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baena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2초

Penicillium oxalicum(HCLF-34)으로부터 남조세균 (Anabaena cylindrica) 분해효소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Lytic Enzyme of Anabaena cylindrica by Penicillium oxalicum (HCLF-34))

  • 현성희;이호용;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19
    • /
    • 2000
  • Penicillium oxalicum(HCLF-34)의 세포외 분비효소로부터 ultrafilration, gel filtration chromatograph와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남조세균(Anabaena cylindrica) 분해효소를 분리하였다. 이 효소의 분자량은 약 22 kDa이며, renaturation SDS-PAGE에서 monomer로서 남조세균 분해 활성을 갖는다. 아미노산 서열은 N-말단부터$NH_(2)$-Glu-Ser-Tyr-Ser-Ser-Asn-Ala-Ala-Gly-Ala-Val-Leu-Ile---, 13개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아미노산의 homology를 조사한 결과 aspergillopepsin II precursor(acid protease A)와 13개의 아미노산 중 11개(84%)의 유사도를 나타내었고, acid proteinase EapC precursor과 13개 중 10개(81%)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 PDF

光波長에 따른 Anabaena variabilis 의 Phycobiliprotein 含量 및 FNR 活性度 變化 (Changes of PBP Quantity and FNR Activity by Light Wavelengths in Anabaena variabilis)

  • Kim, Jung-Suk;Chang, Nam-K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87-99
    • /
    • 1991
  • Changes of phycobiliproteins(PBP) quantity and ferredoxin-NADP reductase(FNR)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light illuminated cyanobacteria, Anabaena variabilis. PBP components were increased under blue light illumination, whereas decreased under red light illumination. PBP contents were twofolds in blue light than in red light. In view of the PBP composition, allophycocyanin(APC) in red light was higher 5.5% and phycoerythrocyanin(PEC) in blue light was higher 2.2% than in white light-illuminated PBP. It was suggested that PBP changes in bule light be the results of regulation of photosysthetic efficiency and protection of photosystem, whereas PBP changes in red light be effected by adaptation of adequate harvesting of light energy in photosystem. Changes of FNR activity were highest in red light, and sequenced lower to blue light and green light. It means that light-dependent production rate of NADP is the highest in red light. The difference of values was larger than that of values in comparison of red and blue light. It was suggested that increasing of FNR activity be due not to the function of isozyme, but to the synthesis of enzymes. Because of NAD/NADP regulation-effect to metabolism, it was considered that FNR activity might influence the metabolism indirectly and explain the probability of regulation in pathways of key enzyme activation. FNR activity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intensity of light. Optimum temperature and pH were about 25℃ and 7.5, respectively.

  • PDF

팔당호에서 분리한 남조 Anabaena circinalis의 지오스민 생산 잠재성 (Geosmin Production Potential of a Cyanobacterium, Anabaena circinalis Isolated from Lake Paldang, Korea)

  • 박혜진;박명환;심연보;임종권;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50권4호
    • /
    • pp.363-373
    • /
    • 2017
  • 본 연구는 온도, 광도, 인 등 서로 다른 환경 조건 하에서 Anabaena circinalis의 지오스민 생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남조류는 팔당호에서 분리되었다. 남조류 A. circinalis의 성장률과 지오스민 생산은 온도(10, 15, 20, $25^{\circ}C$), 광도(60, 120, $240{\mu}mol\;photons\;m^{-2}\;s^{-1}$), 인 농도(0.01, 0.05, 0.25, 0.50, $1.00mg\;L^{-1}$) 등 여러 요인들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최고 성장률과 Chl-a 농도는 온도 $25^{\circ}C$, 광도 $60{\mu}mol\;photons\;m^{-2}\;s^{-1}$ 및 인 농도 $1.00mgP\;L^{-1}$에서 각각 나타났다. 총 지오스민 생산량은 각 환경요인의 최적 성장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오스민 생산 잠재력(Chl-a 농도에 대한 지오스민 생산 비율)은 늦가을 및 초겨울과 같은 저온 기간을 포함한 불리한 성장조건에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A. circinalis의 지오스민 생산이 엽록소 합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세포 성장 조건에 따른 다양한 변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북한강 수계에서 이취미를 유발하는 남조류(Anabaena spiroides)의 증식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Blue-green Algae (Anabaena spiroides) Causing Tastes and Odors in the North-Han River, Korea)

  • 유경아;변명섭;윤석제;황순진;류덕희
    • 생태와환경
    • /
    • 제46권1호
    • /
    • pp.135-144
    • /
    • 2013
  • 본 연구는 청정수역으로 알려져 있던 북한강 수계에서 저수온기에 우점한 남조류 Anabaena spiroides 현존량과 이취미 물질인 지오스민 (geosmin)에 대해 조사하고 환경인자와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A. spiroides의 증식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1월 말에 A. spiroides가 과다증식하였는데 출현지역은 의암호 내의 공지천 유입부 부터 하류의 팔당호까지 그 범위가 넓고 하류로 확산되는 특성을 보였다. 저수온기에 수온 상승과 체류시간 증가 등의 물리학적 수환경 변화가 남조류 A. spiroides의 과다증식에 영향을 미쳤다. A. spiroides 현존량은 팔당호에서 $11,325cells\;mL^{-1}$로 최대증식을 보였으며, 수온이 $4^{\circ}C$ 이하로 내려가면서 A. spiroides 현존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환경 요인 중에서 수온 하강이 A. spiroides 현존량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자였다. 남조류의 대사물질로 이취미의 원인물질인 Geosmin은 팔당호에서 최대 $1,640ng\;L^{-1}$ 농도를 나타냈다. 북한강 수계에서 Geosmin 농도는 A. spiroides와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A. spiroides에 의해 이취미가 유발되었음을 시사하였다.

