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orphophallus konjac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5초

Different Response Mechanisms of Rhizosphere Microbial Communities in Two Species of Amorphophallus to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Infection

  • Min Yang;Ying Qi;Jiani Liu;Penghua Gao;Feiyan Huang;Lei Yu;Hairu Ch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07-219
    • /
    • 2023
  • Soft rot is a widespread, catastrophic disease caused by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 that severely damages the production of Amorphophallus spp. This study evaluated the rhizosphere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Pcc-infected and uninfected plants of two species of Amorphophallus, A. muelleri and A. konja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samples formed different clusters according to the Pcc infection status, indicating that Pcc infection can cause a large number of changes in the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the Amorphophallus spp. rhizosphere soil. However, the response mechanisms of A. muelleri and A. konjac are differen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overall microbial species composition among the four treatments, but the relative abundances of core microbiome memb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lative abundances of Actinobacteria, Chloroflexi, Acidobacteria, Firmicutes, Bacillus, and Lysobacter were lower in infected A. konjac plants than in healthy plants; in contrast, those of infected A. muelleri pla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healthy plants. For fungi, the relative abundances of Ascomycota and Fusarium in the rhizosphere of infected A. konjac pl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ealthy plants, but those of infected A. muelleri plants were lower than those of healthy plants. The relative abundance of beneficial Penicillium fungi was lower in infected A. konjac plants than in healthy plants, and that of infected A. muelleri plants was higher than that of healthy plants. These findings can provide theoretical references for further functional research and utilization of Amorphophallus spp. rhizosphere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future.

Specificity of ${\beta}$-Mannanase from Trichoderma sp. for Amorphophallus konjac Glucomannan

  • Park, Gwi-G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820-823
    • /
    • 2006
  • Five oligosaccharides were isolated from the hydrolysate of konjac (Amorphophallus konjac) glucomannan by a purified ${\beta}$-mannanase from Trichoderma sp. These oligosaccharides were identified as M-M, G-M, M-G-M, M-G-M-M, and M-G-G-M; where G- and M- represent ${\beta}$-1,4-D-glucopyranosidic and ${\beta}$-1,4-D-mannopyranosidic linkages, respectively. The mode of action of the mannanase on the glucomannan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the above oligosaccharides.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Konjac Glucomannan Dispersons)

  • 지수경;김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6-250
    • /
    • 1995
  • 구약감자(Amorphophallus konjac)로부터 glucomannan 현탁액을 제조하고 그 유동특성을 구명하였다.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은 항복응력이 없는 비뉴우톤성유체의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다른 다당류 현탁액보다 일정 전단속도에서의 전단응력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n값의 변화로 보아 구약감자분말 현탁액은 팽창유체의 경향을 약간 보인 반면 예비정제 구약감자분말 및 정제 glucomannan 현탁액의 경우는 의가소성유체의 거동을 보여주었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은 일정 전단속도에서의 전단응력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그 감소정도는 비교적 균일하였다.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은 pH 7에서 가장 점성이 높았으며 pH가 이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점성이 약간씩 감소하였다. 또한 1%까지의 식염첨가에 의해서는 점성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면 10%까지의 설탕첨가에 의해서는 점성이 감소하다 그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 PDF

구약감자 Glucomannan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njac Glucomannan)

  • 김남수;지수경;목철균;김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99-804
    • /
    • 1994
  • 구약감자(Amorphophallus konjac)로부터 glucomannan을 제조하고 그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예비정제 구약감자분말로부터 ethanol 침전법에 의하여 정제 glucomannan을 제조하였으며 이때의 수율은 67.2%였다. 구약감자 glucomannan에 대하여 일반성분, 총식이섬유, 미네랄 분석을 행하였다. Isopropanol : $H_2O$(4 : 1, v/v)을 전개용매로 하여 TLC 분석을 행하였을 때 mannose와 glucose가 성분당으로 확인되었으며 Protein Pak 300SW column을 사용하여 HPLC 분석시 분자질량은 240에서 370 kDa 범위내에 있었다. 구약감자 glucomannan의 수분결합력은 guarr와 xanthan 검을 제외한 다른 검틀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bovine serum albumin 존재시의 거품생성능은 $8.60{\sim}9.45\;ml$로서 단백질 자체의 경우보다 높았고 다른 검들의 경우보다도 높았다. 구약감자 glucomannan 농도틀 2%까지 중가시켜 가며 팽윤특성을 보았을 때 최대점도는 농도외 중가에 따라 현저하게 중가한반면 최대점도에 이르는 팽윤시간은 점차 감소함을 알수 있었다. 일정농도에서 온도를 높이면 최대점도와 최대점도에 이르는 팽윤시간이 동시에 감소하였다.

