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etamin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3초

Quantitative Analysis of amphetamines in hair by EI-GC-MS using SIM mode with uncertainty estimation

  • Yang, Won-Kyung;Han, Eun-Young;Lee, Jae-Sin;Park, Yong-Hoon;Kim, Eun-Mi;Lim, Mi-Ae;Chung, Hee-S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69.2-169.2
    • /
    • 2003
  • A method using EI-GC-MS is described for the determination of amphetamines in hair. The method is applied to simultaneous quantify amphetamines (methamphetamine, amphetamine, MDMA and MDA). Drugs were extracted in 1 % HCl in methanol from hair. After derivertization with TFAA, the resulting drugs were separated on HP-5MS column during a 16 min program and identified by mass spectrometry with the SIM mode(EI-GC-MS). (omitted)

  • PD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albuphine and methamphetamine in drug abuser's urine

  • Park, Mee-Jung;Choi, Wha-Kyung;Choi, Sang-Kil;Son, Haeng-Ja;Lim, Mi-Ae;Chung, Hee-S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75.1-275.1
    • /
    • 2003
  • Because people who take more than two drugs have increases, a simple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amphetamine, methamphetamine and nalbuphine in urine was developed. After alkalinization of the urine samples with 6 N-NaOH, the analytes were extracted using ethyl acetate, derivatized with MSTFA : TSIM : TMCS (= 100 : 2 : 5) prior to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analysis with selected ion monitoring. (omitted)

  • PDF

TLC상 분리 전 직접적 유도체화 반응과 이미지 분석을 통한 아민 화합물의 반정량분석을 위한 선행평가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semi-quantitative analysis by in situ pre-chromatographic derivatization of amines and image analysis in TLC)

  • 김연수;최성운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15
  • TLC (SiO2) 상에서 3가지 유사 암페타민 류 아민 화합물과 3가지 유도체화 시약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아민유도체의 이미지 분석으로부터 암페타민 류 화합물에 대한 신속하고 경제적인 반정량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 실험을 하였다. TLC상 직접적인(in situ, co-spot) 유도체화 반응의 적정화를 시도하였고 그 TLC 결과물들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은 후 2가지의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CP Atlas 2.0 및 ImageJ)에 적용하여 재현성(RSD; %)과 상관성(R2)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반응 조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였고(반응 온도 등) 각 시료별 2가지의 농도(0.5 mg/mL 및 0.01 mg/mL)에서 반응의 재현성은 0.69~5.50% 범위이었으며 반응(2 µL per spot)의 생성물과 아민의 농도에 대한 상관성은 0.1~0.005 mg/mL의 농도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R2> 0.9906). 또한, 두 가지 프로그램 모두 재현성과 직선성에 대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접적인 유도체화 반응과 TLC 이미지에 대한 이들 프로그램을 사용한 분석이 아민 화합물에 대한 반정량적인 분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새앙쥐 강제수영시 부동자세 시간에 대한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 on the Immobility Duration in the Forced-swimming Test Mice)

  • 임병용;김상곤;이원식;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8
    • /
    • 1985
  • 새앙쥐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향주도성 행동의 항진이라는 본능적 충동의 유발이라는 가정 아래 중추 noradrenaline neuron에 있어서 ${\alpha}_1$- 및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과 관련지어 이 실험을 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새앙쥐를 이용한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은 clonidine 및 guanabenz 등과 같은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용량에 의존하여 단축되었다. B-HT 933 및 oxymetazoline은 용량에 의존하지 않으나 단축시켰다. xylazine에의하여는 오히려 증가되었다. 2.${\alpha}_1$-Agonists 인 cirazoline, amidephrine 및 methoxamine은 부동자세 시간에 일관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3. Clonidine과guanabenz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alpha}_2$-antagonists, yohimbine, idazoxan 및 phentolamine 전처치로 봉쇄되었으나 ${\alpha}_1$-antagonists, prazosin 및 corynanth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4, d-Amphetamine 투여시 부동자세 시간은 용량에 비례하여 단축되었고, 이러한 단축효과는 yohimbine에 의하여는 길항되었으나 prazosin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5. ${\alpha}$-methyl-p-tyrosine 이나 reserpine 또는 두 약물을 동시에 전처치 하였을때 clonidine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6. Desipramine 및 imipramine 같은 항우울제를 장기처치 또는 장기간 저기충격 요법을 가한 새앙쥐에서도 clonidine의 효과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앙쥐의 강제수영 실험에서의 부동자세 시간의 변동은 중추내 noradrenergic neuron의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시사되며 이러한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항진되는 escape-directed behavior는 자기보호를 위한 일종의 충동의 유발로 인한 행동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청소년 정신과 영역에서의 새로운 약물치료:새로운 장기작용형 중추신경자극제 (NEW DRUG THERAPY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NEW LONG-ACTING PSYCHOSTIMULANTS)

