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sugars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5초

Chemical Composition of Main Cordyceps species in Korea

  • Hong, In-Pyo;Nam, Sung-Hee;Sung, Gyoo-Byung;Lee, Kwang-Gil;Cho, Soo-Muk;Seok, Soon-Ja;Hur, Hyeon;Lee, Min-Woong;Guo, Shun-X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1호
    • /
    • pp.13-17
    • /
    • 2009
  • The caterpillar-shaped Chinese medicinal mushroom (DongChongXiaCao) looks like a worm in the winter and like a grass in the summer. The fruiting body has been regarded as popular folk or effective medicines used to treat human diseases such as asthma, bronchial and lung inflammation, and kidney disease. The fruiting bodies of Cordyceps militaris, C. pruinosa and Paecilomyces tenuipes that formed on the living silkworm (Bombyx mori) host were used in this examin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luble sugar, amino acid and fatty acid profiles in the fruiting-bodies. Soluble sugars such as glycerol, glucose, mannitol and sucrose were mainly found in the fruiting bodies of C. militaris, C. pruinosa and P. tenuipes. Total soluble sugar content was 29.23 mg/g in C. militaris, 8.61 mg/g in C. pruinosa and 24.00 mg/g 1in P. tenuipes on dry weight basi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14.09 mg/g 1in C. militaris, 34.60 mg/g in C. pruinosa and 17.09 mg/g in P. tenuipes.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fatty acids was above high more than 30% regardless of species.

볶음과정에서의 참깨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with Roasting Temperature)

  • 김현위;정소영;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37-1143
    • /
    • 1999
  • 볶음참깨 및 참기름 제조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볶음온도$(110^{\circ}C{\sim}230^{\circ}C)$변화에 따른 참깨의 물리적 변화 및 화학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볶음참깨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수분함량, 부피변화, 착유수율, 참깨박함량 및 색도는 $170^{\circ}C$이상에서 유의적으로 변하였고, 참깨박 중의 지방함량 및 단백질함량은 약간 변화하였다. 착유수율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할 때 볶음최적온도는 $220^{\circ}C$로 판단된다. Arginine, serine, threonine, lysine, cystine, tyrosine 등의 총아미노산과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 그리고 유리당 중의 sucrose는 $170^{\circ}C$$190^{\circ}C$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당과 아미노산 함량의 감소는 볶음참깨의 갈색색소 및 고소한 맛과 풍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측한다. 이러한 반응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수분이 적고, 기름함량이 많은 식품계에서 당과 아미노화합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열분해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Mixe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Liquid Swine Manur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for Silage in Paddy Field Cultivation

  • Hwang, Joo Hwan;Lee, Sang M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5-16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mixe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CF) and liquid swine manure (LSM)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mino acids, minerals, and free sugars in cultivating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SSH) on paddy soil. The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nd consisted of CF 100% (C), CF 70% + LSM 30% (T1), CF 50% + LSM 50% (T2), CF 30% + LSM 70% (T3), and LSM 100% treatment (T4). The application of LSM was based solely on the nitrogen. Plant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leaf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4 (p<0.05), but stem diame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Stem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decreased, but sugar degre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decreased.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the highest in T4, whereas the lowest in T2 (p<0.05).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the highest in C, T4 and T2, respectively (p<0.05). However, NDF and ADF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Crude fiber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increased. The total mineral cont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increased.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T1> C> T3> T4> T2 (p<0.05). Free sugar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increased. The analysis of all the above results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is very effective, considering the yield performance and the content of sugar degree and free sugar. In addition, liquid swine manure may be possible to grow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without chemical fertilizer.

미숙 복숭아의 성분 연구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eaches)

  • 이주백;정헌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3
    • /
    • 2008
  • 4월 20일과 5월 2일 적과된 미숙 복숭아의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평균중량은 각각 $4{\sim}6g$, $10{\sim}15g$이었다. 유기산 함량은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cir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유기산의 구성비가 변화하였다. 적과시기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arabinose가 검출되었으며, 부위별로 유리당 조성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4월 20일과 5월 2일 과육부 당의 주체는 arabinose와 sucrose이었으며 과피부의 당의 주체는 각각arabinose와 glucose 및 sucrose 이었다.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로서 함량이 가장 높아 전체 아미노산의 $22{\sim}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proline, glutamic acid, serine, leucine, Iys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중 K의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Ca, Mg, Na 순이었다.