  • PDF

매생이 농도를 달리한 곤약국수의 조리 특성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containing Konjac Powder and Capsosiphon fulvescens)

  • 최희은;박화영;김나율;장혁순;이난희;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47-851
    • /
    • 2017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by adding 0, 2, 4 or 6 percent of Capsosiphon fulvescens to wheat flour containing konjac powder. Water bin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Capsosiphon fulvescens. Weight and volume of cooked noodl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with the amount of Capsosiphon fulvescens. Turbidity of the soup after cooking also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Brightness(L) and redness(a) were decreased with add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Yellowness(b) increased. The color value of cooked noodles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wet noodles. Sensory evaluation scores revealed that cooked noodles with 4 percent addition group were highest in terms of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is study validates that addition of Amorphophallus konjac and 4 percent Capsosiphon fulvescens may improve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of noodles.

수집종긴의 구약감자 성분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Components among varieties of Elephant-food (Amorphophallus konjac, K.))

  • 이희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8-223
    • /
    • 1996
  • 본 실험은 건강식품과 민간요법으로 수요가 증가되는 구약감사 국내 수집종인 금산종과, 외국수입종인 일본 및 중국종에 대한 성분분석을 통하여 건전한 식품문화를 정착시키고 품종개량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이들 각각에 대한 성분분석을 실시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체 분석결과 구약감자 mannan의 주함량인 탄수화물은 금산, 일본수집종에서 15% 비슷하였고, 정분분석에서는 중국 chip과 일본 수집종이 79%로서 금산 수집종, 73%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유리당 함량은 금산수집종, 중국 chip, 일본정분순으로 함유량이 높았으나, 아미노산은 일본정분, 중국 chip, 금산수집종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3. 무기함량은 금산수집종에서 인, 칼리, 철분이 비교적 다른 수집종보다 높은 편이었고, 중국수집종에서 칼슘, 나트륨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었다. 4. 가용성 유리당과 아미노산 함량이 많을수록 구약식품의 점도가 저하되었다.

  • PDF

곤약감자 분말에서 추출한 글루코만난을 원료로 제조된 필름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Prepared with Glucomannan Extracted from Amorphophallus konjac)

  • 유민희;이효구;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5-260
    • /
    • 1997
  • 이상의 결과에서 글루코만난 필름은 다른 천연 탄수화물고분자들의 필름들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인장 강도와 신장력을 가지며 높은 수분차단력을 보이나, 친수성 필름이 가지는 수분에 대한 민감성 때문에 수분을 직접 접촉할 때 높은 용해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소제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가 낮아지는 대신에 높은 신장력을 나타내었다. 글루코만난 필름은 적절한 여러 조건에 따라 넓은 범위의 물성변화를 가지는 친수성 필름으로서 식품포장산업에서의 다양한 이용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앞으로 적절한 가소제 및 첨가제의 이용, 수분에 대한 내성의 향상등의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구약감자의 종서처리 및 재배방법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Tuber Processing and Cultural methods on Tuber yield of Amorphophallus Konjac. K.)

  • 이희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7-122
    • /
    • 1992
  • 본실험은 구약자의 수량증수를 위해 파종기별 저장 방법과 재배양식 절단방법과 자구의 크기, 차광효과를 구명코자 시험하였던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에 있어서 4월 20일 전파종양식에서보다 조기파종 4월 5일이 수량성이 증가하였다. 2. 저장방법시험에서는 일반저장 PC film에서 수량성이 가장 높았고 입모율은 우수하였으나, 반면 구약감자 출현율은 육아재배 PE멀칭과 PE터널에서 20일 촉진할수 있으나 특히 입모율은 주야간 기온차로 특별한 재배관리가 요망된다. 3. 자구절단방법 2절, 4절은 관행보다 자구수가 증가하였고 종자소요량과 대량번식이 유리하였다. 4. 구약감자 재배는 자연광(관행)보다 30%, 50% 차광처리에서 생육특성과 종자수량이 증가하였다.

  • PDF

응고제와 침지제의 pH 조절에 따른 곤약의 저장성 강화 (Enhancement of Konjac Storage by Controlling pH of Coagulant and Soaking Liquid)

  • 최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0-10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곤약 제조시 각 생산단계별, 응고제 및 침지액의 pH에 따른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식중독균을 확인하고 저장 3개월 동안의 저장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곤약의 주원료인 구약감자 분말과 가공용수는 살균과정을 거치지 않아 상당한 수의 일반세균을 포함하고 있으며, 비닐포장은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곤약 제조단계별 미생물을 확인한 결과 겔 형태의 곤약 성형단계에서 일반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첨가된 응고제인 2.0% $Ca(OH)_2$의 높은 pH의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후 모든 공정에서 공정 모두에서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지 않았다. 대장균군은 시험 전 단계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성형공정에서 곤약의 pH를 9.5~12.5까지 조정하여 굳힌 후 일반세균수를 확인한 결과 pH 11.5보다 알카리 범위에서는 일반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침지액의 pH 범위를 10.0~12.5까지 조정하여 굳힌 후 12주동안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미생물수를 확인한 결과 pH 11.5이상에서는 일반세균, 대장균 및 식중독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응고시 곤약의 pH와 침지액의 pH를 11.5로 설정할 경우 별도의 살균과정 없이 3개월이상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pH의 조절만으로 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정의 간편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