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munity Identity Design of Local Self-government Bodies -Focusing on the Analysis on the Basic Visual Elements-

국내 자치단체의 커뮤니티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시각요소 중 기본요소의 현황분석을 중심(中心)으로 -

  • 김훈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Local self-governing bodies have created community identity to activate local communities. community identity is one of the very effective ways to establish a different image from other self-governing bodies and to raise locals' love of hometown and sense of belonging. In addition to community identity., there are several things to form identity such as symbols (like flowers, birds, and animal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or characters visualizing figures, tradition, and specialties of the region. Recently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various programs such as brand planning like city brand, and local events. This study analyses the basic elements, like symbol mark, logotype, and color, among visual elements of the current local self-governing bodies community identity. and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sual elements of symbols and character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community identities and other design elements lack differentiation and consistency among visual elements. To create differentiated image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it needs to develop unique and various themes of the region and to generate synergy effect through consistency and interactions among various visual effects based on community identity.

국내 각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티아이덴티티 (community identity) 프로그램은 지역 활성화를 중요한 목적으로 한다. 커뮤니티아이덴티티는 타 지자체들과 차별화 된 이미지를 확립하고 동시에 지역주민의 애향심과 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커뮤니티아이덴티티 외에도 지방자치단체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꽃, 새, 동물 등의 각 지자체 상징물이나 그 지역과 연고가 있는 인물, 전통, 특산물 등을 시각화한 캐릭터가 있다. 최근에는 시티브랜드와 같은 마케팅지향의 브랜드 계획, 지역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도입된 국내 지방자치단체 커뮤니티아이덴티티의 시각요소 중 심벌마크, 로고타입, 색상 등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와 각 지자체의 상징물, 캐릭터의 시각요소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티아이덴티티 및 기타 디자인요소들의 차별성이 부족하고 여러 시각 요소들 간의 일관성도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차별화 된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는 지역이 갖고 있는 보다 특색 있고 다양한 소재 개발과 커뮤니티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여러 시각요소들의 일관성과 상호작용을 통한 시너지효과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