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Literature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4초

일본 상대 문헌신화에 나타난 한국상(韓國像) - '천손강림신화'의 '한국(韓國)'을 중심으로 (A study of 'image of Korea' in myth of 'Kojiki' & 'Nihonshoki' - Focused on 'Kara' in 'the myth of Tensonkorin')

  • 이창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22권
    • /
    • pp.125-150
    • /
    • 2011
  • This paper is writed in "Kojiki" and "Nihonshoki" chronicles of the most importa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yth known as the 'the myth of Himuka' and the myth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ransmission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the myth of Tensonkorin'. There is dual structure and the two appeared in the literatur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ried to consider. Korea in terms of both tradition and the literature is limited. However, each appeared sporadically in the literature in their own tradition, elements of ancient Korea shows signs of a glimpse of the image. It appeared that 'the myth of Tensonkorin' in 'Kojiki' 'Kara' is said. They also commonly appear in the literature about the cheonsongangrimsinhwae academia in Japan until now, the so-called 'Himuro car myth' has been recognized as a starting point. However, a closer analysis of the literature focused on factors that cheonsongangrimdameun xi 'Himuro car myth differs from. Sora can see that John bukbanghyeong tradition. The myth of the southern Kyushu region and annexed 'the myth of Himuka' that can tell incorporated into.

고대(古代) 건물지(建物址)의 조영척도(造營尺度)에 관한 고찰(考察) -미륵사 동.서 금당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cient Scale of Measurement Unit Employed in Buildings and Their Sites -Focused on the East and West buildings and their sites of 'Kum-dang' in 'Mi-ruk Sa' temple-)

  • 김영필;이상선;이봉수;장동국;박강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4호
    • /
    • pp.95-110
    • /
    • 2007
  • In spite of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n a scale of building measurement unit and its system having been used in many areas of architecture, only a few researchers carried out the studies on a specific period. It is even harder to find a research results dealt in view of architecture. This research gives a focus on different types of scales employed in the ancient buildings and their sit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unit scale or scales found in recent excavations. After the review of literature on the scales widely used in the ancient times and of the various types of scales excavated archeologically, a kind of scale unit system that had been widely and extensively employed throughout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could be revealed. The scale system is possibly able to be applied to estimate the exact scale of buildings and their sites as well in that era.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cale and its system employed in the East and West buildings and their sites of 'Kum-dang' in 'Mi-ruk Sa' temple are different from 'Kokuryo' scale that was believed in to be used in the temple. Contrary to the suggestion by excavation report on the type of scale employed in the buildings their sites, a scale of 29 centimeters, similar to that of Tang, was employed. It was also found that one module consists of three 'Chuk's of 88.8 centimeters. Based on this scale system, we could conclude that three modules of the buildings on the front and two and half modules of them on the sides were explained by this scale and its system.

  • PDF

국학고전자료의 디지털화를 위한 모범적인 방안 연구 (Study on Model Case of Ideal Digitization of Korean Ancient Books)

  • 이희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5-123
    • /
    • 2005
  • 이 연구는 보존 기록 자료로서의 우리의 고전 장서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고 연구자나 이용자들에게는 시공을 초월한 열람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디지털 도서관으로서의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우선 동양 전래의 사부 분류법과 현대적인 주제 분류, 그리고 색인어 등을 통해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하고, 둘째, MARC나 XML 등을 활용한 DL시스템을 구축하되, 서지적 기술요소를 최대한 확대시키며. 셋째, 쉬운 해제와 색인어로 이용자의 이해를 극대화하고, 마지막으로 원본의 손상을 막기 위해 원문 DB를 구축하여 열람용으로 사용한다. 이는 향후 국내외 한국 고전 관련기관과 협력,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체제를 통해 국제적 서지통정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한증법(汗蒸法)을 통해 바라본 조선조(朝鮮朝) 불교의학(佛敎醫學)의 일면(一面) (An Aspect of Buddhist Medicine in Joseon Dynasty Studied through Sauna Therapy)

