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xcavation and Research Process - With a Focus on Building a Silla Ancient Tombs Database -

문화재 발굴 조사·연구 과정의 개선 방안 연구 - 신라 고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 Jung, Ikja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0.03.26
  • Accepted : 2020.07.31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excavation and research of cultural assets were set as a proces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considered. To this end, we examined the process of excavating cultural assets to diagnose problems, suggested changes in the format of repor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and drew up improvement models for Silla's ancient tombs and research.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rocess of excavating cultural assets are as follows. First, investigation and research fail to integrate and merely comprise 'examination as an administrative procedure' or 'investigation for the sake of investigation', which ultimately hamper research and achievement.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r description of the report by surveyors or excavation agencies, which make it difficult to integrate data at a higher level. Third, the current form of reporting remains in analog format such as books and PDFs, which not only reduces continuity and efficiency to the research phase, but also lags behind the rapidly changing times. We believe that the improvement of these problems should be achieved by computerizing reports, converting them into digital formats, and establishing them in a database. First, regarding the transition to report forma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form of excavation data, the final stage of the excavation process, remains analog and the improvement model wa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linking it to excavation and research, and the justification was emphasized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cases. Second, the database reviewed the build model for Silla tombs. To this end, the purpose and expected effects, targets, progress, attributes, categories, and interfaces were examined.

이 글에서는 문화재 발굴과 연구를 연결된 하나의 과정(process)으로 설정하고 그 개선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과정 통합의 관점에서 문화재 발굴 과정을 살펴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 방안으로 보고서의 형식 변화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라 고분 발굴과 연구의 개선 모델을 그려보았다. 현재 문화재 발굴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와 연구가 일원화되지 못하고 '행정 절차로서의 조사' 혹은 '조사를 위한 조사'에 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연구성과 달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둘째, 조사자 또는 기관마다 보고서의 구성이나 서술 방식에 차이가 있어, 보다 상위 차원에서 자료를 통합하고자 할 때 어려움이 있다. 셋째, 현재 보고 자료의 형태가 책이나 PDF 등의 아날로그에 머물고 있어 연구 단계로의 연속성과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시대의 변화에 뒤처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개선 방안은 보고서를 전산화하여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야 한다고 보았다. 첫째, 보고서 형식의 전환은 발굴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인 발굴 자료의 형태가 아날로그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발굴과 연구를 하나로 연결하는 관점에서 개선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다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그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데이터베이스는 신라 고분을 대상으로 구축 모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분야의 사례를 살피고 목적과 기대 효과, 대상, 추진, 속성과 범주, 인터페이스를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7, 신라 고분 기초학술조사연구
  2. 권귀향, 2016, 발굴조사보고서의 작성법, 발굴보고서 작성법, 한국매장문화재협회, pp.103-108
  3. 김남희.서영호, 1997, 정보기술을 이용한 프로세스 변화 전력 : 분임조 활동사례를 중심으로, 춘계학술대회 발표문집, 대한품질경영학회. p.387
  4. 김태화, 2010.6, 발굴현장 중심의 문화재 지표조사 및 발굴지원시스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4-10
  5. 변지환, 2008, 고고학 자료 실측과 보고서 편집의 디지털화,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8(4), 한국디지털디자인협회, p.154
  6. 신라문화유산연구원.경주시, 2018, 경주 대릉원 일원 고분 자료 집성 및 분포조사 종합보고서
  7. 임정빈, 2011, 발굴조사 기록의 기록관리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9
  8. 차순철, 2016, 고고학 자료 데이터베이스화의 현황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84, 한국고대사학회.
  9. 차순철.심재연, 2017, 전자고고자료의 관리와 활용 그리고 과제, 한국고고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20-46
  10. 최석근, 1996, 문화재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慶北實業專門大學論文集15, p.365
  11.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2019. 1. 25) 제9조
  12.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2019. 1. 25) 제2조 1항
  13. 문화재보호법(2019. 12. 25.) 제1조 1항
  14. SK엔카 (http://www.encar.com)
  15. 기초학문자료센터-토대연구 데이터베이스 (https://www.krm.or.kr/index.jsp)
  16. 문화재 GIS 통합 인트라넷 시스템 (https://intranet.gis-heritage.go.kr/)
  17. 문화재보존관리지도 (http://gis-heritage.go.kr/)
  18. 문화재청 발굴 조사 현황공개.보고서 (http://www.cha.go.kr)
  19. 에누리 (http://www.enuri.com)
  20. 역사문화 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 (http://www.excavation.co.kr/)
  21. 일본 전국 유적보고 총람 (https://sitereports.nabunken.go.jp/ja)
  22. 통계청-매장문화재 발굴 현황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0&tblId=TX_15002_A059&conn_path=I2)
  23. 한국 중세 고고학 기초자료 (http://smgogo.sookmyung.ac.kr/view/main.asp)
  24.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