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e additive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Dietary Synbiotics from Anaerobic Microflora on Growth Performance, Noxious Gas Emission and Fecal Pathogenic Bacteria Population in Weaning Pigs

  • Lee, Shin Ja;Shin, Nyeon Hak;Ok, Ji Un;Jung, Ho Sik;Chu, Gyo Moon;Kim, Jong Duk;Kim, In Ho;Lee, Sung Sil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8호
    • /
    • pp.1202-1208
    • /
    • 2009
  • Synbiotics is the term used for a mixture of probiotics (live microbial feed additives that beneficially affects the host animal) and prebiotics (non-digestible food ingredients that beneficially affect the organ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biotics from anaerobic microflora with pre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oxious gas emission and fecal microbial population in weaning pigs. 150 pigs with an initial BW of 6.80${\pm}$0.32 kg (20 d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5 dietary treatments as follows: i) US, basal diet+0.15% antibiotics (0.05% oxytetracycline 200 and 0.10% tiamulin 38 g), ii) BS, basal diet+0.2% synbiotics (probiotics from bacteria), iii) YS, basal diet+0.2% synbiotics (probiotics from yeast), iv) MS, basal diet+0.2% synbiotics (probiotics from mold), v) CS, basal diet+0.2% synbiotics (from compounds of bacteria, yeast and mold). The probiotics were contained in $10^{9}$ cfu/ml, $10^{5}$ cfu/ml and $10^{3}$ tfu/ml of bacteria, yeast and molds, respectively. The same prebiotics (mannan oligosaccharide, lactose, sodium acetate and ammonium citrate) was used for all the synbiotics. Pigs were housed individually for a 16-day experimental period. Growth performan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tibiotic treatments and synbiotics-added treatments. The BS treatment showed higher (p<0.05) dry matter (DM) and nitrogen digestibility while ether extract and crude fiber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 Also, the BS treatment decreased (p<0.05) fecal ammonia and amine gas emissions.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was also decreased (p<0.05) in BS, YS and MS treatment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Moreover, all the synbioticsadded treatments increased fecal acetic acid concentration while the CS treatment had lower propionic acid concentration than the US treatment (p<0.05) gas emissions but decreased in fecal propionate gas emissions. Total fecal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popula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reatments, while the Shigella counts were decreased (p<0.05) in synbiotics-included treatment. Fecal bacteria population was higher in the YS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p<0.05). The BS treatment had higher yeast concentration than YS, MS and CS treatments, while US treatment had higher mold concentrations than MS treatment (p<0.05).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ynbiotics are as effective as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fecal microflora composition in weaning pigs. Additionally, synbiotics from anaerobic microflora can decrease fecal noxious gas emission and synbiotics can substitute for antibiotics in weaning pigs.

Crude MDI의 정제 및 Monomeric MDI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Monomeric MDI and Purification of Crude MDI)

  • 정종원;김영철;박남국
    • 공업화학
    • /
    • 제7권3호
    • /
    • pp.588-596
    • /
    • 1996
  • Crude MDI를 정제하여 고순도의 Momeric MDI와 반응성이 양호한 Polymeric MDI를 얻기 위해 1차 및 2차 증류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으며, Monomeric MDI의 변색 및 중합방지를 위하여 첨가제 사용 실험을 하였다. 또한 Polymeric MDI는 표준 Polyol system으로 우레탄 반응을 유도하여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1차 증류에서 증류분이 약 32wt%일 때 4,4'-MDI의 함량이 98wt% 이상으로 유지되었으며, 2차 증류에서는 2,4'-MDI의 혼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류분을 약 20wt% 분리하고 잔류분으로 약 9wt%를 남겼다. 환류비를 2이상으로 유지했을 때 최종 증류분인 Monomeric MDI의 응고점은 $38.4^{\circ}C$ 이상으로 나타났다. Monomeric MDI는 매우 불안정하여 착색이 용이하고 자체 중합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및 인계 2차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중합방지제로는 Benzoyl chloride를 사용한 결과 45일 경과 후에도 색은 APHA 20이하이고, Dimer 생성율은 0.36wt% 이하로 유지되었다.