해양부산물 아미노산액비 및 유용미생물(KEM) 시용이 후지사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food Amino Acid Fertilizer and Korean Effective Microorganisms on the Fruit Quality of Fuji Apple)

  • 안승원;김영칠;황인수;조전권;김명선;이정관;엄원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293-129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Korean effective microorganism(KEM) and seafood amino acid fertilizer(SAF) application on apple on functional substances of fruit. Vitamin C in fruit of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29.3 and, 39.8 mg, respectively. Also 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of those treatments measured with DPPH method were 40.6 and 54.1%, respectively. Vitamin E contents of those treatments were 2.51 and 2.50 mg, respectively. Sitosterol, a phytosterol, contents of those treatments were 4.79 and 5.41 mg, respectively. Proportion of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the fruit of control were 36.1, 15.3 and 17.8%, respectively. Those of the fruit of KEM/SAF treated were 45.9, 13.2 and 18.8%, respectively. Malic acid contents of control and KEM/SAF treated fruits were 53.7 and 43.8%, respectively.

제조과정에 따른 자소엽의 화학적 성분 및 자소숙수의 기호적 특성 (The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f(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by the Making Process and Sensory Evaluation of Jasosuksu)

  • 김성미;정현숙;최옥자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f(frutescens Britton var. scuta Kudo) according to the making process, and to examine Hunter's color value and sensory evaluation of Jasosuksu by extraction time. Perilla leaves were prepared in three types; fresh leaf, dried leaf in the shade and roasted leaf after being dried in the shade in order to make Jasosuksu.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ree sugars(sucrose, glucose, fructose) and organic acids(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were present in th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15{\sim}16$ kinds of amino acid including aspartic acid were determined in th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serin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The major total amino acids of tile fresh leaf, dried leaf and roasted leaf were glutamic acid, histinine, and glycine. The major fatty acids of Perilla leaves were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and linolenic acid. The content ratio of linolenic acid in fresh leaves was the highest, but that of palmitic acid was lower than that of dried leaves and roasted leaves. L value, a value, and b value of Perilla leaf were the highest in the roasted leaves followed by the order of dried leaves and fresh leaves. L value and b value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ere higher than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The preference of color, flavor, sweetness of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was the highest when extraction time was 10 min. at $70^{\circ}C$, but that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as the highest when extraction time was 15 min. at $70^{\circ}C$. The preference of color, flavor, taste of Jasosuksu extracted from roasted leaves was higher than that of Jasosuksu extracted from dried leaves.

  • PDF

花紛荷(pollen load)의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nents of Pollen Load)

  • 김정헌;이규한;김을상;박성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66-572
    • /
    • 1992
  • 자연식물에서 양봉의 부산물로 생산되고 있는 화분하의 식물영양학적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6년 6월부터 9월사이에 경기도 안성지역에서 꿀벌들에 의해 수집된 혼합화분하 및 화분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벌꿀과 7:3의 비율로 섞어 만든 화분꿀에 대하여 일반성분, 유리당,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조성과 탄수화물 및 단백질의 인공소화율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분하의 단백질은 27.0%, 지방 5.8%, 섬유질 11.1%이었다. 유리당조성은 과당이 26.6%, 포도당13.1%, 서당 0.2%, 맥아당 1.3%, F/G비는 2.0이었다. 무기질조성은 칼륨이 661.2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인, 마그네슘, 칼슘, 철의 순이며 구리가 가장 낮았고 특히 철은 16.7mg.100g이었다. 지방산 조성은 $C_{18:2}$가 28.6%, $C_{18:3}$21.7%, $C_{16:0}$21.2%, $C_{18:1}$이 17.4로 대부분이었으며 SFA/MUFA/PUFA비는 0.61:0.37:1.00, PUFA/SFA비는 1.63이었다. 아미노산조성은 프롤린이 가장 많았고 Glu>Leu>Asp>Val>Phe순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은 39.2%이었다. 단백질의 화학가는 E/T비가 2.03, 단백가는 65.2(Lys), A/E화학가중 난가(egg score)는 61.7(Lys), 아미노산가는 51.7(Lys)이었다. 신선한 화분하의 탄수화물 인공소화율은 1시간후 66.7%, 2시간후 67.0%이었고, 단백질 인공소화율은 각각 67.3%, 75.5%이었다. 신선한 화분꿀의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인공소화율도 신선한 화분하의 인공소화율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 PDF

슬래쉬소나무의 화아원기(花芽原基) 형성(形成)의 생리학적(生理學的) 연구(硏究) (II) - 정아(頂芽)의 탄수화물(炭水化物)과 질소(窒素) 신진대사(新陳代謝)와 자화(雌花) 원기형성(原基形成)과의 관계(關係) (Physiology of Strobilus Initiation in Slash Pine II. Ovulate Strobilus Initiation in Relation to Carbohydrate and Nitrogen Metabolism of Terminal Buds)

