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loid

검색결과 613건 처리시간 0.033초

$\beta$-Amyloid로 유도된 신경독성에 대한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가감방(加感方)의 항(抗)치매효과 (Protection effect of New-Yeolda-Hanso tang against $\beta$-Amyloid Induced Cytotoxicity in NGF-differentiated PC12 Cells)

  • 배나영;양현옥;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8-153
    • /
    • 2009
  • 1. Objectives: Yeolda-Hanso tang (YH) has long been used as traditional herbal formula in Korea as various diseases. Now we modified Yeolda-Hanso tang (YH)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treatment and named New-Yeolda-Hanso tang (NYH). We investigated neuroprotective effects of NYH on NGF-differentiated PC12 cells cytotoxicity induced by $\beta$-Amyloid peptide (A$\beta$25-35) and evaluated the ability of NYH to prevent and trea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via autophagy enhancement. 2. Methods and Results: 1) Protective effect of NYH on PC12 cells cytotoxity induced by A$\beta$25-35. PC12 cells survival was measured by MT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20{\mu}M$ $\beta$-Amyloid peptide (A$\beta$25-35) induced cytotoxicity on NGF-differentiated PC12 cells. NYH attenuated the cytotoxic effects of A$\beta$25-35 in a dose-dependent manner. 2) Pharmacological induction of Autophagy by NYH in PC12 cells Autophagy induction and activation was measured by immunoblot assay. Marker of autophagy, LC3 II expression and the ratio of LC3-II/I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protein treated with YH, and significantly augmented in the protein treated with NYH. NYH-induced increase of LC3-II protein level was inhibited by 3MA. 3) Induction of Autophagy by NYH on A$\beta$25-35-induced injury in PC12 cells In MTT assay, $100{\mu}g/ml$ re-treated NYH attenuated $20{\mu}M$ A$\beta$25-35-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Protection effect of NYH was blocked by autophagy inhibitor 3MA. In immunoblot assay, $1200{\mu}g/ml$ pre-treated NYH activated autophagy in $20{\mu}M$ A$\beta$25-35-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The observed effect was partially blocked by 3MA. 3. Conclusions: 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NYH possesses neuroprotective potential partially mediated by autophagy enhancement and NYH may be considered to be a promising new herbal formula to prevent and trea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AD).

  • PDF

엄나무 발효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 (Antioxidant and Anti-amyloid Activitie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radical 소거 측정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엄나무추출물(KP),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추출물(HE), 엄나무 발효물(KP-HE)에서 모두 라디칼 소거활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KP-HE가 KP와 HE에 비해서 더 높은 소거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KP-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과 관련 있는 $A{\beta}_{1-42}$의 응집에 KP, HE, KP-HE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KP와 HE는 $A{\beta}_{1-42}$의 응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KP-HE는 $A{\beta}_{1-42}$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A{\beta}_{1-42}$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에 엄나무 발효물을 $300{\mu}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20.3% 높게 증가되었다. 또한 엄나무 발효물을 $5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ROS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들을 통해 엄나무 발효물은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엄나무 발효물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acetylcholinesterase 억제활성 및 세포독성 보호효과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Cytotoxicity of Perilla Seed Methanol Extract)

  • 최원희;엄민영;안지윤;김성란;강명화;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026-1031
    • /
    • 2004
  • 들깨 메탄올 추출물이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 및 PC 12 cell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AChE에 대한 억제환성은 들깨 메탄을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추출물의 분획물 중에서는 n-butanol층이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L-glutamate 또는 ${\beta}-amyloid$ protein $(A{\beta})$으로 유도된 PC 12 cell에 대한 세포사멸 억제효과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rat brain에 $FeSO_{4^-}H_2O_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추출물의 TBARS 생성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들깨 메탄을 추출물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n-butanol층에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들깨 메탄을 추출물은 AChE 활성을 억제하고 glutamate 또는 $A{\beta}$에 의하여 유도된 PC12 cell의 세포사멸을 억제하며 이러한 효과는 들깨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력에 기인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시금치 추출물에 의한 뇌세포 사멸 보호 효과 (Spinacia oleracea Extract Protects against Chemical-Induced Neuronal Cell Death)

  • 박자영;허진철;우상욱;신흥묵;권택규;이진만;정신교;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25-430
    • /
    • 2007
  • Amyloid ${\beta}-peptide$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을 보호하는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250여 식물 재료 및 식품성분으로부터 스크리닝한 결과 가장 효과가 있는 시금치 추출물을 이용하여 뇌신경세포사멸(neuronal cell death)을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시금치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acetylcholinesterase 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는 시금치 추출물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과산화수소와 amyloid ${\beta}-peptide$에 의해 유도된 SH-SY5Y 세포주의 세포사멸에 대한 시금치추출액의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사멸에 대하여 시금치 추출물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amyloid ${\beta}-peptide$의 경우는 세포사멸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주의 amyloid beta 유도 알츠하이머질환 동물 모델에서 인지능력 개선 효과 (Cognitive improvement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in amyloid beta-induced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

  • 신승미;김지현;조은주;김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99-307
    • /
    • 2021
  •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으로 인한 신경독성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야기하여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AD)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활성분획물인 butanol (BuOH) 분획물의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인지능 개선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T-미로 실험 및 물체인지실험을 통해서 여주 BuOH 분획물 100 및 200 mg/kg/day 농도 투여군은 AD를 유도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새로운 경로와 물체를 탐색하는 비율이 감소되어 공간인지 및 물체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중미로실험을 통해 학습·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여주 BuOH 분획물 투여군은 훈련을 반복할수록 숨겨진 도피대를 찾아가는 시간이 감소함을 통해 학습·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여주 BuOH 분획물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 산화 함량 및 nitric oxide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여주 BuOH 분획물을 처리한 군은 Aβ25-35를 주입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산화 함량 및 NO 생성량이 감소되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주 BuOH 분획물이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을 통해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여주는 AD 예방 및 개선용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