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sugars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3초

복분자 딸기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 차환수;이문경;황진봉;박민선;박기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21-1025
    • /
    • 2001
  • 복분자딸기 열매의 미숙과와 완숙과 그리고 잎을 사용하여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 유, 식이섬유, 조회분과 pH, 가용성고형분, 산도, 색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요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로서 미숙과보다 완숙과에서 증가하였으며, 미숙과에는 sucrose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완숙과와 잎에서는 sucrose가 합유되었다. 유기산 조성은 미 숙과, 완숙과 및 잎 모두 citr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로 이루어져 있었고, 특히 미숙과에서 citric acid함량이 1.21 g%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 열매의 미숙과 와 완숙과에서는 16종의 아미노산이 분리되었고 잎은 여기에 methionine을 포함하여 16종의 아미노산이 분리되었다. 미숙과 및 완숙과, 잎 모두 glutamic acid의 함량이 다른 성분에 비하여 높은 411, 246.59 및 898.42 mg%를 나타내었다. 무기질은 미숙과 및 완숙과, 잎 모두 potassium의 함량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무기질 함량은 잎이 완숙과나 미숙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가열시간에 따른 Chicken Consomme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hicken Consomme on Quality Characteristics by Boiling Time)

  • 김용식;문성원;장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7-396
    • /
    • 2004
  • It was investigated to study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consomme made with different boiling time(1, 2, 3, and 4 hr). The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both the acceptability (color, smell, mouthfeel, taste, overall acceptability) and intensity characteristics (color, smell, clarify, taste). From the results, the 3hr treatment was most favored for smell, mouthfeel,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ests. According to a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of the sensory evaluation for the treatments, the color and smell showed higher scores by increasing the boiling time. Whereas, in clarify and taste, the 3hr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s. As fo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p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boiling time. The reducing sugars, turbidity and visco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boiling time. The colorimetric lightness values L decreased, and redness a, yellowness b and color difference values ΔE increased with increasing boiling time. There were 18 free amino acids indentified ; the 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and lysine were high in the free amino acid of the chicken consomme made with different boiling times. There were 3 free sugar indentified,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The free amino acid and free sugars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boiling time. There were changes in the mineral contents of the chicken consomme made with different boiling time ; with high K, Na, P, Mg, Ca and Fe contents. The mineral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boiling time. Especially, the 3hr treatments was more highly increased than rest of the treatments in al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e chicken consomme made by boiling far 3hr was the most preferably in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quality.

  • PDF

식초의 종류별 화학성분의 특징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 윤희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40-1446
    • /
    • 1999
  • 국내외에서 구입한 42개의 식초 시료에 대해 비휘발성 유기산, 당, 아미노산, 휘발성 성분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화학 성분에 의한 양조, 사과, 현미식초의 차별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으로는 malic, succinic 및 lactic acid, 당 성분으로는 fructose와 glucose, 아미노산으로는 lysine, serine, leucine, valine 및 alanine, 휘발성 성분으로는 1-hexanol, acetaldehyde, 3-methyl-1-butanol, 2-methylpropanoic acid, isopropyl butanoate 및 ethanol이 식초의 종류별 차별화에 유용한 성분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열 여섯 종의 성분들 중에서도 malic acid, lysine, succinic acid, glucose, lactic acid 및 1-hexanol을 식초의 차별화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화학 성분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양조식초는 특징적인 성분이 없었으며, 사과식초는 malic acid와 1-hexanol이, 현미식초는 lysine과 lactic acid의 함량이 다른 종류의 식초에 비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Maillard 반응기질의 동적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Dynamic Changes in Maillard Reaction Substrate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기동;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2-219
    • /
    • 1996
  • Maillard 반응중 피질의 변화를 4차원 반응표면으로 나타내어 기질의 동적변화를 모니터링하고자 하였다. Total amino acids의 함량변화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높은 $R^2$ (0.9470)를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amino acid또한 높은 R'를 나타내어 대부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유리당의 함량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glucose의 함량에 대한 R'는 0.9250이었으나 fructose에 대한 $R^2$는 0.6490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Maillard반응중 total amino acids의 함량은 반응온도가 높고 용매의 pH값 이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되었다. 반응생성물의 갈색도는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나 145‘C 내외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amino acid함량변화는 total amino acids 함량인화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4차원 반응표면분석 결과 aspartic acid, threonine, glucose등의 기질들은 복합기질계 Maillard반응에 있어서 특이하게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한 반면, 용매의 pH와 반응시간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미노-카르보닐 반응(反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ino-Carbonyl Reaction)

