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ount of Cement

검색결과 933건 처리시간 0.029초

치과용 시멘트 용액의 증발이 경화된 시멘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EVAPORATOIN OF LIQUIDS OF DENTAL CEMENTS ON THE PROPERTIES OF HARDENED CEMENTS)

  • 김향경;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156-169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evaporation of liquid of dental cements by drying during long term using. Zinc phosphate cement, polycarboxylate cement, and glass ionomer cement were used, and evaluated the properties as follows; consistency, setting time, film thickness, solu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ADA specification. The specimens of control group were made by mixing the newly opened liquid using the powder-liquid ratio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specimens of ES groups were made by mixing the 10% evaporated liquid by drying with the powder-liquid ratio recommed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specimens of EM group were made by mixing the 10% evaporated liquid with the powder-liquid ratio modified for standard consistenc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1. The viscosity of mixture of all kinds of cements were increased by the evaporation of liquid, especially the viscosity of glass ionomer cement were influenced significantly. 2. The amount of liquid should be increased to get a standard consistency at the using of evaporated liquid of cement, the most significant increase of liquid amount was required on Ketac-Cem. 3. The setting times were increased at both cases of mixing of evaporated liquid with powder - liquid ratio recommended by manufacturer or modifided through consistency test. 4. At an experimental group of mixing of the evaporated liquid with powder-liquid ratio recommended by manufacturer, solubility was decreased and film thickness was increased. 5. By the result of evaporation of cement liqui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olycarboxylate cement was increased slightly and it of glass ionomer cement was increased, however, by the increase of amount of liquid to be possible to manipulate the compressive strength were decreased.

  • PDF

리트벨트법에 의한 석탄재를 적용한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 온도별 광물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Rietveld Method Minerals by Sintering Temperature of Cement Clinkers with Fly Ash)

  • 유동우;임영진;박태균;이창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14-5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클링커의 원료 중 점토성분의 일부를 석탄재로 대체하여 시멘트 클링커를 각 온도별로 소성하여 시멘트 클링커의 광물상의 변화를 XRD-Rietveld법을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Belite의 양은 감소하고 Alite의 양은 증가하였으며, 유리 CaO의 양도 감소 되었다. Alite와 Belite의 형태는 1450℃ 이상에서부터 형태를 구분 할 수 있었으며. 1500℃ 소성에서는 결정의 크기가 조대하게 성장하여, 과소성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유리 CaO의 경우 소성온도의 상승에 따라 감소하였고, 1450℃ 이상에서 0.5% 이하로 나타나, 1450℃ 이상에서는 충분한 소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시멘트 클링커의 원료 중 알루미나질과 철질 원료의 화학성분 공급원으로서 석탄재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 판단되었다.

단위시멘트량이 다른 콘크리트 중에서의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itical Threshold Chloride Content for Steel Corrosion in Concrete with Various Cement Contents)

  • 양승규;김동석;엄태선;이종열;하야극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15-421
    • /
    • 2008
  • 콘크리트 중의 철근부식은 콘크리트 제조시 초기부터 콘크리트 중에 존재하는 염소이온과 기상작용 등의 환경요인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염소이온이 어느 값 (임계염화물량) 이상의 경우에 발생한다. 이 때문에 각 국에서는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량의 상한치를 규제하고 있으며, 국가별 상황에 적절하게 상이한 방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 염소이온량의 합리적인 규제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이 다른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에 의한 철근부식 임계 염화물량을 실험적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은 단위시멘트량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은 기존의 모델계산의 결과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현행과 같이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을 콘크리트 단위체적 당의 양 (콘크리트 총량표기)으로 단위시멘트량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관리하면, 단위시멘트량 등의 콘크리트 배합조건, 환경조건의 변화 등이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을 단위시멘트량 당의 양 (시멘트 종량표기)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단위시멘트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석탄재의 함량변화가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성 및 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nge in Coal Ash Content on Sinterability and Phase Change of Cement Clinker)

  • 유동우;임영진;최상민;권성구;이석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6-24
    • /
    • 2023
  • 미연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재는 Si, Al, Fe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성분은 시멘트 클링커에 제조에 필요한 주요성분이다. 특히 Al, Fe 성분은 시멘트 클링커의 간극상을 형성하는 성분으로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클링커의 원료로서 다량의 석탄재를 함량별로 적용하여, 석탄재를 적용한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온도별 광물형성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석탄재를 다량 적용한 시멘트 클링커는 1050~1150 ℃의 소성온도 구간에서 중간상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석탄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석탄재의 첨가로 생성된 상은 1350 ℃ 이상에서 칼슘실리케아트상과 간극상으로 전환되어 소멸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시멘트 클링커의 일반적인 소성온도인 1450 ℃에서는 다량의 석탄재를 적용한 시멘트 클링커는 순수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기준 시멘트 클링커와 동등수준의 잘 발달된 광물을 형성하였다.

