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sthesia, Local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3초

피각부 자발성 뇌내출혈의 혈종흡입술을 위한 지표 (Guidelines for Free-Hand Aspiration(FHA) of Putaminal Hemorrhage)

  • 임신길;오민석;임준섭;강명기;곽연상;박승규;송경배;김한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294-299
    • /
    • 2001
  • Objectives : CT-guided stereotactic evacuation for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can minimize the brain damage and can be performed safely and simply under local anesthesia. But that procedure is time consuming and has a risk of rebleeding because of the stress during head pin fixation. So authors describe easy and precise guidelines for FHA of putaminal hemorrhage without stereotactic instrument. Methods and Materials : We analyzed the data of 298 patients who underwent CT-guided stereotactic aspiration of putaminal hematoma in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0.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hematoma : anterior portion, middle portion and posterior portion of putamen. Total number of catheters inserted into the hematoma were 345 and there were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and depth of catheters. Results : Proposed guidelines of catheter insertion to putaminal hemorrhage in our institution. 1) hematoma at the anterior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external auditory meatus(EOM) and 1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6-6.5cm. 2) hematoma at the middle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1cm and 2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6.5-7cm. 3) hematoma at the posterior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15 degree laterally from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2cm and 3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7-7.5cm. We have performed FHA of putaminal hemorrhage in 48 cases according to this guideline. All catheter were inserted exactly at the center of hematoma and average operation time was about 30 minutes. Conclusion : Our proposed guidelines for putaminal hemorrhage are considered to be safe and simple method with similar accuracy and rapid decompression compared with traditional stereotactic method. Main advantages of this technique were unnecessity of stereotactic frame application and less time requirement for hematoma removal.

  • PDF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에 의한 소아 기관협착증의 치료 (Tracheal Resection and End to End Anastomosis for Tracheal Stenosis in Children)

  • 최종욱;정근;김용환;김혜정;박찬;최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4-100
    • /
    • 1997
  •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children with tracheal stenosis, operative management remains a challenging problem due to difficulties of operative techniques and postoperative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racheal resection with end to end anastomosis as operative management for tracheal stenosi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 6 children with severe tracheal stenosis underwent tracheal resection with end to end anastomosis. Causes of stenosis were trauma in 1 case and prolonged intubation or tracheotomy in 5 cases. The diagnoses were made by radiologic evaluation (plain X-ray, CT, 3-Dimensional CT) and confirmed by direct laryngoscopy and ventilating bronch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Thyroplasty and unilateral arytenoidectomy were performed in 1 case. Suprahyoid release was done in 1 case with severe adhesion. Decanulation was achieved following postoperative endoscopic examination and pulmonary function test. Postoperative phys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s were given at regular intervals. Results : Stenosis were improved from grade III grade I in 4 cases and from grade II to grade I in 2 cases. Decanulation was achieved on average postoperative 6 months in 5 cases, and 10 years in 1 case due to exertional dyspnea. There were 1 each case of immediate postoperative subcutaneous emphysema, pneumothorax and wound infection. Postoperative granulomas at anastomosis site were treated with laser vaporization under suspension laryngoscope and bronchoscope in 3 cases. There was 1 each case of delayed postoperative vocal cord palsy, aspiration pneumonia and loss of cough reflex. Conclusion In tracheal stenosis of children, tracheal resection with end to end anastomosis has good result with preservation of normal airway. Preoperative evaluation of local factors such as swallowing, vocal cord movement and cough reflex and general condition was important for successful treatment. As the cases in adults, authors considered this operation to be a curable operative management for tracheal stenosis.

  • PDF

Efficacy of medications in adult patients with trigeminal neuralgia compared to placebo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es

