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risk by fire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1초

동해안 산불피해 사례기반 격자체계를 활용한 산불위험분석 (Forest Fire Risk Analysis Using a Grid System Based on Cases of Wildfire Damag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 김구윤;이미란;곽창재;한지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2호
    • /
    • pp.785-798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산불의 크기도 대형화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불은 매년 100 ha 이상 산불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강원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90%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지역은 건조한 대기, 양간지풍 등 산불에 취약한 기후와 침엽수림의 산림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산불 발생 위험성 예측, 산불 위험도 산정 등 다양한 산불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기상 및 산림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산림지역에 대한 위험 분석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추진되고 있으나,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 인접 지역에 대한 관리는 인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중요한 일이다. 산림 인접한 주택 및 시설물들은 산불에 의해 큰 위협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산림 인근 지역에서 영향을 받는 인자들을 활용하여 격자기반 산불 관련 재난위험지도를 작성하고 강릉 산불 사례 기반으로 산림 지역과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등급 차이를 비교하였다.

염수농도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의 방전특성과 화재 위험성 분석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Fire Risk of Mobile Phone Batteri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alt Water)

  • 우진수;소수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66-71
    • /
    • 2020
  • 리튬-이온 배터리를 폐기하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염수를 이용한 방전 방법은 자칫 화재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의 염수 방전 과정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중 휴대폰 배터리를 대상으로 하여 염수에 배터리를 담가 방전 시킬 때 방전특성과 발열에 의한 화재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염수농도와 배터리의 개수를 변화시킨 여러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조건에서 방전전압 및 배터리의 발열온도를 측정하여 방전 과정 및 발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예측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염수농도가 높을수록 휴대폰 배터리의 방전이 더 잘 되었으며, 발열온도 또한 높게 측정 되었고, 염수에 침수된 배터리 1개의 발열온도보다 중첩된 배터리의 발열온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배터리의 가장 높은 발열이 발생하는 부분은 (+),(-)전극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제조업 화재사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복합 유해·위험요인 확인 (Identifying Hazard of Fire Accidents in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Data Analytics)

  • 김경민;서용윤;이종빈;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3-31
    • /
    • 2023
  • Revis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led to enacting and revising related laws and systems, such as placing fire observers in hot workplaces. However, the operating standards in such cases are still ambiguous. Although fire accidents occur through multiple and multi-step factors, the hazards of fire accidents have been identified in this study as individual rather than interrelated factors. The aim has been to identify multiple factors of accidents, outlining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that recently occurred in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major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Then representative accident types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 main keywords through the co-word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hazard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representative fire accidents were identified as six types, and their major hazards were then addressed for improving safety measures using the identification of hazards in the "Risk Assessment" tool. It is found that various safety measures, such as professional fire observers' training and clear placement standards, are needed.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revising practical laws and guidelines for fire accident prevention, system supplementation, safety policy establishment, and future related research.

사례분석을 통한 건설현장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Cases-based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Active Response on Construction Sites)

  • 신재권;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9-86
    • /
    • 2021
  • 건설현장에서는 화재사고 발생 시 대형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 건설현장에서는 가연성 물질을 다수 사용하고 있으며, 화재사고 발화원이 되는 장비를 흔히 사용하고 있어 화재사고 위험이 항상 상존한다.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제도로 명시하고 있으나, 건설현장 작업 특성에 적합한 예방제도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기존 연구에서는 법령개선 및 화재사고 시 진압 문제 관련 내용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화재사고 사례분석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체크리스트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해보기 위해서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2건의 화재사고 사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실제 화재 원인을 포함하여 추가적으로 화재원인이 될 수 있는 원인들을 규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를 건설현장에서 활용한다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화재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화재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재래시장 상가에서 과전류 및 직렬아크의 전류 신호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urrent Signals for Overcurrent and Series Arc in Traditional Market Shops)

  • 김두현;황동규;김성철;김상렬;이종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2-48
    • /
    • 2012
  • This paper is aimed to analysis of electrical fire risk by overcurrent and series arc signals in traditional market shops Firstly, the field stat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shops at the traditional market (30 shops). At each shop in the traditional market, load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thermal characteristics in Panel were analyzed. Thermal characteristics in Panel is an indicator that can determine the impact of overcurrent. Results of the field state investigation found out four shops which showed abnormal thermal characteristics in Panel. Electrical load characteristics of these 4 shops were simulated by experimental setup consists of generator, motor and heater. In order to verify the electrical fire risk by electrical loads of 4 shops, arc and overcurr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waveshapes of arc and overcurrent are investigated in both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to find sig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prevention of electrical fires occurred at the shops in the traditional market.

