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Local Brand Lov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Local Brand Love Based On Product, Price, Promotion, Online Distribution

  • YASA, Ni Nyoman Kerti;SANTIKA, I Wayan;GIANTARI, I Gusti Ayu Ketut;TELAGAWATHI, Ni Luh Wayan Sayang;MUNA, Nilna;RAHANATHA, Gede Bayu;WIDAGDA, I Gusti Ngurah Jaya Agung;RAHMAYANTI, Putu Laksmita Dewi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5호
    • /
    • pp.35-47
    • /
    • 2022
  • Purpose: To explain the effect of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and social media promotion on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cal brand lov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are Indonesians who have purchased local Indonesian brand products. The size of the sample used was 240 people with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tical technique used is Path Analysis using SEM-PLS. Results: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but social media promotion has a positive and in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and social media promotion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attitudes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ocal brand love; and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ve for local brands. Conclu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local brand product businesses to pay attention to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and social media promotion in order to be able to build positive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ultimately have an impact on local brand love. In online distribution, with online distribution, it is easy for marketers to deliver multimedia content through online methods.

패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Equity)

  • 김미영;이승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4호
    • /
    • pp.684-69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 of fashion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corporate brand on brand attachment and equity. A total of 217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ts suburb respond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is study. As the result, firs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such as social service, public local fac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consumer protec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actors. Second, brand attachment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uch as love, interest, perception and trust factors. Third, brand equity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uch as loyalty, quality-image, marketing and recognition factors. Generally, fashion social responsibility factors was correlated with higher scores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equity. Fin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counted for 12% of the explained variance brand attachment, also brand attachment accounted for 32% of the explained variance brand equity, whil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counted for 14% of the explained variance brand equity.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brand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suggested.

  • PDF

국내 자치단체의 커뮤니티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시각요소 중 기본요소의 현황분석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ommunity Identity Design of Local Self-government Bodies -Focusing on the Analysis on the Basic Visual Elements-)

  • 김훈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5-14
    • /
    • 2005
  • 국내 각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티아이덴티티 (community identity) 프로그램은 지역 활성화를 중요한 목적으로 한다. 커뮤니티아이덴티티는 타 지자체들과 차별화 된 이미지를 확립하고 동시에 지역주민의 애향심과 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커뮤니티아이덴티티 외에도 지방자치단체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꽃, 새, 동물 등의 각 지자체 상징물이나 그 지역과 연고가 있는 인물, 전통, 특산물 등을 시각화한 캐릭터가 있다. 최근에는 시티브랜드와 같은 마케팅지향의 브랜드 계획, 지역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도입된 국내 지방자치단체 커뮤니티아이덴티티의 시각요소 중 심벌마크, 로고타입, 색상 등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와 각 지자체의 상징물, 캐릭터의 시각요소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티아이덴티티 및 기타 디자인요소들의 차별성이 부족하고 여러 시각 요소들 간의 일관성도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차별화 된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는 지역이 갖고 있는 보다 특색 있고 다양한 소재 개발과 커뮤니티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여러 시각요소들의 일관성과 상호작용을 통한 시너지효과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 PDF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 안동 '그대생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of Co-Brand for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 Focusing on the case of 'Geudae Ginger' in Andong)

