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ong granit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18초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와 그 의미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Yeongju and Andong Granites,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 윤리나;송용선;이기욱
    • 암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9-220
    • /
    • 2014
  • 영남육괴 북동부 지역에서 선캠브리아 변성암 복합체와 고생대 퇴적암층을 관입한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의 저반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영주화강암 저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각섬석-흑운모 토날라이트와 등립질 흑운모 화강섬록암은 각각 약 187Ma와 186Ma이다. 안동화강암 저반에서는 주 구성암체인 안동심성암체의 흑운모 화강섬록암과 극조립질 흑운모 화강암이 각각 182Ma와 186Ma를 나타낸다. 따라서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 저반의 연대는 오차범위 내에서 거의 일치한다. 한편 안동화강암 저반의 각섬석 반려암은 시료 중 가장 고기인 약 194 Ma이고, 영주화강암 저반 중 세립질 복운모 화강암으로 주로 구성된 춘양화강암은 가장 젊은 약 175 Ma이다. 이러한 연대측정 자료는 영남육괴 북동부인 영주-안동 지역에서의 쥬라기 대보 화성활동은 쥬라기 초에 고철질 마그마의 관입으로 시작되었고, 전기 쥬라기 중엽에 정점에 이르러 다량의 화강암질 마그마가 관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전기 쥬라기의 끝 무렵에 소량의 보다 분화된 화강암질 마그마가 관입하였음을 지시한다.

각섬석 지압계를 이용한 영남육괴 내 화강암의 정치심도와 그 의미 (Implication for the emplacement depth of the granites in the Yeongnam Massif, using the aluminum-in-hernblende barometry)

  • 홍세선
    • 암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6-55
    • /
    • 2001
  • 각섬석지압계를 이용하여 영남육괴 내에 분포한 영주, 안동과 김천일대의 쥬라기 화강암체를 대상으로 정치심도를 측정하여 이의 지구조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영주화강암에서 22개, 안동화강암에서 10개, 김천화강암에서 12개의 시료를 선택하여 각섬석의 연변부 성분을 측정하였다. IMA(Leake et at., 1977)에 의한 각섬석 분류에서 이들은 에데나이트, 파가사이트와 페로파가사이트 성분영역에 속한다. Schmidt(1992)의 식에의해 계산된 정치압력은 영주화강암이 5.6~7.9 kb. 안동화강암이 5.5~7.5 kb, 김천화강암은 4.1~5.3 kb의 범위를 나타낸다. 특징적으로 영주화강암은 예천전단대 부근의 남동 경계부에서 북서 경계부로 가면서 정치심도가 7.5 kb에서 6 kb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5km의 정치심도 차이에 해당한다. 이를 경사각도로 적용하면 영주화강암은 대체로 북서방향으로 약 $10^{\circ}$정도 기울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즉, 정치이후 단층운동이나 전단운동 등과 같은 지구초적 환경에 의해 남쪽 부분이 더 상승한 이후 현재 지표면에 노출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영주화강암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축방향으로의 압력 차이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같은 영남육괴내에 관입한 김천지역 화강암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정치 심도의 분포 결과를 볼 때 적어도 영남육괴 내 일부 화강암은 비록 화강암체가 전단대와 접하더라도 북동-남서방향의 장축 방향으로 기울어짐(tilting)이 전연 일어나지 않았음을, 즉, 조구조운동에 의한 암체의 고결 후 동적 변화가 없었음을 지시한다.

  • PDF

Identification and Three-Dimensional Characterization of Micropore Networks Developed in Granite using Micro-Focus X-ray CT

  • Choo, Chang-Oh;Takahashi, Manabu;Jeong, Gyo-Cheol
    • 지질공학
    • /
    • 제24권2호
    • /
    • pp.179-189
    • /
    • 2014
  • We analyzed the three-dimensional distribution of micropores and internal structures in both fresh and weathered granite using micro-focus X-ray computed tomography (micro-CT). Results show that the pore radius in fresh granite is mostly in the range of $17-50{\mu}m$, the throat radius is in the range of $5-25{\mu}m$, and the coordination number (CN) of pores is less than 10. In contrast, the pore radius in weathered granite is mostly in the range of $20-80{\mu}m$, the throat radius is in the range of $8-30{\mu}m$, and the CN is less than 12. In general,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ore radius and CN. In addition, both the size and the density of pores increase with an increasing degree of rock weathering. The size of the throats that connect the pores also increases with an increasing degree of weathering, which induces fracture propagation in rocks. Micro-CT is a powerful and versatile approach for investigating the three-dimensional distributions of pores and fracture structures in rocks, and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the degree of pore connectivity.

안동 흑운모화강암 지역의 진행성 파괴사면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Progressive Failure Slope in Biotite Granite Area of Andong)

  • 백승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3-110
    • /
    • 2000
  • This paper deal with the stability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progressive failure slope in biotite granite area of Andong. Based on geological site investigation and field test, stability analysis of slope wa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limit equilibrium methods and stereographic projection. Additionally, initial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 was critically evaluated. Series of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reveals the detection of local wedge and plane failure under the current slope condition. It is additionally appeared that a certain synthetic behavior of circle and plane failure exists on the right spot where the overall failure's going in progress. In order to construct more stable slope based on the suitability for the real state of the slope circumstances, this study issues a solution to eliminate the primary factors which cause the instability, by means of the grade of weathering and RMR classification of rock mass.