  • PDF

한국 재래식 간장의 니트로소화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Nitrosamine of Korean Ordinary Soysauce)

  • 성낙주;황외자;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5-135
    • /
    • 1988
  • 예부터 우리나라 특유의 조미료로 상용되어온 재래식 간장을 제조함에 있어 강한 발암성 물질인 N-nitrosamine(NA)의 생성유래를 밝히고, 나아가서 이들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방안의 일환으로써 몇몇 종의 식품첨가제를 이용하여 N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동시에 NA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유리아미노산, dimethylamine(DMA),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변화를 검색하였다. 간장숙성중 DMA 질소는 다소간 불규칙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DMA의 억제효과는 ascorbic acid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가 DMA생성을 숙성초기에 크게 억제시켰으나 숙성말기에는 큰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질산염질소는 간장이 숙성되는 과정중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반면 아질산염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scorbic acid가 가장 효과적인 식품첨가제였다. N-nitrosodimethylamine (NDMA)은 간장숙성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대조구의 경우 숙성 30일에 $2.7{\mu}g/kg$, 숙성 90일에 $10.7{\mu}g/kg$검출되었다. 그러나 N-nitrosodiethylamine(NDEA) 및 N-nitrosodipropylamine(NDPA) 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첨가제가 NDMA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시판식염으로 제조한 간장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ascorbic acid 처리구가 $82.2{\sim}87.0%$, sorbic acid 처리구 $25.9{\sim}65.4%$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에서는 $13.2{\sim}63.5%$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순 NaCI로 제조한 간장중 NDMA의 함량은 ascorbic acid 처리구가 1.5㎍/㎏이하로서 대조구에 비해 NDMA의 생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간장중에 존재하는 유리아미노산이 NDMA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것이 본 실험에서 밝혀졌고, 이중 특히 glutamic acid, proline 및 histidine이 주된 아미노산으로 추정되며 모델실험결과 간장중 유리아미노산을 제거할 경우 NDMA의 생성을 30.3%나 촉진시켰다.

  • PDF

대전광역시 양축농가의 축분뇨 관리 실태 및 VOCs 농도 조사 (Investigation on the Management of Livestock Wastes and VOCs Concentration of Farms in Daejeon Area)

  • 이봉덕;이수기;오홍록;허정민;정기철;김성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1호
    • /
    • pp.43-51
    • /
    • 2005
  • 본 조사는 대전광역시 양축농가의 축사 형태, 그리고 축분 및 축사주위의 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사는 조사 농가 중 대부분(94.5%)이 톱밥 또는 왕겨를 축사 바닥에 깔아주고 있어서 분뇨가 축사 밖으로 유출되지 않았다. 돈사의 경우는 대부분이 슬러리식을 채택하고 있었으나 아직도 일부 농가는 바닥 충전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축사로부터의 오물 유출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되었다. 계사의 경우, 육계사는 전부 바닥 깔짚을 사용하고 있었고 산란계사는 스크레퍼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축사로부터의 오염물의 유출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된다. 사슴사는 12개소 중 3개 소는 바닥 충전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10개소는 재래식으로 관리되고 있었으며, 지붕설치 여부와 관련하여 볼 때 7개소는 우천 시 오물의 유출이 우려된다고 하겠다. 생분의 암모니아, 아민류 및 휘발성지방산 함량은 부숙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함황 물질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및 에틸메르 캅탄의 농도는 부숙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축사내의 악취성분은 돈사와 육계사에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미량 검출되었을 뿐 다른 성분은 검출한계 이하였다. 축사 외 부지경계선에서의 악취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악취감 소용 사료첨가제에 대한 축산농가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축산 시설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은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조사 시점이 동절기인 것을 감안하면 좀 더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악취저감 사료첨가제에 대해서는 제조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