위험도 및 성능기반 분석방법에 의한 원전 화재방호규정 적용 방안 (Application for Fire Protection Regulation based on Risk-Informed and Performance-Based Analysis)

  • 지문학;이병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5-70
    • /
    • 2006
  •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방호규정은 발전소 건설 초기단계에서 인허가 요건에서 제시하는 설계기준을 따른다. 이러한 규정은 발전소 정상상태를 기준한 것이며 발전소 과도상태, 배열이 변경될 수 있는 계획예방정비기간 또는 발전소 해체기간의 화재방호 적용기준으로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미국에서 개발되고 있는 화재방호요건은 발전소 전체 수명기간에 걸쳐 성능기반 요건과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발전소 상태 변경에 따른 정성적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적용기준이라기 보다 개념적 적용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성능기반 화재위험 분석기법은 원전의 화재방호구역을 하나의 분석공간으로 설정한 다음 열 및 연기의 유동을 해석하며, 실내의 안전성 관련 기기 및 케이블에 대한 열적 영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정량적 분석기술을 국내 원전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원전 화재방호규정의 적용방법 변경 방안과 발전소 상태변경에 대한 위험도 평가 항목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철도터널에서 차량화재시 정량적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railway Tunnel fire)

  • 유지오;남창호;조형제;김종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07-319
    • /
    • 2010
  • 대구지하철 화재사고에서와 같이 철도터널 내 화재는 제연과 배연의 어려움으로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철도터널에서는 화재 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통하여 방재 시설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터널내 화재시 정량적 위험도평가를 위해서 필요한 화재발생 표준시나리오, 화재 및 대피해석모델, 사망자 추정모델, 사회적 위험도 평가기준 등을 정립하여 철도터널에 대한 정량적 안전성 평가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각각의 철도터널 화재사고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각종 모델을 정립하여 호남고속철도 방재시설 설계에 반영하였다.

PRA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RISK-INFORMED REGULATION AT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 Siu, Nathan;Collins, Dorothy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5호
    • /
    • pp.349-364
    • /
    • 2008
  • Over the years,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 research activities conducted at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have played an essential role in support of the agency's move towards risk-informed regulation. These research activities have provided the technical basis for NRC's regulatory activities in key areas; provided PRA methods, tools, and data enabling the agency to meet future challenges; supported the implementation of NRC's 1995 PRA Policy Statement by assessing key sources of risk; and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necessary technical and human resources supporting NRC's risk-informed activities. PRA research aimed at improving the NRC's understanding of risk can positively affect the agency's regulatory activities, as evidenced by three case studies involving research on fire PRA,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and pressurized thermal shock (PTS) PRA. These case studies also show that such research can tak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that the incorporation of research results into regulatory practice can take even longer. The need for sustained effort and appropriate lead time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development of a PRA research program aimed at helping the agency address key sources of risk for current and potential future facilities.

국내 전출력 원전 적용 화재 인간신뢰도분석 절차 개발 (Development of a Fire Human Reliability Analysis Procedure for Full Power Operation of the Korean Nuclear Power Plants)

  • 최선영;강대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7-9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fire HRA (Human Reliability Analysis) procedure for full power operation of domestic NPPs (Nuclear Power Plants). For the development of fire HRA procedure,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f NUREG-1921 in an effort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ASME/ANS PRA Standard were reviewed. The K-HRA method, a standard method for HRA of a domestic level 1 PS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and fire related procedures in domestic NPPs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view, a procedure for the fire HRA required for a domestic fire PSA based on the K-HRA method was developed. To this end, HRA issues such as new operator actions required in the event of a fire and complexity of fire situations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four kinds of HFE (Human Failure Event) developed for a fire HRA in this research, a qualitative analysis such as feasibility evaluation was suggested. And also a quantitative analysis process which consists of screening analysis and detailed analysis was propos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 screening analysis by NUREG-1921 was used. In this research, the screening criteria for the screening analysis was modified to reduce vague description and to reflect recent experimental results. For a detailed analysis, the K-HRA method and scoping analysis by NUREG-1921 were adopted. To apply K-HRA to fire HRA for quantification, efforts to modify PSFs (Performance Shaping Factors) of K-HRA to reflect fire situation and effects were made. For example, an absence of STA (Shift Technical Advisor) to command a fire brigade at a fire area is considered and the absence time should be reflected for a HEP (Human Error Probability) quantification. Based on the fire HRA procedure developed in this paper, a case study for HEP quantification such as a screening analysis and detailed analysis with the modified K-HRA was performed. It is expected that the HRA procedure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be utilized for fire PSA for domestic NPPs as it is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an HRA process considering fire effects.

LPG 벌크로리 충전중 화재사고에 따른 사고피해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t of damage from fire accident Caused by Unloading of LPG Bulk Lorry)

  • 이명호;이수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
    • /
    • 2015
  • 본 연구는 벌크로리 이 충전중 가스누출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주변의 식당 등 2차적인 피해를 준 가스사고에 대해 위험성평가를 DNV사의 PHAST-RISK v6.7 program을 활용하여 제트화재시 영향면적, 복사열 농도 및 피해영향거리 등 가스 누출 확산 피해범위에 대해 도출하여 충전중 가스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