Anabaena variabilis ATCC 29413 의 생장과 질소고정활성의 조절요인 (Factors Regulating the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Growth of Anabaena variabilis ATCC 29413)

  • 송승달;한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91-396
    • /
    • 1992
  • 광자가영양이며 질소고정는을 갖는 사상체의 남조 Anabaena variabilis ATCC 29413 Allen & Arnon (1/8) 의 무질소 최소배지에서 배양하여, 이형세포를 유도하고 생장과 질소고정활성의 변화와 각종 조절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질소결핍의 배지에서 생장과 질소고정활성의 증가율은 비례하였고, 생장에 따한 배지내 질산 ($NO^{3}$-N) 의 축적을 보였으며, 배양 6일 후에도 생장은 지속되었으나, 질소고정은 최대활성을 보인후 급격한 감소를 보여 질산의 저해농도와 일치하였다. 중요 환경요인의 영향은 혐기적 조건, 10,000 lux pH 8 및 $30^{\circ}C$ 에서 최적의 생장과 활성을 보였고, 질소화합물은 0.1 mM 이상의 저농도에서 현저히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탄산은 5 mM 에서 활성을 촉진하였으나 보다 높은 농도에서 저해를 보였다. 내염성을 NaCl 20mM 이하이었고 중금속이온은 $Hg^{2+}$>$Cd^{2+}$> $Co^{2+}$>$Zn^{2+}$>$Pb^{2+}$의 순으로 0.3~10 ppm 의 범위에서 활성을 저해하였다. 탄수화물은 0.5-1.0% 에서 생장과 활성을 촉진하였고, 설탕>과당>포도당의 순이었다.

  • PDF

Anabaena cylindrica 분해세균 AK-07의 동정과 분해 관련 효소활성 조사 (Identification of Alga-lytic Bacterium AK-07 and Its Enzyme Activities Associated with Degradability of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 김정동;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108-116
    • /
    • 2003
  •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는 석촌호수와 팔당호의 표층수와 저니로부터 178개의 균주를 분리한 후, Anabaena cylindrica lawn 상에서 plaque를 형성하는 9개의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남조류 생장 억제 능력이 가장 우수한 AK-07를 선발하였다. AK-07의 특성과 16S rDNA의 염기 서열 분석을 기초로 하여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형태적, 생리적 생화학적 특징들은 Acinetobacter속의 특성들과 유사하였으며, 165 rDNA의 염기 서열 분석한 결과는 Acinetobacter johnsonii와 99.5%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Acinetobacter johnsonii AK-07로 명명하였다. 남조류 분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AK-07를 A. cylindrica와 혼합 배양시 접종 2일 후에 남조류의 분해가 관찰되었고, 접종 10일 후에는 남조류가 완전히 사멸하였으며, AK-07의 세포 수는 $8\;{\times}\;10^8\;cfu\;ml^{-1}$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양 상등액을 A. cylindrica와 혼합 배양 하였을 때에는 남조류의 분해는 관찰 되지 않았다. 따라서 AK-07는 남조류를 직접 접촉하여 분해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AK-07에 세포에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Pretense와 glycanases중에서 ${\beta}$-Xylosidase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Alginase, Laminarinase, Lipase, ${\beta}$-Galactosidase 및 ${\beta}$-Glucosidase의 활성도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A. johnsonii AK-07은 A. cylindrica의 polysaccharides나 peptidoglycans를 monosaccharides이나 저분자 유기물로 분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Isolation of a Bacterium That Inhibits the Growth of Anabaena cylindrica

  • Kim, Chul-Ho;Leem, Mi-Hyea;Choi, Yong-Kee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84-289
    • /
    • 1997
  • A Gram (-), rod-shaped bacterium $2.3{\sim}2.8{\times}0.45{\mu}m$ in size which exhibited growth-inhibiting effects against a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was isolated from Daechung Dam Reservoir. This isolate was identified as Moraxella sp. and designated Moracella sp. CK-1. Hollow zones formed around bacterial colonies on the cyanobacterial lawn. In a mixed-culture of A. cylindrica and the isolate, each microorganism grew inverse-proportionally, and the cyanobacterial vegetative cell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24 hours. On treatment with Moraxella sp. CK-1, cell walls of A. cylindrica disappeared, but sheathes remained in a more electron dense form. The unit membrane such as thylakoidal membrane was stable to bacterial lysing activity. This bacterium showed a broad action spectrum against cyanobacteria. The growth-inhibiting activity of Moracella sp. CK-1 against A. cylindrica is believed to be performed through the excretion of active substa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