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urysmal bone cys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4초

슬개골에 발생한 연골모세포종의 동맥류성 골낭종화 - 증례 보고 - (Chondroblastoma of the Patella with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

  • 홍준석;김성곤;박종웅;강창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5-238
    • /
    • 1999
  • 저자들은 우측 슬개골의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50대의 여자환자에게서 병변에 대해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한 결과 이차성 동맥류성 낭종화한 연골모세포종을 확인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Bony window approach for a traumatic bone cyst on the mandibular condyle: a case report with long-term follow-up

  • Kim, Hyoung Keun;Lim, Jae-Hyung;Jeon, Kug-Jin;Huh, Jo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4호
    • /
    • pp.209-214
    • /
    • 2016
  • Traumatic bone cyst (TBC) occurs preferentially on the mandibular symphysis and body, but rarely on the mandibular condyle. When TBC occurs in the condylar area, it can usually be related with or misdiagnosed as a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 15-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linic with a 5-year history of pain and noise localized in the left temporomandibular joint. On imaging, a well demarked oval-shaped radiolucent lesion was observed on the left condyle head. The patient underwent cyst enucleation and repositioning of the bony window on the lateral cortex of the affected condyle head under the impression of subchondral cyst or TBC; however, no cystic membrane was found. The bone defect resolved and showed no recurrence on the serial radiographic postoperative follow-up for 43 months after surgery.

연부조직종괴로 오인된 늑골의 동맥류성 골낭종 - 증례 보고 - (Aneurysmal Bone Cyst of the Rib Misdiagnosed as Soft Tissue Tumor - A Case Report -)

  • 이아원;이연수;조건현;이중달;김병기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63-167
    • /
    • 2000
  • 동맥류성 골낭종(aneurysmal bone cyst)은 비종양성 팽륜성 골 병변으로 정확한 병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반응성 현상으로 생각되며, 다른 골 병변과 동반되거나 원발성으로 발생한다. 동맥류성 골낭종은 주로 장골과 척추골에 발생하며, 늑골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저자들은 좌측 첫번째 늑골에서 발생하였으며, 연부조직 악성 종양으로 오인되었던 동맥류성 골낭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9세 여자 환자가 좌측 견갑부에서 촉진되는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광범위한 연부조직 병소이며 낭성구조로 이루어진 불균일한 양상이었고, 인접한 좌측 첫번째 늑골의 부분적 골소실이 있어, 연부조직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 의진하에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종괴의 육안 소견상, 종괴 변연부를 달걀 껍질같이 얇은 한층의 골조직이 싸고 있는 것이 관찰되어 늑골 기원의 병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학 현미경 검사상, 종괴는 큰 동맥류성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혈액으로 차 있었다. 동맥류성 공간사이를 피복세포가 없이 섬유성 격이 나누고 있으면서 여기에는 파골세포와 유사한 다핵 거대세포, 단핵세포, 유골과 섬유점액성조직이 관찰되었다. 병리 소견에 따라 재검한 MRI에서, 늑골에서 종괴의 변연부로 이어지는 얇은 골구조가 관찰되어 늑골에서 발생한 동맥류성 골낭종이 연부조직 쪽으로 광범위하게 돌출해 나온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부 근위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 1례 보고- (Giant Cell Tumor of Proximal Phalanx of the Hand - A case report -)

  • 박용구;임성직;김윤화;한정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0-34
    • /
    • 2000
  • 수부 및 족부의 작은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부위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장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보다 재발율이 높다. 또한 수부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내연골증, 동맥류성골낭종, 거대세포수복성육아종 등과 감별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좌측 수부에 부종과 동통을 동반하는 거대세포종을 경험하여 소파술과 골 이식을 수행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단핵구가 주로 분포되어 있는 부위에 많은 수의 거대세포가 미만성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이차적으로 동맥류성 골낭종과 출혈이 동반되었다.

  • PDF

늑골에 발생한 원발성 양성 종양[3 치험예] (Primary Benign Rib Tumors: 3 cases)

  • 이남수;백인기;손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4권4호
    • /
    • pp.359-363
    • /
    • 1981
  • From Aug. 1975 to Aug. 1981,3 patients with primary benign rib tumors have been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Paik Hospital, Seoul, Korea. Of these, one was aneurysmal bone cyst and two were fibrous dysplasia. Complete excision of the benign tumor including rib resection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and resulted in long term cure.

  • PDF

두개저의 혈관확장형 골육종 1례 (A Case of Telangiectatic Osteosarcoma of the Skull Base)

  • 김용진;오훈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64-368
    • /
    • 1999
  • 저자들은 약 1개월 전부터 좌측 관골부와 촉두부에 통증을 호소하면서 좌측 안구돌출과 복사가 생긴 27세 남자 환자에서 좌측 측두골과 접형골을 침범하는 골육종을 발견하였다. 방사선 검사상 종괴는 좌측 접형골의 대익부에 비교적 경계가 잘 지워지는 $3.5{\times}3.5cm$ 크기의 분엽상으로 보였다. 주변의 골융해 소견이 있으며 종괴 내부에는 이질성으로 조영증강된 고형부가 보이는 동질성의 낭성이었으며 특히 고형부에는 내부 체액수위를 보였다. 조직학적으로 종괴는 주로 역핵성 방추형 세포와 낭성 구조를 보였다. 종양세포 사이사이에는 아주 가는 호산성의 종양유골이 관찰되었다. 본 증례는 혈관 확장형 골육종으로서 1998년 Whitehead 등(1998)이 보고한 이래로 두 번째 예로 여겨진다.