  • 양륭;신동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8-96
    • /
    • 1980
  • 아미노-카르보닐 반응에 대한 반응 조건을 검토하고 반응성에 미치는 아미노산(酸)의 영항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아미노-카르보닐 반응은 알칼리성이 강할수록 melanoidin 생성량은 크게 증대되었으며, 아미노산의 등전점 이상에서 반응 속도는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당(糖)과 아미노산(酸)의 몰 분비(分比)가 1:1일 때까지 melanoidin 생성량은 직선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당과 아미노산(酸)은 1:1로 결합함을 알 수 있었다. 3. 아미노-카르보닐 반응은 시간과 반응 온도에 높은 의존성을 보였으며, 동(同) 몰의 glucose-glycine 계(系)에서의 활성화 에너지는 37.5Kcal/mole이었다. 4. 사용된 아미노산(酸) 중(中)에서 glycine, lysine 및 $\beta$-alanine이 당과의 반응성이 현저하게 높았으며, 산성(酸性)아미노산(酸)의 반응성은 아주 낮았다. 따라서 산성(酸性) 아미노산(酸)의 측쇄(測鎖)의 카르복실기(基)는 아미노기(基)의 반응성에 가장 저해(沮害)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5. 사용된 당류(糖類)의 반응성은 다음의 순서로 나타났다. Xylose>arabibose>fructose>glucose>maltose>lactose.

  • PDF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rowning of Red Ginseng)

