acid (C18:2)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B and SM than that in LD. For LD muscle, the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st, while tha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as lowest among the three muscles. Australian Angus beef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n-3 PUFA than that of the Korean Hanwoo for the three muscles, while the latter contained significantly (p<0.05) higher n-6 PUFA than that of the former. The cluster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a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ty acids such as C16:0, C16:1n7, C18:0, C18:2n6, C18:3n3, C20:3n6, C20:4n6, C22:4n6, and C22:5n3 for sensory perception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likeness) of the beef from two origins (p<0.05) among three clusters. Especially, C14:0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nsory perception only for Korean Hanwoo beef; while C20:5n3 had a significant (p<0.05) effect only for Australian Angus beef based on clustering with the sensory variables.

Fatty Acid Profile of Muscles from Crossbred Angus-Simmental, Wagyu-Simmental, and Chinese Simmental Cattles

  • Liu, Ting;Wu, Jian-Ping;Lei, Zhao-Min;Zhang, Ming;Gong, Xu-Yin;Cheng, Shu-Ru;Liang, Yu;Wang, Jian-F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63-577
    • /
    • 2020
  • This study assessed breed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Longissimus thoracis et lumborum (LTL) and semitendinosus (SE) of Angus×Chinese Simmental (AS), Wagyu×Chinese Simmental (WS), and Chinese Simmental (CS). CS (n=9), AS (n=9) and WS (n=9)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herd of 80 bulls which were fed and managed under similar conditions. Fatty acid profil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were analyzed in duplicate. Significant breed difference was observed in fatty acid and meat quality profiles. AS exhibited significantly (p<0.05) lower C16:0 and higher C18:1n9c compared with CS. AS breed also had a tendency (p<0.10) to lower total saturated fatty acid (SFA), improve C18:3n3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UFA) compared with CS. Crossbreed of AS and WS had significantly (p<0.05) improved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muscles, and lowered cooking loss, pressing loss, and shear force compared with C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generally differed among breed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always similar in different tissues. Fatty acid composition, meat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and tenderness favored AS over CS. Thus, Angus cattle might be used to improve fatty acid and meat quality profiles of CS, and AS might contain better nutritive value, organoleptic properties, and flavor, and could be potentially developed as an ideal commercial crossbreed.

소 모색관련 MC1R 유전자의 SNP와 관련한 MGB probe에 기초한 real-time PCR을 이용한 한우육과 Holstein육의 판별 (Identification of Hanwoo and Holstein meat using MGB probe based real-time PCR associated wit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in Melanocortin 1 receptor (MC1R) gene)

  • 박성도;김태중;이재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5-28
    • /
    • 2005
  • The melanocortin 1 receptor (MC1R)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on of melanin pigment synthesis within mammalian melanocytes. Mutations within the gene encoding MC1R have been shown to explain coat color variations within several mammalian species including cattle. To develope a rapid and accurat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Hanwoo meat, we performed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nalysis in Melanocortin 1 receptor (MC1R) gene using TaqMan$^{(R)}$ MGB probe-based real-time PCR. Two specific probes (one for Hanwoo and the other for Holstein and Black angus) were designed. At the 5' end of 2 TaqMan$^{(R)}$ MGB probes, 6-carboxyfluorescein (FAM) was labeled for Hanwoo, and VIC for Holstein and Black angus. As a result, Hanwoo samples showed FAM-positive signal only, whereas other samples showed VIC-positiv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aqMan$^{(R)}$ MGB probe based real-time PCR technique would be very accurate, easy and reproducible method to discriminate between Hanwoo meat and Holstein/Black angus meat.

