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thum graveolen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5초

rps16-trnK DNA 서열에 의한 딜(Anethum graveolens L.)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전 관계 (Genetic Diversity and Phenetic Relationship of Dill (Anethum graveolens L.) by rps16-trnK DNA Sequences)

  • 성정숙;정종욱;이기안;강만정;이석영;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05-1310
    • /
    • 2013
  • 딜(Anethum graveolens L.)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초본으로 양념과 약용뿐만 아니라 소화제, 진정제, 마취제, 활력제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왔다. 딜은 지중해, 서아시아, 중국과 한국 등에서 분포한다. 20개국 100계통 간 rps16-trnK3 서열을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배당된 서열은 747에서 779 염기쌍으로 삽입과 결실이 있었다. 비록 일부 삽입과 결실이 발견되었지만 서열 변이는 염기 치환에 기인하였다. 동아시아 계통이 중앙아시아와 유럽보다 북미에 근연하였다. 딜의 일부 계통은 지리적 분포와 계통도에서 위치가 일치하지 않았지만 rps16-trnK로 잘 분리되었다.

정부양곡창고내에서 딜과 머그워트 오일을 이용한 어리쌀바구미와 보리나방에 대한 살충 실증실험 (Insecticidal effects of Anethum graveolens and Artemisia vulgaris oils against Sitophilus zeamais and Sitotroga cerealella in the granary)

  • 송자은;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1-3
    • /
    • 2017
  • 본 연구는 정부양곡창고에서 발생하는 어리쌀바구미와 보리나방 성충에 대하여 딜과 머그워트 정유를 이용한 살충활성을 검증하여 창고내에서 이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딜 정유에 대해서 어리쌀바구미는 5일 내에 100 % 사충율이 나타났으며, 머그워트 정유에 대해 보리나방은 2시간 내에 100 % 사충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곡물보관창고에서 어리쌀바구미와 보리나방을 방제하기 위하여 천연 기능성소재를 이용한 안전한 방제법으로 적용 가능성을 나타냈다.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유충과 성충에 대한 10종 식물 정유의 살충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of 10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Plodia interpunctella and Tribolium castaneum)

  • 이희권;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5-360
    • /
    • 2016
  •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 및 성충에 대한 Artemisia vulgaris, Achillea millefolium, Anethum graveolens, Cimicifuga heracleifolia, Citrus paradisi, Chrysanthemum indicum, Eucalyptus dives, Neroli bigard, Nigella sativa, Ruta graveolens 식물체 정유의 살충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화랑곡나방 및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에서는 N. bigard 및 A. graveolens 정유가 각각 139.11 및 $52.87{\mu}g\;cm^{-3}$의 접촉독성으로 가장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냈으며, 화랑곡나방 및 거짓쌀도둑거저리 성충의 경우 A. millefolium 및 A. graveolens 정유에서 각각 0.12 및 $93.14{\mu}g\;cm^{-3}$으로 훈증독성이 가장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N. bigard, A. graveolens A. millefolium 및 A. graveolens 정유가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 및 성충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방제 법으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ssia (Cinnamomum cassia) and Dill (Anethum graveolens L.) Essential Oils

  • Chung, Hai-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00-305
    • /
    • 2004
  •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of cassia (Cinnamomum cassia) and dill (Anethum graveolens L.) were investigated. Essential oils used in this study were added to soybean oil and stored at $65^{\circ}C$ for 9 days to examine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peroxide value (POV). The results showed that dill essential oil possessed a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cassia essential oil.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in cassia essential oil, whereas low activity was observed in dill essential oil against the test microorganisms. Heat stability and cell growth inhibitions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ssia oil. Results showed that cassia oil had thermal stability in a wide range of $70-160^{\circ}C$. Cassia inhibited cell growth of Bacillus cereus KCTC 1022, Micrococcus luteus A TCC 9341 and Escherichia coli ATCC 25922, but not great on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4028 at level of 200 ppm.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dill essential oil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an antioxidative agent, while cassia essential oil could be suitable for use as an antimicrobial agent in the food industry.

소회향 파종기와 파종방법에 따른 생육과 수량 (Effects of Seeding Date and Method on Growth and Yield in Dill (Anethum graveolens L.))

  • 한상익;성재덕;김현태;김금숙;곽용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4-68
    • /
    • 2000
  • 소회향 재배법 확립을 위한 파종기와 파종방법 및 파종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월 17일 이후에 파종한 구에서는 개화기의 지연이 관찰되었고 4월 16일 파종한 구에서는 성숙기의 지연도 관찰되었다. 2월 17일 파종구와 3 월 2일 파종구에서는 도복으로 수량 감소가 조사되었다. 2. 4월 1일 파종을 기준으로 할 때 파종일부터 출현기까지의 15일을 제외한 출현기부터 성숙기까지의 소요 일수는 115일로 나타났다. 3. 파종방법으로 보면 산파보다는 조파가 14% 의 수량 증가를 보였고, 파종량으로 보면 3 l /10a 가 1 l /10a 보다 24%의 수량 증가를 보였다. 4. 파종방법과 파종량을 비교해 보면, 조간 30cm 조파의 2 l /10a 와 3 l /10a 가 각각 22.2kg/10a와 23.2kg/10a 로서 가장 높았다.