  • Peterson-Houle, Georgia M.;AbdelFattah, Magda R.;Padilla, Mariela;Enciso, Reyes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5호
    • /
    • pp.379-396
    • /
    • 2021
  • Background: Trigeminal neuralgia (TN) is characterized by brief, unilateral, sharp, stabbing, and shooting pain of the fifth cranial nerve.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edications compared to placebo in adult patients with TN. Methods: Review authors identifie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RCTs) from PubMed, Web of Science, Cochrane, and EMBASE up to February 2021. We assesse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s well as the risk of bias of the studies based on the Cochrane Handbook. A total of 324 unduplicated references were scanned independently and reduced to eight relevant RCTs, with 89 patients included. Medications investigated included oral carbamazepine, subcutaneous sumatriptan, lidocaine (intranasal, 8% spray on the oral mucosa or intravenous), buprenorphine (ganglionic local opioid analgesia), and oral Nav1.7, a selective sodium channel blocker. Results: Meta-analyses showed that overall patients receiving lidocaine reported a significantly lower post-treatment intensity of pain -3.8 points on a 0-10 scale (95% Cl = -4.653 to -2.873; P < 0.001). Patients who received lidocaine were 8.62 times more likely to have pain improvement than patients on placebo (P < 0.001). In one RCT, patients receiving oral carbamazepin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intensity of -32% compared to the placebo (P < 0.001). In one trial, patients receiving 3 mg subcutaneous sumatriptan had a significantly lower intensity of pain on average -6.1 points on a scale of 0-10 compared to placebo (P < 0.001)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intensity of -75% compared to the improvement in the placebo group (P < 0.001). Patients who received subcutaneous sumatriptan were 10 times more likely to have pain improvement than those who received placebo (P = 0.001) in one study. Due to the unclear/high risk of bias and small sample size, the quality of the evidence for lidocaine in the treatment of TN was low. Concl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carbamazepine, sumatriptan, buprenorphine, and oral Nav1.7 sodium channel blockers, as only one study reported outcomes.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 후 발생한 상장간막 동맥 손상 1예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Tube Insertion-induced Superior Mesenteric Artery Injury Treated with Angiography)

  • 이서희;문희석;박재호;김주석;강선형;이엄석;김석현;성재규;이병석;정현용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6호
    • /
    • pp.308-312
    • /
    • 2018
  •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s widely used to provide nutritional support for patients with dysphagia and/or disturbed consciousness preventing oral ingestion, and PEG tube placement is a relatively safe and convenient non-surgical procedure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However, the prevention of PEG-insertion-related complications is important. A 64-year-old man with recurrent pneumonia underwent tracheostomy and nasogastric tube placement for nutritional support and opted for PEG tube insertion for long-term nutrition. However, during the insertion procedure, needle puncture had to be attempted twice before successful PEG tube placement was achieved, and a day after the procedure his hemoglobin had fallen and he developed hypotensio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injury to a pancreatic branch of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 associated with bleeding, hemoperitoneum, and pancreatitis. Transarterial embolization was performed using a microcatheter to treat hemorrhage from the injured branch of the SMA, and the acute pancreatitis was treated using antibiotics and supportive care. The patient was discharged after an uneventful recovery. Clinicians should be mindful of possible pancreatic injury and bleeding after PEG tube insertion. Possible complications, such as visceral injuries or bleeding,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requiring multiple puncture attempts during a PEG procedure.

편도암의 근치적 치료 결과 (Results of Curative Treatment for Cancer of the Tonsil)

  • 박원;안용찬;임도훈;백정환;손영익;박근칠;김경주;이정은;강민규;박영제;남희림;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61-268
    • /
    • 2003
  • 목적: 편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의 치료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편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의 치료가 시행된 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에 대한 국소치료법의 결정은 두경부 종양 협진팀에서 합의하여 결정하였으며, 방사선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던 기준은 (1) 환자측 요인으로 전신마취와 수술의 위험이 큰 경우, (2) 환자의 수술 거부, (3) 근치적 수술절제가 여의치 않거나, (4) 수술 후 기능장애가 클 것으로 예견된 경우 등이었다. 국소치료법으로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선별적으로 추가한 경우가 17명이었고(S$\pm$RT군), 근치적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동시병용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10명이었다(RT$\pm$CT군). 대상 환자들에 대한 추적관찰기간은 3$\~$94 (중앙값 41)개월이었다. 결과: AJCC 병기는 I$\~$II병기가 4명, III병기가 2명, IV병기가 21명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무병생존율은 73.3$\%$ 였고, 5$\pm$RT군과 RT$\pm$CT군 각각 70.6$\%$와 77.8$\%$였다. 관찰기간 중 모두 7명에서 재발이 발현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III$\~$IV병기 환자들이었고 치료개시 후 2년 이내에 재발하였다. S$\pm$RT군에서는 국소재발 2명, 영역재발 2명, 원격전이 1명을 포함하여 모두 5명이 재발하였고(조재발률=29.4$\%$), RT$\pm$CT군에서는 국소+영역재발 1명, 원격전이 1명을 포함하여 2명이 재발하였다(조재발률=20$\%$).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7.0$\%$였고, S$\pm$RT군과 RT$\pm$CT군별로는 각각 80.9$\%$와 70.0$\%$였다. 결론: 저자들은 편도암에 대한 국소치료법으로서 수술을 주로 적용한 경우와 방사선치료를 주로 적용한 경우 모두에서 다른 문헌들에서 보고되는 국소제어율, 생존율과 비슷한 수준의 비교적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편도암에서 방사선치료를 근간으로 하는 치료법은 수술에 의한 기능장애를 피할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된다.