  • 강미혜;김공숙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53-182
    • /
    • 2020
  • 안동은 전국 최대의 생강 주산지이다. 이 연구는 안동생강의 공동브랜드 '그대생강'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대생강 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과정은 4단계이다. 1단계 자료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소재를 수집하였다. 인류에게 오래 동안 약으로 사용되어온 생강은 무엇보다 역사 문화적 이야기 소재가 많다. 2단계로 스토리 자원을 추출하였다. 생강은 두루 이롭게 쓰이면서도 본연의 색과 향기를 잃지 않는 고귀함, 강직함, 정결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이미지와 결부시킬 수 있다. 3단계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였다. 핵심 테마를 '격(格)이 다른 안동생강'으로 설정하였고, 핵심 스토리로 ≪안동 생강선생 이야기≫ 시리즈를 기획해 시나리오 1편 <안동 생강선생을 소개 하오>, 2편 <도산십삼차(陶山十三茶)의 탄생>, 3편 <사랑을 이어주는 그대생강>을 개발하였다. 4단계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스토리텔링 확장을 위한 지역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으로 '그대' 생강의 이미지를 활용한 소비자 참여형 스토리텔링의 확산방법 및 생강'선생'의 이미지를 부각한 선생님과 함께 하는 생강 여행 및 생강 축제 등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격이 다른 안동생강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조함으로써 그대생강 공동브랜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안동생강의 효능과 정보, 역사적 사실 등이 널리 알려지고, 생강이 양념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유용하고 매력적인 지역농산물로 자리매김하며 나아가 안동생강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문화관광 사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장소성 강화를 위한 무섬별리문학관 공간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orytelling Method of Muesom Byeolli Literature Museum to Enhance the Placeness)

  • 이경숙;권기창
    • 지역과문화
    • /
    • 제6권1호
    • /
    • pp.29-5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섬마을을 무섬별리문학관으로 공간스토리텔링하는 것이다. 지역문학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무섬마을의 장소성 강화를 위해 닫힌 공간의 문학관이 아닌 열린 공간의 무섬별리문학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무섬마을을 분석하고, 그 가치와 의미를 살폈다. 이론적 고찰과 연구 대상의 분석에 따라 무섬별리문학관의 공간을 구성하여, 조지훈과 관련된 이야기로 방문객이 장소감을 느끼고, 장소성으로 이야기를 완성해가는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연인의 공간, 사유의 공간, 배려의 공간, 치유의 공간으로 구성하고, 사랑, 마을, 밥상, 유희로 공간을 스토리텔링하여 문학콘텐츠와 문학작품 배경인 마을의 공간을 극대화하였다. 이는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에 좋은 자연과 문화, 문학이 융합된 복합문화공간이 될 것이다.

서비스 실패 경험 후 레스토랑 브랜드 품질, 귀인 및 감정반응 관계분석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Restaurant Brand Relationship Quality, Attribution, and Emotional Response After Service Failure Experience)

  • 장기화;송수익;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20-11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레스토랑 이용객의 서비스 실패 후 감정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패 귀인 요소, 그리고 고객의 브랜드 관계 품질이 서비스 실패 귀인 지각에 대한 환원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귀인이론은 귀인이론과 귀인적 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한 모형에서 귀인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신념과 귀인 후의 감정반응 간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신념(BRQ: Brand Relationship Quality)-귀인-감정 3단계 모형을 구축하고 충돌 감정 반응(분노VS동정)의 독립성을 같이 검증되었다. 먼저, 감성적BRQ(친밀감 및 사랑)은 통제가능성 귀인에 미치는 환원효과가 있는데 행동적BRQ(상호의존)은 통제가능성 귀인에 미치는 확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적 관점에서 레스토랑 관리자는 고객의 서비스 실패의 반복 발생 가능성 지각을 낮추고 고객의 동정을 환기해야 한다. 통합적으로 레스토랑 관리자는 고객의 서비스 실패 귀인 지각을 잘 조절하고 고객의 BRQ이 감정반응에게의 영향효과를 환원시켜야 한다. 여러 가지의 서비스 회복 방안을 수립하고 귀인을 잘 조절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BRQ은 각각 분노 및 동정에 다른 효과(확대VS환충)가 있기 때문에 고객 BRQ의 특성에 따라 다른 서비스 실패 회복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성적 BRQ 고객에게 금전 보상이나 공정성 거래, 친밀감 및 사랑 고객에게 감정배려, 상호의존 고객에게 호혜성 설득 등 방안을 상황에 맞게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후 귀인의 매개효과를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는데 BRQ-귀인-감정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조절요인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 서비스 실패 강도의 조절효과를 고려해야 하고 더 완전한 모형을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