  • 이유진;안상우;김동율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40
    • /
    • 2018
  • Sauna, or hanjeung (汗蒸) is a physical sweating method that uses external heat to forcibly raise body temperature to treat cold damage disorders (傷寒)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auna was recorded as a healing and bathing method on the Vinaya Pitaka (律藏), and investigates the records of folk sauna therapy of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medicine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ncient medicine history in Korea. Although the word 'hanjeung (汗蒸)' first appeared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世宗實錄)" in the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tradition of Buddhist sauna bathing has already exist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sauna bathing was recorded in the Vinaya Pitaka and that the ancient Buddhist bathing culture was introduced in ancient Japan. In addition, the succession of the Buddhist sauna tradition by Goryeo will be traced back through the records of 1920s urban saunas in Gaesung (개성) which was the old capital of Goryeo and had a strong tendency to adhere to traditional Goryeo customs. Finally, the study trie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the Buddhist sauna bathing on the records of folk sauna therapy in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uddhist sauna bathing culture in ancient Korea, which was led by medical monks, spread in the general public and influenced the folk sauna therapy in the Joseon Dynasty.

성남 고등동 회곽묘 삼물회의 배합비 분석 (Analysis of the Mix Ratio of Lime Mortar used in Joseon Dynasty Seongnam Godeung-dong Barrier Tombs)

  • 이상옥;배고운;정광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34-51
    • /
    • 2020
  • 성남 고등동 회곽묘는 한 지역에서 다른 시기에 제작된 6기의 회곽묘가 발굴되었으며, 회곽묘 조성에 사용된 삼물회의 다양한 제작 기법이 확인되었다. 삼물회의 제작 기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석회 원료와 제작 기법 및 배합 방법을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고문헌에는 석회의 원료 중 저품위 석회석을 사용한 기록과 배합 재료로 황토와 백토, 기와 가루 등과 같은 석회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포졸란 물질 사용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삼물회의 다양한 배합 방법이 기록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재현 실험을 바탕으로 석회 원료, 배합 재료, 배합 비율에 따른 삼물회 제작 기법 분석이 요구되었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석회를 다방면으로 사용하였으나 공급이 적고 기술적인 미숙함으로 지속적인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러 대량 생산됨과 함께 석회 제작 기술이 발달하였다. 16세기와 18세기 회곽묘 삼물회의 제작 기법 분석을 바탕으로 고문헌에 기록된 배합비와 배합 방법들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회곽묘 삼물회는 시기에 따라 석회의 품질이 변화하였고 배합 재료 또한 변화됨에 따라 배합 비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곽묘 삼물회의 배합 비율은 시기에 따라서 변화하였으며, 주례와 가례를 기준으로 정해진 배합 방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회곽묘 삼물회의 제작 기법에 대한 과학적 분석 자료가 지속적으로 구축된다면 회곽묘 편년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시대 방령옷 형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angryeong in the Joseon Dynasty)

  • 김숙아;최규순
    • 복식
    • /
    • 제61권7호
    • /
    • pp.17-34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how Bangryeong(方領) had been changed from ancient times in China to the Joseon dynasty[朝鮮] in Korea by analyzing Bangryeong in literature, relics, paintings, etc. Based on this, we also analyzed the form of Bangryeong itself and clothes with Bangryeong using excavated relics from the Joseon dynasty. First, from early Chinese literature, it was confirmed that meaning of "Bangryeong" was a collar attached straight to a garment so that if the garment is put on with the fronts intercrossed with each other the back neck part of the collar is naturally squared. Second, from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s and forms of Bangryeong were diversified and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roughout different time periods. Different from its original meaning in China, Bangryeong came to mean an intentionally designed square shape. Third, Bangryeong from the Yuan(燕) and Ming(明) Dynasties were found among relics excavated in China. Bangryeong from Yuan was Cheolik[帖裏] worn by men, and Bangryeong from Ming was found in women's dresses. Fourth, Bangryeong relics from the Joseon dynasty examines its form in detail. Bangryeong was found in various forms of clothes, and this was consistent with findings from literature review.

