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oid Permission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7초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권한 관련 보안 취약성 분석 (Analysis of Security Vulnerabilities with Application Permissions in Android Platform)

  • 김익환;김태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08-1111
    • /
    • 2010
  •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오픈소스 형태로 응용프로그램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오픈 소스의 특징으로 인해 보안 취약점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고유의 보안모델은 응용프로그램의 시스템자원에 대한 부적절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권한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의 권한 기반 보안모델에 대한 취약성을 테스트 코드수행과 플랫폼 소스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이에 대해 간단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악성 앱 탐지를 위한 확률적 K-인접 이웃 분류기 (Probabilistic K-nearest neighbor classifier for detection of malware in android mobile)

  • 강승준;윤지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817-827
    • /
    • 2015
  • 현대인은 스마트폰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 많은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실제로 해커들은 스마트폰에 악성 프로그램을 은밀하게 설치하여 장치 이용 제한 및 개인정보 유출 등의 보안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악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프로그램과 다르게 필요 이상의 권한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바탕으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기반 앱들이 요구하는 권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과 확률적 K-인접 이웃(Probabilistic K-Nearest Neighbor:PKNN) 방식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악성 프로그램과 일반 프로그램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뿐 아니라 이를 k-묶음 교차 검증(K-fold Croos Validation)을 통해 PKNN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인접 이웃(K-Nearest Neighbor:KNN) 방식과 비교하여, KNN이 분류하기 힘든 부분을 확률적으로 해결하는 PKNN방법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제안한 방식을 최적화하는 ${\kappa}$${\beta}$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악성 앱 샘플은 Contagio에 요청하여 이용하였다.

Android Botnet Detection Using Hybrid Analysis

  • Mamoona Arhsad;Ahmad Kari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3호
    • /
    • pp.704-719
    • /
    • 2024
  • Botnet pandemics are becoming more prevalent with the growing use of mobile phone technologies. Mobile phone technologies provide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entertainment, commerce, education, and finance. In addition, botnet refers to the collection of compromised devices managed by a botmaster and engaging with each other via a command server to initiate an attack including phishing email, ad-click fraud, blockchain, and much more. As the number of botnet attacks rises, detecting harmful activities is becoming more challenging in handheld devic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evaluate mobile botnet assaults to find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that occur through coordinated command servers causing major financial and ethical harm. For this purpose, we propose a hybrid analysis approach that integrates permissions and API and experiments on the machine-learning classifiers to detect mobile botnet applications. In this paper, the experiment employed benign, botnet, and malware applications for validation of the performance and accuracy of classifiers. The results conclude that a classifier model based on a simple decision tree obtained 99% accuracy with a low 0.003 false-positive rate than other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for botnet applications detection. As an outcome of this paper, a hybrid approach enhances the accuracy of mobile botnet detection as compared to static and dynamic features when both are taken separ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