  • 최성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3-11
    • /
    • 2003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소아 청소년기의 가장 흔한 정신 장애이다. 이 장애의 기본 증상 및 이차 증상으로 인하여 본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학교 생활의 어려움, 학업성취도의 저하, 가족이나 친구관계 등 대인관계의 문제를 보이며, 장애가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으면, 우울증과 같은 이차적인 정신장애로 발전하기도 하며, 물질남용, 행동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등과 같은 장애와도 연관되어 있다. 현재까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로 가장 선호되는 것은 메칠페니데이트나 암페타민 등의 중추신경자 극제이다. 이들 약제의 작용기전은 여전히 불분명한 부분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뇌에서 도파민 등의 카테콜아민 농도를 증가시켜서 시냅스 효율을 높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과 측면에서도 정신약물학 분야에서 본 중추신경자극제에 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치료는 정신질환의 어떤 치료법보다도 효과적이다. 지금까지 중추신경자극제의 최대 단점은 짧은 작용시간으로 인하여 하루에도 여러 차례 복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약제를 복용하는 아동들은 동료로 부터 문제아로 낙인이 찍힐 가능성이 높으며, 낮은 약물 순응도, 사회적 편견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로 인하여 중추신경자극제의 장기 제형 개발은 꾸준히 시도되었고, 최근에는 본 장애의 병태생리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반영한 보다 진보된 형태의 장기 작용형 중추신경자극제가 등장하였다. 본 고찰에서는 이들 제형들의 특징을 소개하였다. 이들 새로운 제형의 중추신경자극제들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아동 뿐만 아니라 장애아의 부모나 학교 교사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phedrine이 뇌내 Biogenic Am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hedrine on the Levels of Biogenic Amines and Their Metabolites in Rat Brain)

  • 이경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64
    • /
    • 1995
  • Sympathomimetic amines, especially ephedrine, are a major ingredient in proprietary medications for symptomatic treatment of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Their frequent uses can lead to occasional instances of abuse and habituation. The clinical symptoms of ephedrine abuse are similar to that of amphetamine psychosis and resemble closely that of schizophrenia. Because both amphetamine psychosis and schizophrenia are thought to be mediated primarily through the action on catecholamines, ephedrine-induced changes of the biogenic amines can be suspected.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the central effects of ephedrine because of the milder central action than peripheral. Therefore,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effects of single or repeated administration of ephedrine on the regional levels of biogenic amines in rat brain and ephedrine-induced CNS stimulation. Th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sim}200\;g$ were used. After single or repeated administrations of ephedrine, blocks of tissue were obtained from frontal cortex, corpus striatum, hippocampus, thalamus, hypothalamus, substantia nigra and cerebellum. The concentration of biogenic amines(norepinephrine, epinephrine, dopamine, 5-hydroxytryptamine(5-HT)) and their metabolites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DOPAC), homovanillic acid(HVA),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were measured by means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chemical detector(HPLC-EC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normal rat, the concentration of norepinephrine was the highest in hypothalamus. Dopamine, DOPAC and HVA were highest in corpus striatum, and 5-HT and 5-HIAA were highest in substantia nigra. Epinephrine was not detectable in any part of the brain tissue. 2) In a single administration of ephedrine, the concentration of DOPAC was decreased in corpus striatum. However, the other biogenic amines and their metabolites were not changed. 3) In repeated administration of ephedrine, the concentration of norepinephrine was decreased in all brain region checked. Dopamine was decreased in corpus striatum and substantia nigra and, increased in hypothalamus, and HVA was decreased in corpus striatum. 5-HT was decreased in all brain region except cerebellum and, 5-HIAA was decreased only in frontal cortex. The ratio of 5-HIAA/5-HT was increased in corpus striatum, thalamus, hypothalamus and substantia nigra. These data indicated that, although a single administration of ephedrine did not change the central neurotransmitters, repeated administration of ephedrine caused the decreases of norepinephrine and 5-HT in the most regions of brain,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the emergence of abnormal behavioral effect after ephedrine abuse.

  • PDF

백서 뇌내 Endorphin의 일주기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urnal Variation of Endorphin in Rat Brain)

  • 정창영;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47
    • /
    • 1984
  • 실험적으로 L:D, 12:12또는 D:D, 12:12에 적응시킨 흰쥐의 간뇌에서 beta-endorphin함량의 일중변동과 이에 대한 수종 중추성 약물의 효과를 검토하고 beta-endorphin함량의 생리 및 약리학적 의의를 추구코저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D, 12:12 cycle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뇌내 beta-endorphin함량은 06 : 00시 에 최고에 달하고 18 : 00시에 최저인 대단히 유의한 일중변동을 일으켰고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은 $46.7{\pm}3.6$ fmole/mg protein 이었다. 2) D:D, 12:12에 적응시친 표본에서 beta-endorphin 함량은 대조군에서와는 달리 14 : 00시에 최고에 이르고 02 : 00시에 최저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 3) 뇌내 beta-endorphin함량 일중별동은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처리로써 변동되었다. 4) 대조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은 22 : 00시에 최고에 달하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의 binding은 02 : 00최고, 그리고 14 : 00시에 최하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다. 5) 대조군과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 함량과 maximum $^3H-morphine$ binding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으로 흰쥐 뇌내 beta-endorphin함량과 수용체는 유의란 일중변동을 일으키고 opiate receptor binding의 일중변동은 beta-·endorphin함량변동에 따른 receptor regulation에 의함을 시사하며 또한 지속적인 암적응을 포함하여 수종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endorphin함량 일중변동을 변동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백서 뇌내 Opiate 수용체의 일주기 변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ircadian Rhythm of Opiate Receptor in Rat Brain)