  • PDF

Common conditions associated with displacement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canal: A radiographic diagnostic aid

  • Mortazavi, Hamed;Baharvand, Maryam;Safi, Yaser;Behnaz, Mohammad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2호
    • /
    • pp.79-86
    • /
    • 2019
  •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common conditions associated with displacement of inferior alveolar nerve canal. Materials and Methods: General search engines and specialized databases including Google Scholar, Pub Med, Pub Med Central, Science Direct, and Scopus were used to find relevant studies by using keywords such as "mandibular canal", "alveolar canal", "inferior alveolar nerve canal", "inferior dental canal", "inferior mandibular canal" and "displacement". Results: About 120 articles were found, of which approximately 70 were broadly relevant to the topic. We ultimately included 37 article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topic of interest. When the data were compiled, the following 8 lesions were foun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displacement of mandibular canal: radicular/residual cysts, dentigerous cyst, odontogenic keratocyst, aneurysmal bone cyst, ameloblastoma,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fibrous dysplasis, and cementossifying fibroma. Conclusion: When clinicians encounter a lesion associated with displaced mandibular canal, they should first consider these entitie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This review would help dentists make more accurate diagnoses and develop better treatment plans according to patients' radiographs.

연골모세포종 8례의 임상 및 병리학적 검색 (A Clinicopathologic Review of Eight Cases of Chondroblastoma)

  • 최준혁;최혜정;구미진;서대홍;신덕섭;조길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359-370
    • /
    • 1998
  •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연골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8례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정의 분석과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연령은 17세에서 38세 사이였고 평균연령은 22.7세였다. 종양의 크기는 1.5cm에서 8.0cm 사이이며 평균 크기는 4.0cm였다. 종양은 대퇴골(3례), 슬개골(2례), 경골(1례), 비골(1례) 및 척골(1례)에서 각각 발생하였다. 육안적으로 종괴는 회백색의 고형성 부위, 암갈색의 출혈, 괴사 및 낭성 변화가 다양한 비율로 섞여 있었고, 조직학적으로 연골성 분화는 8례중 7례 (87.5%)에서 나타났으며, 유사분열은 5례(62.5%), 혈철소 침착은 5례 (62.5%) 그리고 괴사는 3례 (37.5%)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석회화는 3례 (37.5%)에서 관찰되었고, 4례 (50%)에서는 이차성 동맥류성 골낭을 보였으며 1례(12.5%)에서는 혈관침범이 관찰되었다. S-100 단백은 7례 (87.5%)에서 종양세포의 세포질에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모든 예에서 cytokeratin에 대하여 음성 반응을 보였다.

  • PDF

상하악에 발생한 갈색종의 증례보고 (A CASE REPORT ; BROWN TUMOR OF THE MAXILLA AND MANDIBLE IN ASSOCIATION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 이주경;조성대;임대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61-66
    • /
    • 2009
  • The brown tumors develop in bone and it develop on various area which in clavicle, rib bone, cervical bone, iliac bone etc. The development on the maxillofacial region is rare, relatively more develop on the mandible. The brown tumor directly develop by the dysfunction of calcium metabolism according to hyperparathyroidism and differential diagnosis with other bone lesion should be difficult if it would diagnose by only radiographic features. The histological feature is that proliferation of spindle cells with extravasated blood and haphazardly arranged, variably sized, multinucleated giant cell is seen. The brown tumor is firm diagnosed by physical examination, because of these histological feature show similar with other giant cell lesions(giant cell granuloma, aneurysmal bone cyst, cherubism). The brown tumors have been described as resulting from an imbalance of osteoclastic and osteoblastic activity. It result in bone resorption and fibrous replacement of the bone. So these lesions represent the terminal stage of hyperparathyroidism-dependent bone pathology. Therefore, it is the extremely rare finding that brown tumor in the facial bone as the first manifestation of an hyperparathyroidism. We experience 1 case of brown tumor(50 years old female) that developed on Maxilla and mandible with no history of hyperparathyroidism.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literature review.

원발성 부갑상선항진증에 의한 악골의 다발성 갈색종양 (Multiple brown tumors of the jaws in primary hyperparathyroidism)

  • 김경아;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0권3호
    • /
    • pp.149-153
    • /
    • 2010
  • Brown tumor is usually diagnosed at the terminal stage of hyperparathyroidism. Diagnosis of this tumor is confirmed by endocrinologic investigations along with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Radiographical differential diagnosis of this tumor includes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aneurysmal bone cyst, metastatic tumor, multiple myeloma, and Paget disease. This report presents a rare case of multiple brown tumors occurring at the maxilla and mandible, which was initially misdiagnosed as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Plain radiographs demonstrated multiple well-defined multilocular radiolucency. CT images showed soft tissue mass with low attenuated lesions, perforation of the lingual cortical plate, and a heterogeneous mass at the right thyroid lobe.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parathyroid adenoma. The patient had hypercalcemia, hypophosphatemia, and elevated alkaline phosphatase level. Surgical excision of the tumor was performed. No recurrence was observed during a 28-month follow-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