  • PDF

화강암지역 지하수 수질의 특징과 불소원인에 관한 물-암석반응 연구 (Geochemical Aspects of Groundwater in Granite Area and the Origin of Fluoride with Emphasis on the Water-Rock Interaction)

  • 추창오;김종태;정일문;김남원;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8권1호
    • /
    • pp.103-115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경남 북서부 화강암 분포지역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징 및 불소의 원인을 물-암석반응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하수의 수질과 모암인 화강암의 주요 성분간의 부화경향성을 검토하였으며, 변질된 암석내 광물의 미세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화학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물-암석반응에 따른 지하수내 불소의 용존 원인을 해석하였다. 불소함량과 경도를 비교한 결과 이들 간에는 뚜렷한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불소함량과 pH는 대체로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이며, 공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불소함량도 증가한다. 흑운모의 변질작용은 벽개를 따라 일어나거나, 결정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가장 우세하게 일어난다. 물-암석반응에 의하여 흑운모가 쉽게 변질되므로 본 연구지역의 지하수내 불소의 주공급원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영주화강암과 안동 화강암의 인회석 Sr 동위원소 조성: 두 암체의 동위원소적 구분과 경계의 위치 (Sr Isotopic Composition of Apatite from the Yeongju and Andong Granites: Isotopic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anites and Location of the Boundary)

  • 윤리나;이승구;박계헌;송용선
    • 암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3
    • /
    • 2016
  • 영남육괴의 북동부에 위치하는 영주화강암과 안동화강암은 동일한 시기에 정치하였지만 서로 다른 Sr 동위원소 초기치를 갖는다. 하지만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두 저반을 구분하는 경계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 어떤 경계가 합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지역의 화강암들로부터 인회석을 분리하여 Sr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두 암체의 경계를 제안한다.

강화도 선두리 지역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암에 대한 풍화 특성 (Characterization of Weathering Process in Biotite Gneiss and Granite, Ganghwa Island)

  • 장윤득;김정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1호통권47호
    • /
    • pp.39-48
    • /
    • 2006
  •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암에 대한 풍화정도에 따른 광물조성과 화학성분 변화를 X-선회절분석, 전암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흑운모 편마암의 주 구성광물은 흑운모, 석영, 사장석이며 화강암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백운모과 약간의 정장석을 포함하고 있다. 풍화가 진행될수록 흑운모 편마암은 버미큘라이트와 할로이사이트가 증가하고 화강암은 일라이트와 캐올리나이트가 증가한다. 풍화가 진행될수록 대체로 $Na_{2}O$, CaO, $K_{2}O$가 감소하고 $Al{2}O_{3}$의 함량이 증가하지만, $Fe_{2}O_{3}$의 값은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암에서 큰 차이를 나타낸다.

지질별 불포화토 사면의 붕괴 임계심도 분석 (Analysis on Failure Critical Depth of Unsaturated Landslide Zone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 남경훈;김민규;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5권2호
    • /
    • pp.299-304
    • /
    • 2015
  • 강우침투로 인한 불포화토 사면의 안정해석이 산사태 분석 및 사면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주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강도를 고려하여 국내 산사태 발생부의 모암별 풍화토층의 붕괴 임계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강도 및 사면경사 증가에 따라 편마암 풍화토는 임계심도가 3.00 m에서 3.77 m로 증가하였고, 화강암 풍화토는 임계심도가 1.75 m에서 2.40 m로 증가하였으며, 이암 풍화토는 3.00 m에서 4.15 m로 증가하였다. 점착력이 낮고 내부 마찰각이 높은 화강암 풍화토에서 붕괴 임계심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강우강도에 의한 안전율 감소보다 사면경사 증가에 따른 안전율 감소가 다소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강암 공시체의 응력레벨에 따른 투수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Damaged Granite)

  • 김종태;;강미아;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35-142
    • /
    • 2007
  • 토목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암반은 암석자체로서는 강도가 높고 투수성이 작지만 공학적 성질은 암반내의 존재하는 크랙, 절리 등 불연속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천부 암반내에 지배적으로 분포하는 것은 절리이지만 그 수가 적은 지하심부에 있어서 지하수 투수성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암석자체의 미소크랙의 연결성이 투수성 크랙으로서 충분히 고려되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절리성 암반의 절리분포 및 투수성 해석 모델화 방법을 화강암 공시체의 미소크랙에 응용하여 손상진행에 따른 화강암의 투수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소크랙 데이터로부터 투수모델을 작성하여 해석한 결과 평균투수계수에 있어서 실제의 투수시험 값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차원 모델의 가시화를 가지고 모델표면에서의 미소크랙과의 비교로부터 손상발달에 의한 미소크랙 발생수와 유출면으로부터 계산한 평균투수계수는 비례관계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Micro/macro properties of geomaterials: a homogenization method for viscoelastic problem

  • Ichikawa, Yasuaki;Wang, Jianguo;Jeong, Gyo-Cheo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권6호
    • /
    • pp.631-644
    • /
    • 1996
  • Geomaterials such as soil and rock are composed of discrete elements of microstructures with different grains and microcracks. The studies of these microstructures are of increasing interest in geophys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relating to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We first show experimental results undertaken for direct observation of microcrack initiation and propagation by using a newly developed experimental system, and next a homogenization method for treating a viscoelastic behavior of a polycrystalline r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