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icillin-resistance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1초

생물계면활성제 생성 세균 Pseudomonas sp. HN37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HN37)

  • 정다희;장동호;김영은;정미랑;한규웅;김형배;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39
    • /
    • 2014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원유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총 144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이중 유화능과 성장률 그리고 표면장력활성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 HN37이라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Pseudomonas sp. HN37는 여러 종류의 지방족 탄화수소와 3,5-dinitrosalicylic acid와 2,4-dichlorophooxyacetic acid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그리고 이 균주는 암피실린과 클로람페니콜 항생제와 Ba, Cr, Li, Mn 중금속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었고, pH 6.0-9.0과 $30^{\circ}C$에서 성장능과 표면장력활성, 그리고 유화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Pseudomonas sp. HN37는 1% (v/v) 원유 농도와 1%(w/v) NaCl에서 최대 유화능과 표면장력활성을 나타내었고, LB배지에서 배양 15시간 후에 표면장력활성이 62 dyne/cm에서 27 dyne/cm까지 감소하였다.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Haedokgeumhwa-san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하일;이수경;권영미;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
    • /
    • 2015
  • Objective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human pathogen and a major cause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New antibacterial agents that have not been compromised by bacterial resistance are needed to treat MRSA-related infe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ethanol extract of Haedokgeumhwa-san (HGH) which prescription is composed of korean medicine against MRSA. Method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HGH extract was evaluated against MRSA strains by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broth microdilution metho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checkerboard dilution test, and time-kill test; its mechanism of action was investigated by bacteriolysis, detergent or ATPase inhibitors. The checkerboard dilution test was used to examined synergistic effect of ampicillin, oxacillin, ciprofloxacin, vancomycin, gentamicin and norfloxacin in combination with HGH ethanol extract. A time-kill assay was performed a survival curve which was obtained by plotting viable colony counts depending on time on bacterial growth. Result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ethanol extract (HGH) ranged from 1,000 to $2,000{\mu}g/mL$ against all the tested bacterial strains, respectively. We are able to confirm that HGH extract has potential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checkerboard dilution test,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of HGH in combination with antibiotics indicated synergy or partial synergism against S. aureus. A time-kill study showed that the growth of the tested bacteria was considerably inhibited after 8 hr of treatment with the combination of HGH with selected antibiotics. For measurement of cell membrane permeability, HGH $250{\sim}1,000{\mu}g/mL$ along with concentration of Triton X-100 (TX) and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Tris) were used. In the other hand, N,N-dicyclohexylcarbodimide (DCCD) and Sodium azide ($NaN_3$) was used as an inhibitor of ATPase. TX, Tris, DCCD and $NaN_3$ cooperation against S. aureus showed synergistic action. Accordingly, antimicrobial activity of HGH was affected by cell membrane and inhibitor of ATPas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edokgeumhwa-san extract has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at HGH extract offers a potential as a natural antibiotic against MRSA.

양돈장(養豚場)에 있어서 Salmonella 감염증(感染症)의 역학적(疫學的)인 연구(硏究) : II. Salmonella 속균(屬菌)의 약제내성(藥劑耐性) 및 전달성(傳達性) R plasmid (A Epizootiological Study of Salmonella Infection on Piggery : II. A Study on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s in Salmonella)