초위성체 유전표지를 이용한 한우와 외래품종간의 유전적 변이와 유연관계 분석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of Korean Cattle(Hanwoo) and Foreign Breed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오재돈;공홍식;이제현;양대용;전광주;이학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733-740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수입되는 쇠고기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엥거스 품종과 육우로 사육되는 홀스테인 품종을 대상으로 한우집단의 유전적 특성 및 비교대상 품종과의 유전적 차별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와 외래품종간의 유전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한우 300두, 앵거스 80두 그리고 홀스테인 50두를 대상으로 10개의 초위성체 유전표지를 분석하였다. 대상 품종 집단별 유전적 특성, 집단내 유전적 변이성 및 유전적 차별성은 초위성체 유전표지의 품종별 기대이형질성(expected total heter- ozygosity; Exp-Hz), 관측된이형질성(observed heterozygosity; Obs.-Hz), 다형정보력(polymor- phism information content; PIC)에 근거하여 추정되었다. 10종의 초위성체유전표지 전체의 평균 기대이형질성과 관측이형질성 한우집단에서 0.772, 0.733으로 나타났으며, 앵거스집단에서는 각각 0.759, 0.707 및 홀스테인집단에서 각각 0.741, 0.72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상 집단 중 한우집단이 다른 2 품종집단 보다 집단 내 유전적 변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위성체 유전표지의 유전자형 별 빈도에 근거하여 품종간의 유전적거리를 추정한 결과 한우집단과 앵거스 집단과의 유전적거리(0.233±0.054)가 홀스테인 집단과의 유전적거리(2.183±0.658) 보다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앵거스 집단과 홀스테인 집단간의 유전적거리(2.400±0.727)는 상대적으로 먼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집단의 품종간 유전적 차별성을 개체들의 유전자형에 근거하여 추정한 결과 홀스테인의 경우 명확하게 하나의 군집을 형성하여 뚜렷한 품종차별성을 보였으며, 한우와 엥거스의 경우 각각의 군집 사이에 몇몇의 개체들이 섞여 있는 것을 제외하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의 모발 멜라닌 색소 함량의 품종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elanin Contents in Hairs among Cattle Breeds)

  • 이성수;강승률;한상현;조인철;신광윤;조용일;강태영;고문석;양영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47-154
    • /
    • 2007
  • 한우와 제주흑우의 모색 특성과 양적 수치화를 위하여 분광광도법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흑우의 총 melanin 함량은 같은 흑색 품종인 Holstein과 Angus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한우나 적색 품종 보다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01). 한우의 총 melanin 함량은 적색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한우×Charolais 교잡종에 비해 높았다(P<0.001). 전체 melanin 중 eumelanin, pheomelanin의 상대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Angus, 제주흑우, Red Holstein과 한우 각각 0.382, 0.359, 0.112와 0.124 이었다. 품종별 모발 melanin 색소 함량 분석결과는 분광광도법적 분석이 소 품종별 모색의 양적 수치화 및 특성 비교에 이용 가능하고 한우와 제주흑우의 주요 모색 관련 유전자 연구의 기초 자료로 유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우,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의 등심내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Cholestero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 longissimus of Hanwoo, Angus and Wagyu Crossbred Steers)

  • 최창본;신현우;이상욱;김성일;정근기;최창원;백경훈;데이비드 런트;스테판 스미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19-526
    • /
    • 2008
  • 쇠고기는 고품질의 단백질과 함께 비타민과 광물질을 공급해 주지만,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쇠고기내 과다한 지방, 특히 콜레스테롤,은 사람의 건강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며, 심장병과 고혈압을 비롯한 각종 대사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한우 쇠고기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관한 기초자료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의 등심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대한 비교 자료를 제공하고자, 61두의 한우와 각 15두의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 거세우로부터 등심을 채취하여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한우의 등심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32.36mg/100g 부터 75.42mg/100g까지 개체별로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근내지방도가 “1”에서 “8”로 증가함에 따라 콜레스테롤 함량이 평균 42.76±1.41mg/100g에서 51.43±6.12mg/100g으로 증가하였다. 앵거스 거세우의 경우, 근내지방도가 가장 낮은 “Practically devoid”의 경우 56.84 mg/100g, 근내지방도가 가장 높은 “Abundant”의 경우 72.85 mg/100g을 나타내어, 근내지방도가 증가할수록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화우 교잡종 거세우의 경우, “Practically devoid”는 69.23mg/100g, “Moderately Abundant”는 78.93 mg/100g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앵거스 거세우와 하였다. 한우,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의 등심내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및 단가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의 비율이 각각 1.48, 1.08 및 1.17과 1.41, 1.03 및 1.10을 나타내어, 한우 거세우에서 현저하게(각각 P< 0.0135 및 P<0.0379)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우 거세우는 앵거스나 화우 교잡종 거세우 등심에 비하여 콜레스테롤 함량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반면,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향후 이들 육우의 유전적 배경, 사양 조건, 출하월령, 출하두수 및 샘플링 부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