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Remain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고대 나직물의 유형과 특성 II - 석가탑 복장 나직물을 중심으로 -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auze Fabric of Ancient Korea II - Focused on Gauze Fabrics Found at Sukga Pagoda -)

  • 권영숙;장현주;이용희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51-61
    • /
    • 2003
  • 1. This study is to veri(y the characteristics of gauze fabrics focused on the them found at Sukga Pagoda. The remains researched are those of the Unified Shilla Dynasty around 8∼10 century. The found textile remains seem to be used as rugs or to be used for filling in spaces, wrapping silver reliquaries, equipments preserving relics of the Buddha, a gold-plated outermost reliquary, and so on. Since other remains found inside the Sukga Pagoda are national treasures, the textile remains can be considered as the fabrics of the highest quality. 2. Seven gauze fabrics, four non-designed gauzes and three designed gauzes, are found. They are all four-end complex gauze, weaved with the complex gauze technique. Two designed gauzes out of three designed gauzes are weaved in pattern by the clamp-resist dyeing technique and one is weaved in pattern by giving some changes in weaving. 3.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gauze fabrics, such as thinness, fineness, and sparseness, another characteristic is found. That is,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wefts and warps is over two times on the average in all of the seven gauze fabrics. Some of the gauze fabrics look like laces because of the huge difference in their thickness. 4. This research verified that with their transparency, are such materials that their beauty can easily be realized without adding various colors or patterns on the fabric by painting, embroidery, stitching old foil, or compound weaving technique.

아산시 명암리 출토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Human Skeletal Remains Excavated from Myungam-ri site in Asan, Korea)

  • 김윤지;김수훈;조은민;이정원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6호
    • /
    • pp.33-48
    • /
    • 2015
  •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 유적 9지점에서 발굴조사 된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 초기 분묘 출토 인골 27개체를 대상으로 고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실리카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출토 인골로 부터 DNA를 추출한 후,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과변이지역을 9지역으로 나누어 PCR법에 의해 부분 증폭을 실시하였다. 증폭산물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과변이지역의 변이형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18개체의 mtDNA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아멜로제닌 유전자 분석에 의한 성결정은 M-26, M-29, M-37(L), M-49(R)의 4개체만이 분석되었고 모두 여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전통 건축과 선박의 목구조 상관 관계 비교 연구 - 고려선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rrelation the Wooden Structure Betwee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Korean Ships - Focusing on the Ships of the Goryeo-sun -)

  • 김라니;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6호
    • /
    • pp.7-16
    • /
    • 2022
  •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carpenters and tools because wood, the material, was common. This close relationship may have been from the time of ancient architecture and ancient ships.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ides through historical record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e structural association using existing remains. As a result, thre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could be found. First, the types of wood used are similar, and the tools and terms used are similar. Second,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horizontal and vertical materials and the structure of wood and the method of forming wood are similar. Lastly, the ship carpenters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mainly worked on long and curved materials such as the eaves and the ridge of a roof, because this was the work done when the ship was built.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roof structure they created resembles that of the ship.

문화재 발굴 조사·연구 과정의 개선 방안 연구 - 신라 고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xcavation and Research Process - With a Focus on Building a Silla Ancient Tombs Database -)

  • 정익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4-23
    • /
    • 2020
  • 이 글에서는 문화재 발굴과 연구를 연결된 하나의 과정(process)으로 설정하고 그 개선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과정 통합의 관점에서 문화재 발굴 과정을 살펴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 방안으로 보고서의 형식 변화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라 고분 발굴과 연구의 개선 모델을 그려보았다. 현재 문화재 발굴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와 연구가 일원화되지 못하고 '행정 절차로서의 조사' 혹은 '조사를 위한 조사'에 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연구성과 달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둘째, 조사자 또는 기관마다 보고서의 구성이나 서술 방식에 차이가 있어, 보다 상위 차원에서 자료를 통합하고자 할 때 어려움이 있다. 셋째, 현재 보고 자료의 형태가 책이나 PDF 등의 아날로그에 머물고 있어 연구 단계로의 연속성과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시대의 변화에 뒤처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개선 방안은 보고서를 전산화하여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야 한다고 보았다. 첫째, 보고서 형식의 전환은 발굴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인 발굴 자료의 형태가 아날로그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발굴과 연구를 하나로 연결하는 관점에서 개선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다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그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데이터베이스는 신라 고분을 대상으로 구축 모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분야의 사례를 살피고 목적과 기대 효과, 대상, 추진, 속성과 범주, 인터페이스를 고찰하였다.