Diazepam 전투여와 Lidocaine 투여용량이 혈중농도 및 심혈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docaine Dose and Pretreated Diazepam on Cardiovascular System and Plasma Concentration of Lidocaine in Dogs Ansthetized with Halothane-Nitrous Oxide)

  • 이경숙;김세연;박대팔;김진모;정정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51-474
    • /
    • 1993
  • 전신마취, 부위 또는 국소 마취시, 그리고 향부정맥제로 술중 및 중환자실에서 흔히 쓰이는 lidocaine의 용량과, 국소 마취제로 인한 중추 신경계의 독성을 예방 또는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diazepam의 전투여시 이로 인한 심혈관계 변화 및 lidocaine의 혈중농도를 관찰, 측정하여 환자의 관리 및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본 실험을 하였다. Nitrous oxide, halothane으로 마취된 개에서 근육이완제 사용 후 조절호흡하에서 혈중 이산화탄소를 35-45mmHg로 유지하면서 국소 마취체인 lidocaine의 용량을 100 mcg/kg/min, 200 mcg/kg/min, 300 mcg/kg/min로 각각 30분간 지속적 침제하면서, diazepam 전투여 유무에 따른 심혈 역학치의 변화 및 lidocaine의 혈중농도를 측정하고, 억제된 심혈관계에 $CaCl_2$를 투여하여 회복 정도를 관찰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Lidocaine의 지속적 침제량이 증가됨에 따라 심혈관계의 억제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평균 동맥압, 심장지수, 일회 박출지수, 좌심실 박출 작업지수, 우심실 박출 작업지수 등은 감소하였고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 정맥압, 전신혈관 저항지수 등은 증가하였으나 (p<0.05), 심박동수, 평균 폐동맥압, 폐혈관 저항지수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Lidocaine 100 mcg/kg/min 지속적 침제시는 diazepam을 투여한 II군에서만 평균 동맥압의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p<0.05), lidocaine의 혈중농도는 diazepam투여하지 않은 I군에서는 $3.97{\pm}0.22$에서 $4.48{\pm}0.36$ mcg/ml 범위였고 II 군에서는 $3.70{\pm}0.32$에서 $4.10{\pm}0.22$ mcg/ml범위였다. Lidocaine 200 mcg/kg/min의 지속적 침제시는 I군에서는 평균 동맥압의 감소, 중심정액압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p<0.05), II 군에서는 심장지수의 감소, 폐동백 쐐기압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p<0.05), lidocaine의 혈중농도는 I군은 $7.50{\pm}0.66$에서 $7.91{\pm}0.77$ mcg/ml, II군에서는 $7.64{\pm}0.79$에서 $8.23{\pm}1.18$ mcg/ml범위로 증가하였다. Lidocaine 300 mcg/kg/min의 지속적 침제시는 I군에서는 평균동맥압, 일회 박출지수, 좌심실 박출 작업지수의 감소가 있었고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 정맥압, 전신혈관 저항지수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II군에서는 심장지수, 일회 박출지수, 좌심실 박출 작업지수의 감소가 있었으며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 정맥압, 전신혈관 저항지수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그러나 심박동수, 폐동맥압의 변화는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이때의 혈중 lidocaine의 농도는 I군에서는 $11.30{\pm}2.11$에서 $11.83{\pm}0.59$ mcg/ml범위 로, II군에서는 $12.95{\pm}0.71$에서 $13.79{\pm}0.82$mcg/ml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CaCl_2$ 투여 후는 억제된 심장지수, 일회 박출지수, 전신혈관 저항지수, 폐혈관 저항지수, 좌심실 박출작업지수 및 우심실 박출 작업지수는 회복시켰으나 (p<0.05), 폐동맥 쐐기압, 중심정맥압 등은 오히려 억제시켰다 (p<0.05). 이상에서 자율신경계에 손상이 없으며 산혈증 및 과탄산증이 없는 개에서는 lidocaine의 높은 혈중 농도치에서도 혈역학에 내성이 있었으며, ljdocaine의 중추신경계 독성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diazepam의 전투여 시에도 추가적인 심혈관계의 억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율신경계 이상이 있거나 자율신경계를 억압할 수 있는 약을 사용할 때 또는 산혈증, 과탄산증 및 저산소증이 동반된 환자에 사용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내과적 흉강경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과 안전성 (Diagnostic Accuracy and Safety of Medical Thoracoscopy)