  • 최원필;이희석;여상건;이헌준;정석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9-235
    • /
    • 1986
  • 1984년 5월부터 1985년 5월까지 대구(大邱), 경북(慶北), 경남(慶南) 및 충남지역(忠南地域) 7개(個) 양돈장(養豚場)의 자돈(仔豚) 및 성돈(成豚)의 분변(糞便) 및 양돈장(養豚場)의 흙, 하수(下水), 사료(飼料), 추비(推肥), 쥐 등 7,440예(例)와 대구시(大邱市) 도축장(屠畜場)의 도축돈(屠畜豚) 장간막임파절(腸間膜淋巴節) 및 직장내용물(直腸內容物) 555예(例)로부터 분리(分離)한 319주(株)의 Salmonelia속균(屬菌)을 대상으로 항균제(抗菌劑)에 대한 내성(耐性) 및 전달성(傳達性) R plasmid의 분포상황(分布狀況)을 조사(詞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시균(供試菌) 319주(株) 중(中) 250주(株)(78.4%)가 ampicillin(An), chloramphenicol(Cm), gentamicin(Gm), kanamycin(Km), nalidixic acid(Na), rifampicin(Rf), streptomycin(Sm), sulfadimethoxine(Su), 또는 tetracycline(Tc)에 내성(耐性)을 나타내었으며, 약제별(藥劑別)로는 Su(74.9%), Sm(53.0%) 및 Tc(28.5%)에 높은 내성(耐性)이 인정(認定)되었다. 2. 내성균(耐性菌) 250주(株)의 전달성(傳達性) R plasmid 보유율(保有率)은 51.2%(128주(株))였으며, 약제별(藥劑別)로는 Am경우 100%, Tc 92. 3% 및 Cm 75.0% 순으로 보유율(保有率)이 높았다. 3. 내성균(耐性菌) 250주(株)의 내성양상(耐性樣相)은 SmSu(91주(株)), Su(59주(株)) 및 TcSmSu(50주(株))내성형(耐性型)이 대부분이었고 R plasmid 전달후(傳達後)의 내성양상(耐性樣相)은 TcSmSu(40주(株)) 및 TcSu(28주(株)) 내성형(耐性型)이 많았다. 4. 양돈장별(養豚場別) 내성균(耐性菌) 출현빈도(出現頻度)는 48.0~93.6%로 다양(多樣)하였고, 전달성(傳達性) R plasmid 보유율(保有率)은 0~77.8%로 내성균(耐性菌) 출현빈도(出現頻度)와 일치(一致)되지 않았다. 5. 공시균(供試菌) 319주(株) 중(中) 각각(各各) 2주(株)는 Rf 및 Gm에 대해 내성(耐性)을 나타내었고, 내성균(耐性菌) 250주(株) 중(中) 73.2%(183주(株))가 다제내성(多劑耐性)이었으므로 Salmonella의 다제내성화(多劑耐性化) 경향(傾向)이 있었다. 6. 내성균(耐性菌) 250주(株) 중(中) R plasmid 전달후(傳達後) 5주(株)는 TcAmCmSmSu내성형(耐性型), 1주(株)는 TcAmKmSmSu내성형(耐性型)임이 확인되었다.

  • PDF

소아 요로감염에서 Escherichia coli의 빈도와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연구 (Incidence of Escherichia coli and Its Susceptibility to Antimicrobials in Childhood Urinary Tract Infection)

  • 지혜미;곽재혁;이준호;박혜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18-26
    • /
    • 2006
  • 목적 : 요로감염은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적절히 하지 않으면 비가역적 신손상, 패혈증 등을 유발하므로 원인 균주를 알기 전에 경험적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경험적 항생제의 적절한 선택을 위하여 원인 균주의 분포와 임상특징을 알아보고, 원인 균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E. coli의 항생제 감수성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발열을 주소로 분당차병원 응급실과 소아과 외래를 방문하여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환아 103명을 대상으로 요 배양검사 결과, 성별, 연령, DMSA 신스캔상 결손 유무, 방광 요관 역류 유무, 6개월이내 재발 여부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원인 균주 중 가장 흔한 균인 E. coli에 대해 항생제 감수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03명의 환아 중 92명(89.3%)이 E.coil에 의한 요로감염이었으며 ESBL 생성 E.coli는 3명(3.3%)에서 동정되었다. E. coli의 항생제 감수성 조사 결과 AMP, AMS, SXT는 각각 27.2%, 34.8%, 65.2%로 낮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1세대 cephalosporin인 cefazoline이 91.3%, 2세대인 cefoxitin이 100%, 3세대인 ceftriaxone 97.8%를 보여 대부분 매우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MP와 SXT의 경우 연령이 1세 이상일 경우 1세 미만인 경우에 비해 내성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결론 : 1세 이상의 환아에서는 소아과 외래에서 흔히 사용하는 AMP, SXT에 대한 내성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를 초기 경험적 치료에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나, ESBL 생성 E. coli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발생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