출토고목재의 수종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 II ) -출토고목재의 부후형태- (Species identification and microscopic structure of ancient wood excavated from the remains( II ) -Degradation of ancient woods-)

  • 강애경;박상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24
    • /
    • 1993
  •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change of ancient woods, samples classified by cell type, burial environment and species were collected and observed using microscopy. Decay of wood by cell type could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 degraded secondary wall was formed granular residues in $S_2$ layer and was remained $S_3$ layer and compound middle lamella. Second, the cell wall was slightly degraded and cracked in secondary wall. A gradual thinning of cell wall was occured. The compound middle lamella was separated from secondary wall. The resistance of degradation is increased at vessels, parenchyma, and tracheid and wood fiber in the order named. The type of degradation by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verall degradation type; the degradation of cell wall is usually heavy and the extent of degradation Varies by part of the same sample. Partial degradation type ; this type shows severely different decay type by part of the sample. Nondegraded cells were mixed with degraded cells on the same sample. Erose degradation type ; thinning of the cell wall was occoured and the degradation type was different by part. Slight degradation types ; secondary wall was slightly degraded, cracked and separated from compound middle lamella. Considering different type of burial environment, dry wood was similiar to sound wood and slightly decayed. Waterlogged and peat burial wood was heavilydecayed. Between species of under the same environment, decay type and extent were diferentiated from each other.

  • PDF

저고리 세부 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ogori's Structure and Changes of its Form -Focused o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to United Shilla Era)

  • 채금석
    • 복식
    • /
    • 제55권1호
    • /
    • pp.113-128
    • /
    • 2005
  • To find our own individuality, there must be an active study on jeogori which is an unexplored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rtistic beauty and predominance of jeogori and recognize it as a precious culture, and also encourage interest about traditions. The range of this study is ancient times to Chosun dynasty, and in this study which will be the first part, the range is till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The study about jeogori is based on mural paintings of Goguryeo burial mounds, clay dolls and remains during Shilla, Beakjae, and United-shilla era.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1. research the origin of jeogori's detail structures and changes of the form, 2. analyze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jeogori in each era, and therefore 3. find the predominance of Goguryeo costume by considering functional and design aspects.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bout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are First, jeogori of the three kingdom era were developed from ancient times caftan style which Korea, China and Japan wore all together. Second, the structure of the jeogori during the Three Kingdom are ryeongeum, gil, somae and seon. Third, there is a special line that starts from the neckline and ends at the hem line which should be called ryeongeum in my opinion. Forth, while researching Goguryeo murals there were both left and right sided open jeogori. therefore, I would like to set up a new theory that during the ancient times to Three Kingdom era, not did China's clothing effected the Korean costume but the costume in east asia shared their forms all together.

백제복식연구 -일본고대사에 미친 백제문화의 영향- (A Study on the Costume of Baikje Period -With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in the Ancient Japan-)

  • 조규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권1_2호
    • /
    • pp.49-56
    • /
    • 1980
  • Because of the scarcity of data, a study of costume during the Baikje period can be made imaginarily only with historical records as data. According to records, Baikje costume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Koguryo period. Consequently, we may well imagine Baikje costume by means of studying such materials as the mural paintings found in Koguryo tombs and the remains found in the royal tomb of Munyung. The basic form of costume of the Baikje period, therefore, might have been like this: Both male and female wore a kind of jacket(유: JEOGORI) and trousers(고: BAJI) with female-wearing skirt (상: CHIMA) thereon. Both men and women wore overcoat(포: DURUMAGI). They used to wear headdress(관모) and used leather shoes(화) Such a form of costume can be found in the costume of HANIWA(식륜) of Japan, which belonged to the costume of HOBOK (호복) of the northern area. Under the SHIMNEUK-PUM-KWAN-KE(십육품관계) system, that is, 16 grades of official ranks, officials of the Baikje dynasty wore clothes, coronets and belts, all of which differed from one another in colors, according to ranks. Such a system of Baikje might have influenced the KANI-JUNI-KAI (the 12-grade color discrimination of the coronet, 관위십이계)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of ancient Japan the Suiko period. For the study of such matters, I have tried to review the flow of the Korean culture into ancient Japan in the field of costume.