  • 양정경;이정호;권미혜;정지현;이고은;조현민;김영진;정성미;최유진;손지웅;나문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3호
    • /
    • pp.261-267
    • /
    • 2007
  • 배경: 삼출성 흉수 환자의 적지 않은 빈도에서 원인이 불명확하다. 삼출성 흉수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에서 내과적 흉강경은 국소마취 하에서 시행할 수 있으며 악성 종양이나 결핵에서 진단율이 높으며, 진정제와 국소마취상태에서 시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적 흉강경의 진단적 정확성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부터 2006년 9월까지 25명의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 환자를 대상으로 내과적 흉강경을 시행하였다. 성별, 연령 시술 전 폐기능,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LDR) 등의 정보를 얻었다. 내과적 흉강경 시행도중 활력징후를 기록하였고 동맥혈 가스 분석을 5차례 시행하여 혈역학적 상태와 산-염기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6.8(22-79)세였고,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는 27.49 mm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을 이용한 흉막 조직 생검으로 24명(96%)이 진단되었으며, 결핵성 흉막염이 9명(36%), 악성 흉수가 8명(32%), 부폐렴성 흉수가 7명(28%)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으로 흉수의 원인을 알아낼 수 없었던 1명(4%)은 추후에 심장막 조직 생검으로 결핵으로 진단되었다. 내과적 흉강경 중 혈압, 심박동수, 산-염기 상태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내과적 흉강경은 진단율이 높으면서도 안전한 시술이다.

유육종증 진단에서의 사각근 림프절 생검의 유용성 (The Utility of Scalene Lymph Node Biopsy in the Diagnosis of Sarcoidosis)

  • 정원상;김영학;송영주;김지훈;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94-699
    • /
    • 2010
  • 배경: 유육종증의 진단에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과 함께 조직검사가 중요하다. 이 연구는 유육종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사각근 림프절 생검이 가지는 진단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본원에서 증상 유무와 상관없이 시행한 단순흉부촬영과, 흉부컴퓨터단층촬영상 유육종증이 의심되는 환자 중 사각근 림프절 생검을 시행한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남자는 15명 여자는 20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41.51{\pm}11.21$세 (25~64)였다. 35명 중 3명이 결핵을 진단 받았고 32명 중 27명이 유육종증을 진단 받아 84.4%의 진단율을 얻었다. 사각근 림프절 크기의 평균은 1.26 (${\pm}0.11$) (0.3~3.6 cm) 였다. 단순흉부촬영 상 폐침윤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었을 때 (0기와 1기, 2기와 3기), 그리고 림프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인 군과 1 cm 미만인 군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경우 두 군의 양성 판정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04) (p=0.085). 수술 합병증 및 사망률은 없었다. 결론: 사각근 림프절 생검은 국소마취 하에 간단하게 큰 합병증 없이 시행될 수 있으며 질환의 병기나 림프절의 크기에 관계 없이 높은 진단율을 나타내었다. 사각근 림프절 생검은 유육종증의 진단에 있어서 다른 조직검사 방법들을 대신하여 시행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선발된 한우로부터 초음파 유래 체외수정란 이식에 의한 고품질 한우 생산기술의 실용화 II. DNA 검정우로부터 초음파 유래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관한 연구 (Practical Applications of DNA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OPU-Derived IVF Embryo Transfer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Meat in Hanwoo II. Production of IVF Embryos Derived Transvaginal Ovum Pick-up from DNA Marker-Proved Hanwoo)