  • 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6-26
    • /
    • 1980
  • 슬래쉬 소나무의 화아원기(花芽原基) 형성(形成) 기간(期間) 중(中)에 정아(頂芽)의 영양(營養) 상태(狀態)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정아(頂芽)의 탄수화물(炭水化物)과 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調査)하였다. 접목(接木)으로 조성된, 18년생(年生) 슬래쉬 소나무를 개화량(開花量)의 다소(多少)에 따라 다수개화(多數開花) 그룹과 소수개화(少數開花)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각각 두 개(二個)씩의 정아형(頂芽型)을 선택하였다. 즉 (1) 다수개화(多數開花) 그룹에서 수관상부(樹冠上部)에 있는 대아(大芽) (자화생산(雌花生産))와 하부(下部)에 있는 소아(小芽) (웅화생산(雄花生産)), (2) 소수(少數) 개화(開花) 그룹에서 수관상부(樹冠上部)에 있는 대아(大芽) (영양아(營養芽))와 하부(下部)에 있는 소아(小芽)(웅화생산(雄花生産))의 도합 4가지였다. 7월(月) 하순부터 9월(月)상순 사이에, 정아(頂芽)를 4회(回) 채취하여 75% 에칠알콜로 추출하고, 탄수화물(炭水化物)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아미노산은 자동분석기(自動分析器)로 분석(分析)하였다. 두 그룹의 대아(大芽)는 각각 같은 그룹의 소아(小芽)보다 당(糖)의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4그룹에서 공(共)히 fructose와 glucose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었다. 아미노산 중(中)에서는 arginine의 함량(含量)이 가장 많았으며, 4그룹의 평균치(平均値)로 볼 때 7월(月)에 23%에서 9월(月)에 60%로 증가(增加)하였다. 웅화(雄花)를 생산(生産)하는 정아(頂芽)의 arginine과 총(總) 아미노산의 함량은 다른 세그룹의 함량(含量)보다 훨씬 적었다. 다수개화(多數開花) 그룹내의 두 정아형(頂芽型)을 비교할 때, 자화(雌花)눈의 arginine 양(量)은 7월(月)에 웅화(雄花)눈과 거의 같았으나, 9월(月)에는 자화(雌花)눈이 웅화(雄花)눈보다 사배(四倍)의 arginine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보아, arginine은 자화(雌花)의 원기형성(原基形成)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화(雌花)를 생산(生産)하는 정아(頂芽)는 낮은 아미노산의 함량(含量)으로 인(因)하여, 탄수화물(炭水化物)과 아마노산의 비율(比率)(C/N율(率))이 원기형성(原基形成) 기간(其間) 동안에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화(雌花)의 원기형성(原基形成)은 일시적(一時的)인 신진대사(新陣代謝) 활동(活動)의 감소(減少)를 동반(同伴)하는 것 같다.

  • PDF

섬애쑥(Artemisia argyi H.)의 부위별 영양화학성분 (Nutritional Chemical Composition in the Different Parts of Artemisia argyi H.)

  • 하기정;이용호;김낙구;손길만;노치웅;정희록;허호진;정창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55-164
    • /
    • 2012
  • 경남 남해에서 재배되고 있는 섬애쑥의 식품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섬애쑥의 일반성분을 잎, 줄기 및 뿌리 부위별로 조사한 결과 조단백질은 각각 19.87, 6.14, 5.68%로 나타났고, 조지방은 4.56, 1.30, 1.20%이었으며, 조섬유는 16.80, 29.70, 29.45%로 나타났다. 섬애쑥의 주요 무기성분은 K, Ca, Mg으로 나타났으며, 잎에서 K과 Ca의 함량이 각각 4,270.24, 617.64 mg/100g으로 뿌리보다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잎과 뿌리에는 sucrose와 glucose가, 줄기에서는 glucose와 fructose가 검출되었다. 총아미노산은 17종이 분리되었으며, 잎의 총아미노산 함량이 4,864.11 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줄기는 1,953.99mg/100g, 뿌리는 1,601.73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주요아미노산으로 잎과 줄기에서는 proline(963.91 및 407.52mg/100g)과 aspartic acid(577.38 및 299.17mg/100g)이었고, 뿌리에서는 glutamic acid(206.34mg/100g)와 arginine(193.23mg/100g)이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linoleic acid($C_{18:2}$), behenic acid($C_{22:0}$) 및 palmitic acid($C_{16:0}$)가 주요 지방산으로 나타났으며, 생리활성 성분으로서의 부위별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잎에서 35.0과 107.63mg/100g으로 줄기와 뿌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김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olatile Flavour of Kimchee)

  • 허우덕
    • 분석과학
    • /
    • 제7권1호
    • /
    • pp.125-132
    • /
    • 1994
  • 김치의 향미는 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들의 독특한 조합에 의한 것이며, 휘발성 향기성분은 함황화합물, 알코올류, 휘발성 유기산 및 터핀유 등 여러 가지 극성 및 비극성 성분들이 매우 복잡하게 혼합되어 있다. 김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조건을 검토한 결과 추출 분리에는 연속식 추출장치보다 dynamic headspace concentration법이 효율적이었고 GC에 의한 분석에는 5% phenyl methyl polysiloxane 컬럼에 의한 분리가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