<공무도하가>의 현대적 변용 양상 (Modern transformation phrase of )

  • 하경숙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93-123
    • /
    • 2011
  • <공무도하가>는 다른 고대가요와 마찬가지로 오랜 시간 동안 구비전승(口碑傳承)되면서 유동과 적층을 걸쳐서 이루어진 작품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시가작품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시가문학의 전통성을 확립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공무도하가>는 그 문학적 소재가 보편적 정서를 지니고 있어서 많은 공감을 얻어서 현재에도 다양한 장르로 변형, 재창조되고 있다. 고대가요 <공무도하가>는 현대시로 재창조되면서 현실의 혼란한 시대상황을 구체적으로 형상화시켜 보여주면서 기존의 신화적인 해석의 요소를 배제하고 인물의 인간적인 모습과 현재의 상황을 대변해 준다. 또한 현대소설로 재창조 된 <공무도하가>는 원전의 기본모티프에 충실하기 보다는 서사구조를 확대하고 다양한 인물들의 군상을 보여주면서 복잡다양한 인간사를 토로하면서 그것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한다. 현대 대중가요 <공무도하가>에서는 원전의 정서를 강하게 전달하면서, 새로운 분위기를 접목시켜 세대를 아우르는 감동을 주고 있다. 개별의 작품이 가진 특질을 통해서 현대작가들이 바라보고 있는 <공무도하가>에 대한 안목을 살피고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켜 그 의미를 점검하고 원전의 가치를 인식하고자 하였다. <공무도하가>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작품들을 통해 인간이 지니는 보편적인 정서는 시 공을 초월하여 대중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하게 했고, 우리 민족정서를 재확인하는 참신한 발견이면서 가능성의 계기가 되었다. 다양한 장르간의 변용을 통하여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현실의 상황을 제시하면서, 작가가 지향하는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고대가요 <공무도하가>는 그 유연성으로 인하여 세대를 초월해서 앞으로도 생명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5 초등 수학 교과서 및 지도서의 수학사 기술내용 분석 (An Analysis of Descriptions about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the 2015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 Guides for Elementary School Level)

  • 박민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71-19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5 초등 수학 교과서 및 지도서에서 보완이 필요한 수학사 기술내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보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초등 수학 교과서 및 지도서 24종에 대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초등 수학 교과서 및 지도서에서 보완이 필요한 주제는 총 10가지 주제로 '고대 이집트인의 산술', '고대 이집트 수학 교과서 A'h-mosè 파피루스', '메소포타미아 고아카디안 사각띠', '메소포타미아 고바빌로니아인과 각도', '고대 이집트인과 고바빌로니아인의 원주율', '고대 이집트인과 고바빌로니아인의 $\sqrt{2}$', '이슬람인과 소수', '황금비의 뿌리에 대한 두 가지 주장', 'Archimedes와 실진법', '평면 디자인'이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보완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기축시대 역사관점을 극복하고 고대 이집트, 고바빌로니아,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 중앙아시아(이슬람 1000년), 유럽으로의 수학문화 전이를 인정하고 수용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XML 기반의 고문헌 검색 시스템 설계 (The Design for Ancient Literature Retrival System Using XML)

  • 이근우;이근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90-394
    • /
    • 2001
  • 논문에서는 최근 인터넷 상에서 표준 공통 포맷으로 대두되는 XML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역사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원격 교육 시스템의 참조문헌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컴퓨터 상에서 고문헌 자료 주로 한자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원전사료의 한자를 일반적인 환경에서 자유롭게 구현하는 일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종래의 연구자들은 텍스트 별로 수작업으로 작성한 색인류를 이용하여 연구를 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색인 이용방법에는 문제가 있다. 색인어로 삼고자 하는 단어를 텍스트에서 추출하는 과정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전산화된 데이터는 이른바 '발견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한국전통별서정원 소쇄원의 음풍경에 관한 조사연구 (Soundscape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Soswaewon)

  • 신용규;남기봉;국찬
    • KIEAE Journal
    • /
    • 제4권1호
    • /
    • pp.21-26
    • /
    • 2004
  • Soswaewon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raditional garden in Korea which has the highest reach of soundscape with the sounds and landscape component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d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soundscape in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soundscape research. Literature survey of ancient poetry, acoustical survey on the sound itself and questionnaire survey to the visitors were carried out to analys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mages perceived by the visi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ndscape components in Sosw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