  • 이무석;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34
    • /
    • 1984
  • 실험적으로 명암주기 또는 암주기에 적응시킨 백서의 간뇌 homogenate에서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 유무를 검토하고, circadian rhythm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수종 중추작용약물의 영향을 보고 저 7 group에서 4시간 간격으로 1일 6회 maximum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 : D, 12 : 12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maximum $^3H-morphine$ binding은 22시에 최고에 달하는 매우 유의한 일중변동을 보였고, 24시간 평균 $^3H-morphine$ binding치는 $0.45{\pm}0.03\;pmole/mg Protein이었다. 2) 지속적인 암적응을 시킨 D : D, 12 :12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의 일중변동은 14시에 최하, 그리고 2시에 최고의 binding치를 보이는 만상성의 일주변동은 보였으며 대조군의 곡선과는 그 shape, Phase, 진폭, 최고 또는 최하 binding시기 및 24시간평균 opiate수용체의 수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3) 지속적인 암적응,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 처리는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켰다. 4) 그러나 전 실험군에서 Kd치는 변동되지 않았다. 이상 실험성적으로 백서뇌내 opiate수용체의 일중변동은 수용체의 질적변동이 아닌 수적인변동에 의하고, 지속적인 암적응이나 circadian rhythm을 변동시키는 중추성 약물들이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통을 포함하여 제종 진통제의 효과가 일중변동을 일으키는 것은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과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 PDF

Relationships of Cocaine and Amphetamine Regulated Transcript with Serotonin in the Brain

  • Park, S. H.;B. S. Kwon;J. R. Chun;J. W. Jahng;Lee, H. T.;K. S. Chung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51
    • /
    • 2001
  • Cocaine and amphetamine-regulated transcript (CART) is a satiety factor that is regulated by leptin. It was reported that the mice intracerebroventricularly injected with CART showed behavioral changes resembled with the typical behavioral alterations found in the mice carrying disorders in the brain serotonergic (5-HT) system.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T and 5-HT. We first examined the mRNA levels of CART after the injections of para-chlorophenylalanine (pCPA, 300 mg/kg i.p., single injection or daily for three consecutive days) in the rat brains by in situ hybridization using the mouse CART cDNA probe cloned in our laboratory. Systemic administrations of pCPA, a potent inhibitor of tryptophan hydroxylase, the rate limiting enzyme of 5-HT biosynthesis, acutely depletes the brain 5-HT transporter (5-HTT) in the dorsal raphe nucleus (DRN), which reuptakes terminal 5-HT. Results indicated that the mRNA level of CAR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rcuate nucleus, paraventricular nucleus, and lateral hypothalamic nucleus by three days of daily injection with pCPA with no noticeable change detected 24 hrs after the single injection. The message levels of 5-HTT in DRN decreased in both single and three days of injections. Secondly, to investigate whether CART affect to 5-HT, mouse genomic CART gene, which is consist of 3 exons and 2 introns and mouse neurofilament light (NF-L) chain promoter were cloned. Then, we constructed neuron specific expression vector, which was transfected into HeLa cell using lipid-mediated transfection system. Expression of GFP and CART linked to NF-L-chain promoter in the transfected HeLa cell were detected by using fluorescent microscope and RT-PCR. These results confirmed normal expression of DNA constructs in vitro. Then, to increase brain specific expression of CART in vivo transgenic mice carrying CART gene controlled the deleted NF-L-chain promoter were generated by the DNA microinjection into pronuclei of fertilized embryos. Transgenic mice were detected by Southern blot.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examine CART expression and 5-HTT in these transgenic mic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maybe a positive molecular correlation between CART and 5-HT in responding to the stimuli.

  • PDF

ATG5 Expression Induced by MDMA (Ecstasy), Interferes with Neuronal Differentiation of Neuroblastoma Cells

  • Chae, Myounghee;Rhee, Gyu-Seek;Jang, Ik-Soon;Kim, Kwangsoo;Lee, Ji-Hae;Lee, Seung-Yeul;Kim, Minjung;Yang, Junyoung;Park, Junsoo;Lee, Seung-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5호
    • /
    • pp.571-575
    • /
    • 2009
  • The amphetamine derivative 3, 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MDMA) has become a popular recreational drug, and has also been shown to cause serotonergic neurotoxicity. This report shows that MDMA impairs brain development in a whole mouse embryo cultur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showed that autophagy-related protein 5 (Atg5) expression is elevated in mouse embryo and neuroblastoma cells after MDMA treatment. This elevated Atg5 expression interferes with the neuronal differentiation of neuroblastoma cells such as SH-SY5Y and PC12 cells.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MDMA during pregnancy may impair neuronal development via an induction of Atg5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