  • 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60-77
    • /
    • 1973
  •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하기 위(爲)하여 이의 갈변(褐變)을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으로 단정(斷定)하고 어떤 성분(成分)의 작용(作用)으로 일어나는 갈변(褐變)인가를 추구(追究)하고저 수삼(水蔘), 증삼(蒸蔘), 자연건조홍삼(自然乾燥紅蓼), 인공건조홍삼(人工乾燥紅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홍삼(褐變促進經蔘)으로 구분(區分)하여 이들의 성분중(成分中) 갈변(褐變)에 관여(關與)하는 화학성분(化學成分)들의 소장(消長)을 정량적(定量的)으로 분석대조(分析對照)하였고 홍삼(紅蔘)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褐變促進)에 관(關)한 연구(硏究)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성분(一般成分)은 대체(大體)로 시험구간(試驗區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었으며 총당(總糖)과 환원당(還元塘)은 조금 감소(減少)하고 총산(總酸)은 홍삼류(紅蔘類)가 조금 높았고 수추출물(水抽出物)은 홍삼구(紅蔘區)들이 $6{\sim}7%$ 낮았다. 2. 유리(遊離)amino산(酸)으로 Asp., Thr., Ser., Glu., Gly., Ala., Val., Cys., Met., Ileu., Leu., Tyr., Phe., Lys., His.. Arg.의 16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Arg.이 뛰어나게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고 필수(必須) amino산(酸)이 모두 함유(含有)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건조중(乾燥中)에 감소(減少)되고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다. 3. 유리당(遊離糖)으로 fructose, glucose, sucrose의 3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고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4종(種)을 분리(分離)하였으며 함량(含量)에서는 sucrose가 80%이고 홍삼구(紅蔘區)들이 일반적(一般的)으로 함량(含量)이 적었으며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으며 특(特)히 환원당(還元糖)이 많은 감소(減少)를 보였다. 4. Vitamin C는 증삼시(蒸蔘時)에 거이 파괴(破壞)되고 건조중(乾燥中)에는 별(別)로 변화(變化)가 없었다. 5. 휘발성산(揮發性酸)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acryl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 iso-valeric acid, n-valeric acid, n-caproic acid, iso-heptylicacid, n-heptylic acid 등(等) 11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증자시(蒸煮時)에 일부(一部) 휘발감소(揮發減少)를 보였으나 건조중(乾燥中)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다. 6.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pyruvic acid, glutaric acid 등(等) 6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은 건조중(乾燥中) 감소(減少)되어 홍삼구(紅蔘區)들이 함량(含量)이 적으나 succinic acid만은 증가(增加)하였다. 7. Polyphenol 류(類)로 3-caffeyl quinic acid, 4-caffeyl quinic acid, 5-caffeyl quinic acid의 3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polyphenol은 건조중(乾燥中)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으며 특(特)히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에서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다. 8. 홍삼(紅蔘)들의 갈색도(褐色度)는 갈변촉진구(褐變促進區)가 가장 짙고 다음이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이며 인삼건조구(人工乾燥區)가 가장 약(弱)한 갈색(褐色)이였다. 9.홍삼제조시(紅蔘製造時) 성분(成分)의 감소량(減少量)이 많은 것은 amino산(酸) 당류(糖類) 및 polyphenol이며 또 이들의 감소량(減少量)에 따라 홍삼(紅蔘)의 갈색(褐色)에 차(差)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은 주(主)로 amino-carbonyl반응(反應)카 polyphenol의 자동산화(自動酸化)에 의(依)한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임이 확실(確實)하며 따라서 이들 반응(反應)을 조정(調整)하면 단시간건조(短時間乾燥)하는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에도 자연건조시(自然乾燥時)와 같은 갈색도(褐色度)의 홍삼(紅蔘)을 만들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Nutrient Components in the Siphon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 Choi, Jong-Hwa;Shin, Tai-Sun;Ahn, Chang-Bu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43-50
    • /
    • 2005
  • We evalu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siphon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in regard to the presence of nitrogenous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otal creatinine, betaine, trimethylamine oxide (TMAO), and trimethylamine (TMA)] and non­nitrogenous compounds (sugars and organic acids), lipid fatty-acid composition, and occurrence of minerals.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was 660.27 $\pm$ 7.94 mg/100 g, and the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arginine, alanine, sarcosine, glycine, and glutamic acid. These amino acids accounted for $71\;\%$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Among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osine was the major component and comprised 40.38 $\pm$ 0.02 mg/100 g. Free amino acids were the largest contributor to total extracted nitrogen, comprising $49.94\%$, followed by total creatinine, betaine, nucleotides, and ammonia; the contribution of TMAO and TMA was small. For the non-nitrogenous compounds, malic acid, propionic acid, and succinic acid comprised the major portion of the ten kinds of organic acids detected, and the sugars found were glucose, maltose, and arabinose, which were estimated to be $147.0\pm7.15,\;34.45\pm1.09,\;and\;1.21\pm0.02\;mg/100\;g,$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minerals were Na and K, which comprised $11.43\pm1.06\;and\;9.46\pm1.02\;mg/100\;g,$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were C22:6, C20:5, C23:0, C18:3, and C16:0 in the lipid fractions. The 23:0 level of glycolipid (GL) was the highest of any other lipid fraction. The amount of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n the lipid fractions was higher, ranging from $58.22\%\;in\;GL\;to\;77.1\%$ in phospholipid (PL), compared to the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Of the n-3 fatty acids, C20:5 and C22:6 contributed $35.30-64.44\%$ of PUFA in the lipid fractions. The ratios of n-3 to n-6 PUFA in total lipid (TL), neutral lipid (NL), PL, and GL were 4.35, 4.26, 6.69, and 2.04, respectively.