시멘트 산업에 투입되는 폐기물과 시멘트 제품의 중금속 함유량과의 상관관계 분석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Heavy Metal Content of Cement Products and Waste Used in Cement Industry)

  • 김용준;엄남일;김우일;이영기;김기헌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721-730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avy metals in cement in the last 3 years and the amount of waste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The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Cr^{6+}$ content in cement products is controlled at 10 mg/kg. Cu and Pb have lower detection tendency in white cement than in ordinary portland cement. In addition, heavy metals such as Cd show a certain level of detection regardless of the input wastes. Copper slag and phosphate gypsum ar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vy metals in cement products. In auxiliary fuels, plastics waste and wood waste are considered to affect heavy metals in cement products. Alternative raw materials are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the alternative raw materials managed as byproducts. In the case of supplementary fuels, auxiliary fuels managed as waste instead of auxiliary fuels managed as byproducts affect the heavy metals in c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input amount without considering the heavy metals in each waste. Therefore, the result may vary in different situations, and further research must be conducted to supplement the findings. However, if the heavy-metal contents in the waste are constan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control of heavy metals in cement products.

Optical sensitivity of DNA-dispers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in cement composites under mechanical load

  • Kim, Jin Hee;Rhee, Inkyu;Jung, Yong Chae;Ha, Sumin;Kim, Yoong Ahm
    • Carbon letters
    • /
    • 제24권
    • /
    • pp.90-96
    • /
    • 2017
  • We demonstrated the sensitivity of optically activ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with a diameter below 1 nm that were homogeneously dispersed in cement composites under a mechanical load. Deoxyribonucleic acid (DNA) was selected as the dispersing agent to achieve a homogeneous dispersion of SWCNTs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 dispersion state of the SWCNTs were characterized using various optical tools.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a large amount of DNA prohibited the structural evolution of calcium hydroxide and calcium silicate hydrate. Based on the in-situ Raman and X-ray diffraction studies, it was evident that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within the DNA strongly retarded the hydration reaction. The optimum amount of DNA with respect to the cement was found to be 0.05 wt%. The strong Raman signals coming from the SWCNTs entrapped in the cement composites enabled us to understand their dispersion state within the cement as well as their interfacial interaction. The G and G' bands of the SWCNTs sensitively varied under mechanical compres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an extremely small amount of SWCNTs can be used as an optical strain sensor if they are homogeneously dispersed within cement composites.

저 직경 카본섬유를 사용한 전자기 펄스 차폐 시멘트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 Magnetic Pulse Shielding Cement Using Milled Carbon Fiber)

  • 민태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29-43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탄소계 섬유를 이용하여 EMP차페 시멘트 개발을 위해 저 직경 카본섬유 사용량에 따른 시멘트 페이스트의 물리적 특성과 EMP차폐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저 직경 카본섬유의 길이는 100㎛의 크기로서 육안으로는 분말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시멘트 혼화재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저 직경 카본섬유 시멘트 사용량 대비 5% 사용 하였을시 압축강도 및 EMP차폐에 효과가 있었으며 그 이상의 사용시에는 차폐효과는 증가 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체 두께에 따른 EMP차폐성능 검토 결과 저 직경 카본섬유가 사용되지 않은 Plain은 두께에 따른 차폐율 증가 효과가 없었으나 저 직경 카본섬유가 사용된 실험체들은 두께 증가에 따라 차폐성능이 증가 하였다. 따라서 저 직경 카본섬유 사용량과 실험체 두께에 따른 성능을 비교평가 하였을시 EMP차폐율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저 직경 카본섬유 사용량은 5%가 최적이며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경화촉진제와 조강시멘트를 사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조기강도 발현 메커니즘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arly Strength Development Mechanism of Cement Paste Using Hardening Accelerator and High-Early-Strength Cement)

  • 민태범;조인성;이한승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84-92
    • /
    • 2014
  • 본 연구는 조강시멘트와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여 조기강도 발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경화촉진제는 시멘트와의 수화반응시 $Ca(OH)_2$의 촉진시키는 것을 TG/DTA 실험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압축강도 측정결과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 할수록 초기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소수화열 측정결과 경화촉진제는 시멘트의 성분중 $C_3S$의 수화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XRD분석결과 재령별 수화생성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수화물들의 피크점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EM찰영을 한 결과 촉진제의 첨가량에 따라 $Ca(OH)_2$의 생성과 재령에 따라 C-S-H의 형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경화촉진제는 초기강도발현 시키는 것에 대해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석회석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및 내구특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Concrete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Limestone Use)

  • 오성우;신동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38-144
    • /
    • 2017
  • 전 세계 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시멘트 산업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시멘트에 첨가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석회석을 시멘트의 35%까지 치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2013년에 KS L 5201을 개정하여 석회석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5%까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직 석회석 혼합 시멘트에 대한 규격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활용하여, 석회석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특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II)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Utilizing by-Products(II))

  • 박승범;윤의식;조청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4-149
    • /
    • 1993
  •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ufacture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silica fume.cement composites and light weight fly ash.cement composite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CF reinforced silica fume.cement composites using silica fume early strength cement were prepared with Pan-derived or Pitch-derived CF, and Lt. Wt, fly ash.cement composites using fly ash, early strength cement, perlite and a small amount of foaming agent. As the test results show, the flexural strength, toughness and ductility of CF reinforced silica fume .cement composites were remarkably increased by fiber contents. Also, the manufacturing process technology of Lt. Wt. fly ash.cement composites was developed and its optimum mix proportions were proposed. And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fly ash.cement composites by hot water cured were improved even more than by moist cured, but are decreased by increasing fly ash replaced ratio for c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