  • PDF

몇가지 약용식물(藥用植物)의 한라산 표고(標高)에 따른 생육반응(生育反應) (Growth Responses of Some Medicinal Plants in Different Altitudes of Mountain Halla)

  • 송창길;박양문;조남기;고영우;강동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4-145
    • /
    • 2000
  • 본 연구는 1997년(年)까지 제주도(濟州道) 한라산(漢拏山)에서 고도(高度)에 따른 약용식물(藥用植物)(홍화 : Carthamus tinctorius, 황기 : Astraglus membranaceus, 디기 달리스 : Digitalis purpurea, 레몬 밤 : Melissa officinalis, 딜 : Anethum graveolens, 참당귀 : Angelica gigas, 삼백초 : Saururus chinensis)의 생장(生長), 생태반응(生態反應)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도(高度) 상승(上昇)에 따라 온도(溫度)는 남사면(南斜面)보다는 북사면(北斜面)에서 완만하게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습도는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생육(生育)에 있어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남사면(南斜面)보다는 북사면(北斜面)에서 양호하였다. 3. 황기와 디기달리스는 북사면(北斜面)에서 50m(해안지대)에서 바람의 피해를 받아 발아,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영향(影響)을 주었으며, 참당귀는 약간의 피해는 있었으나, 생육(生育)에는 지장이 없었다. 4. 홍화, 레몬 밤, 딜, 참당귀는 고도(高度) 상승에 따라 전체적으로 생육(生育)은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삼백초인 경우는 고도(高度)의 상승에 따라 전체적으로 생육(生育)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도 있었지만, 습도(濕度)의 영향(影響)이 커서 700m 고지(高地)에서도 생육(生育)이 왕성하였다.

  • PDF

딜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양액 개발 (Development of Optimum Nutrient Solution for Dill (Anethum graveolens L.) in Hydroponics)

  • 여경환;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9
    • /
    • 1997
  • 본 실험은 수경재배에서 딜의 양수분 흡수 패턴을 밝히고 생육과 환경특성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여 실제 재배에 응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딜의 양분 홉수율에 의한 배양액을 조성하였으며 그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해 기존배양액과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딜의 NFT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기 위해서 일본야채시험장 표준액을 1/4배액, 1/2배액 및 1배액으로 조성하여 재배한 결과, 1/2배액에서 생육과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근권내 pH와 EC의 변화도 안정되었고, 식물체내 무기이온 합량도 적정치로 나타나 딜의 양분흡수특성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일본야채시험장 1/2 배액의 양수분 흡수율(n/w)을 기준으로 새로운 배양액을 조성하였으며, 이온의 조성은 NO$_3$―N 8.85, NH$_4$―N 0.55, P 2.1, K 6.2, Ca 2.8, Mg 1.7 me.L$^{-1}$였다. 딜의 순환식 NFT 재배용으로 개발한 배양액의 적합성 검정실험 결과, 근권내 pH와 EC는 저농도인 SCU 1/2배액을 제외하고는 변화폭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개발된 SCU 1배액은 기존에 허브 배양액으로 사용된 일본 야채 시험장 배양액과 비교할 때 생육과 수량면에서 우수하였으며, 엽내 무기성분 함량도 적정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개발된 SCU 배양액은 딜의 NFT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이라 할 수 있다.

  • PDF

민속주 부재료로 이용되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중의 Asarone, Coumarin, Thujone의 분석 (Analysis of Asarone, Coumarin and Thujone in Medicinal Plants Used in Brewing a Korean Traditional Folk Wine)

  • 조정옥;김선민;김경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10-217
    • /
    • 1999
  • 전통민속주 제조에 이용되는 부재료 가운데 휘발성 향기성분인 asarone, coumarin, thujone등 식품에 허용기준이 제한된 독성 관련 향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를 확인, 분류하기 위하여 이들의 20% ethanol 추출액으로부터 고상추출(solid phase extr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을 흡착, 용리시킨 후 GC-FID와 GC/MS로 검출, 확인하였다. 조사대상 87종의 식물성재료 중 창포(Acorus asiaticus Nakai),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er), 당귀(Angelica gigus Nakai), 백단향(Santalum album) 등 6종에서 asarone이 검출되었으며, coumarin은 소회향(Anethum graveolens),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자초(Lithosper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i) 등 22종에서 검출되었다. 한편, 우실(Achyranthes japonica Nakai), 사인(Amomum xanthiodes Wallich), 약쑥(Artemisia asiatia Nakai), 대마자(Cannabis sativa L.)씨, 골담초(Caragana sinica R.), 국화(Chrysanthem morifolium Ramat), 사삼(Codonopsis lanceolata Bentham et flooker),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등 24종에서는 thujone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