각종(各種) 식품(食品)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2 보(第 2 報) 벌꿀의 정미성분(呈味成分)- (Studies on Tasty Constitudents in Various Foodstuffs -Part 2. Tasty Constituents of Honey-)

  • 이성우;김광수;이갑랑;조수열;이강자;김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8-171
    • /
    • 1971
  • 벌꿀의 정미성분(呈味成分)으로 생각되는 amino acid, 유기산(有機酸), 당(糖)의 종류(種類)를 검색(檢索)하고 각(各) 각(各)을 정량(定量)하였던 바 당(糖)의 양(量)과 조성(組成)은 벌꿀의 종류(種類)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보이지 않고 다만 사양(飼養)꿀에서 sucrose의 양(量)이 다소 높았으며, amino acid는 그 함량(含量)과 종류(種類)가 토종(土種)꿀에 가장 많고 주(主)가 되는 amino acid가 사양(飼養)꿀, 피나무꿀은 proline인데 비(比)하여 토종(土種)꿀은 isoleucine이었다. 그리고 유기산(有機酸)의 함량(含量)은 사양(飼養)꿀이 가장 많고, 주(主)가 되는 유기산(有機酸)은 토종(土種)꿀이 oxalic acid, citric acid이고 피나무꿀은 lactic acid, 사양(飼養)꿀은 succinic acid 이었다.

  • PDF

배추 저장동안 비타민 U, 아미노산, 유리당 함량 변화 (Changes in Vitamin U, Amino acid and Sugar Levels in Chinese Cabbages during Storage)

  • 홍은영;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89-59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배추를 품종별, 부위별, 저장기간 동안의 vitamin U, amino acid 및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고 변화경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Vitamin U의 함량은 배추의 품종과 부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풍 배추(Winter Pride)의 겉잎(outward leaf)에서 12.70 mg/100 g, 55일 배추(55 Days)의 속잎(core leaf)에서 18.60 mg/100 g으로 vitamin U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품종별 함량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위별 함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두 품종 모두 배추의 leaf부위가 midrib 부위에 비하여 1.7-9.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circ}C$ 저장 동안의 vitamin U 함량은 두 품종 모두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동안의 vitamin U의 전구체인 methionine 함량을 조사하여 본 결과 아주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배추가 성숙하는 동안 methionine이 vitamin U 전구물질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그러나, $4^{\circ}C$ 저장 동안의 vitamin U과 methionine의 함량에 대한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으며 유리 amino acid와 유리당 함량과의 관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영아자 (Phyteuma japonicum Miq)의 성분 조성 (Chemical Components of Wi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Phyteuma japonicum Miq.)

  • 정미자;신정혜;이수정;홍성국;강호중;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7-443
    • /
    • 1998
  •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of the nutritive value and improve our diet. In the part of the leaf and stem of the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Phyteuma japonicum Mig), the components such as chemical compositon, vitamin C, free sugar, mineral, nucleotide and its related compounds, composition and free amino acid were analyzed one after another. Content of the crude lipids and proteins was determined much higher in its wildness than in its cultivated horned rampion; while, that of carbohydrates was higher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retained higher in the leaf than in the stem horned rampion. And the content of calcium among the detected minerals was outstanding in all of the samples collected, and potassium and magnesium was the next ones in its order. The main components of free sugars in both the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were glucose and fructose, and their content was higher in the stem than in the leaf. Nucleotide and its re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5 kinds of nucieotides such as CMP, UMP, IMP, AMP and hypoxanthine (Hx), and the content of Hx and AMP was the highest I the wild and cultivated samples, respectively. In the composition amino acid of the wild horned rampion,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phenylalanine was outstandingly abundant; while, such amino acid as methinone and proline was small and besides cysteine couldn't be detected in the stem. Total amounts of composition amino acid in the leaf was 2118.0 and 1120.1mg% in the wild and cultivated sample, respectively. In the free amino acid of horned rampion, the total amount ranged from 8.5 to 50.1mg.%, which were lower level than that of composition amino acid. But the number of free amino acid was 29 kinds, which was bigger in its number than that of composition amino acid detected 17 kin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