  • PDF

베트남의 세계유산 등재 현황과 특징 (A Review of World Heritage Sites in Vietnam)

  • 주경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93-114
    • /
    • 2017
  • 현재 베트남에는 ①탕롱 유적, ②호 왕조의 성채, ③미선 유적, ④호이안 고도시, ⑤후에 유적 등 5곳의 세계문화유산, ⑥하롱 베이, ⑦퐁나케방 국립공원 등 2곳의 세계자연유산, 세계복합유산인 ⑧짱안 경관유적 1곳 등 총 8곳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등재되어 있다. 지역적으로 보면 북부지역에 4곳, 중부지역에 4곳으로 분포하며, 남부지역에는 하나도 없다. 베트남의 자연유산은 모두 전형적인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경관이며, 2000년대 이후 등재된 문화유산 지역들은 대부분 북부지역의 옛 왕조들의 수도였던 도성 유적이다. 지금까지 베트남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정책은 북부지역의 역사적 정통성을 강조한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향후 베트남 정부의 문화 정책이 좀더 남북 지역간 격차를 줄이고 통합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하투과레이다 기법을 이용한 부안 수성당 지역의 지하 유적 탐사 (Detection of Subsurface Ancient Remains in Sooseong Dang Area, Buan Using Ground Penetration Radar Technique)

  • 이현재;전항탁;윤설민;함세영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553-563
    • /
    • 2019
  • 고고학적 유적지 탐사의 최종 단계에서는 시굴과 발굴조사를 실시하지만, 초기 단계에는 비파괴방법인 지구물리탐사를 이용하여 지하의 유적지를 평가한다. 그 중에서도 GPR 탐사는 천부 지하에 대한 해상도가 높아 유적지 조사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부안지역의 수성당 부근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유물을 찾기 위해서 지하투과레이다(Ground Penetration Radar, GPR) 탐사를 실시하였다. 1차 GPR 탐사는 세 개 지역(Site-1, 2, 3)에서 수행하였고, 1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세부 GPR탐사는 Site-3에서 수행하였다. 탐사 결과, 지표로부터 표토층, 풍화대, 기반암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뚜렷한 이상대는 심도 약 100 cm 내외에서 장축 방향의 측선과 평행한 동서에 가까운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GPR 이상대의 불규칙한 형태적 특징과 강신호의 단속적 분포 양상은 수성당에서 발견된 제사도구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GPR 탐사는 지하 천부에 매장되어 있는 고고학적 유적이나 유물을 탐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산 명암리 출토 인골의 고유전학적 연구 (A Paleogenetic Analysis of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Myeongam-ri Site, Asan in Korea)

  • 지상현;김윤지;정용재;서민석;박양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81-93
    • /
    • 2008
  • 오늘날 고대 DNA 분석을 통한 고유전학 연구는 인류학, 고고학, 생물학 분야의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 유적 9지점에서 발굴조사 된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 초기 분묘 출토 인골 20개체를 대상으로 고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DNA 추출 및 PCR 과정에서 연구자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DNA 오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과정은 무균작업대에서 시약과 소모품을 고온멸균 및 자외선 처리하여 진행되었으며, 음성대조군을 설정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실리카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출토 인골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과변이지역을 9지역으로 나누어 PCR법에 의해 부분 증폭을 실시하였다. 증폭산물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과변이지역의 변이형을 동정하였으며, 이를 현대 한국인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아산 명암리 소규모 지역집단의 옛사람 인골 20개체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기대이상의 다양한 mtDNA haplogroup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랜 세월 동안 생활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은 아산 명암리 유적 주변의 개방적인 지역적 조건과 이곳에 거주했던 개체군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아산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많은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이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