  • 박희성;이지삼;진동인;박준규;홍승표;이명열;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DNA marker가 검정된 한우로부터 생산한 체외수정란을 이식하여 육질 및 육량의 유전적 능력이 우수한 한우를 대량생산하여 고품질 한우 쇠고기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DNA marker 검정 한우로부터 초음파유도 난포란을 채란하여 체외수성 및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각종 요인들과 배반포기 수정란의 부화율 개선을 위하여 투명대를 laser로 drilling을 실시하여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의 분할률은 swim-up과 percoll 방법이 각각 75.0%(48/64) 및 71.4% (45/63)로써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도축장유래 체외수정란의 분할율도 각각 69.9% (121/173) 및 62.2%(l12/180)로써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을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이 25.0%(swim-up; 12/48) 및 22.2%(percoll; 10/45)로써 정자의 처리방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도 각각 29.8%와 28.6%로써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유래 난포란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체외수정을 실시하였을 때 1(G I), 2(G II) 및 3(G III)등급 난포란의 분할율은 각각 60.0%(3/5), 69.2%(18/26) 및 62.1%(59/95)로써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4등급 난포란의 36.2%(25/69) 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1 및 2등급이 33.3% (1/3) 및 38.7%(7/18)로써 3 및 4등급의 16.9% (10/59) 및 4.0%(1/25)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초음파유래 난포란을 체외수정 후 TFB, HT 및 HTB 배양액으로 체외배양을 실시하였을 때 분할율은 68.7%(55/80), 65.0%(13/20) 및 68.2% (15/22) 로써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의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TFB (25.5%), HT(23.1%) 및 HTB(20.0%)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aser system 으로 zona drilling을 실시한 EB, ExB 및 ExBO 수정란의 부화율은 각각 65.8%(25/38), 82.9%(29/35) 및 80%(16/20)로써 초음파유래 ExB 수정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zona drilling 을 하지 않은 배반포기 수정란은 각각 25.0%(EB; 12/48) 및 35.7%(ExB; 15/42)로서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zona drilling한 배반포기 수정란은 bona drilling을 하지 않은 배반포기 수정란에 비하여 부화율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초음파 유도하 1회 주사요법에 의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한 예비보고 (The Preliminarily Result of Radiologic Disappearance of the Calcific Material on One Time Ultrasonographic Assisted Needling)

  • 유재철;손민수;고경환;임태강;이영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
    • /
    • 2012
  • 목적: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에 의한 석회 침착에 대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증상이 있는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모든 환자에서 1회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을 시행 받은, 총 46명(47 견관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사요법을 시행하기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석회 침착물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침착된 석회에 대하여 가능한 예에서는 흡입을 시도하였고 흡입 실패 시 다발성 천공을 시행하였고 모든 예에서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1 ml 리도케인과 1 ml 스테로이드의 혼합액을 주입하여 주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에 의한 침착된 석회의 조기 소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주사요법 시행 전과 시술 후 첫 외래 방문시기인 4주째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석회 침착물의 크기, 음영 및 형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통증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와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를 시술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 남자가 11명, 여자가 35명이었고, 시술 당시 평균 연령은 53.8세(28~71세)이었다. 우측 35예, 좌측 견관절에서 12예로 관찰되었고, 우세 상지측에 발생된 경우는 37예 (78.7%)에서 해당되었다. 주사요법 시행 전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석회 침착의 형태는 31예에서 A형, 16예에서 B형으로 관찰되었고 평균 크기는 $2.9{\pm}6.7$ mm이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 시행 후 4주째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크기나 음영이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10예, 변화를 보였던 경우가 37예에서 관찰되었다. 변화를 보였던 37예 중 크기는 유지되나 음영이 감소되거나 경계가 불분명해진 경우가 14예, 크기가 감소된 경우 13예(50%이상 감소한 경우 4예, 50%미만 감소된 경우 9예), 흔적만 남은 경우 8예, 그리고 완전한 소실을 보인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방사선학적 변화를 보였던 군과 보이지 않았던 군의 시술 후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두 군 간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으며 시술 전 FAS 분류에 있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결론: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 이후 조기(4주째)에 방사선학적으로 크기나 음영에서 변화를 보이는 예는 79%에서 보였으나 거의 없어지거나 완전한 소멸을 보이는 예는 21%에서만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적인 추시 관찰을 통하여 석회 침착물의 소멸 여부를 비교해 봄으로써 1회 시술의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