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mazon Web Service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University Guidance System using the Alexa (Alexa를 이용한 대학안내 시스템)

  • Kim, Tae Jin;Kim, Dong Hy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96-97
    • /
    • 2017
  • When a new student, a guest, or a student who first visited a school wants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school, he / she searches through a smartphone or a tablet. However, if you visit the homepage of the school, you do not know exactly where the information you want to find is located, and you spend a lot of time. In this paper, we develop a school guidance system using Alexa with speech recognition function. Divide the school guidance system into college introduction, major, college activities, and entrance information topics, and fill in the details by topic. In the lambda function of Amazon Web Services, we use Node.js to create information on topics and provide information to users by voice.

  • PDF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Monitoring the Load Power of Industrial Manufacturing Machine (산업용 생산 장비의 부하 전력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 Wahyutama, Aria Bisma;Yoo, Bongsoo;Hwang, Min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3
    • /
    • pp.469-478
    • /
    • 2022
  •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f developing smart devices and applications to monitor the load power of the industrial manufacturing machine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The smart devices in this paper are divided into two functionalities, which are collecting load power along with operating environment data of industrial manufacturing machines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servers. Load power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devices are uploaded to MariaDB inside the Amazon Web Service (AWS) server. Using the RESTFul API, the uploaded power data can be retrieved and shown on the web and mobile application in the form of a graph to provide monitoring capabilit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the response time from MariaDB to web and mobile applications was measured. The results is ranging from 0.0256 to 0.0545 seconds in a 4G (LTE) network environment and from 0.6126 to 1.2978 seconds in a 3G network environment, which is considered a satisfactory result.

Cloud Computing-Based Processing of Large Volume UAV Images Acquired in Disaster Sites (재해/재난 현장에서 취득한 대용량 무인기 영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처리)

  • Han, Sooh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3
    • /
    • pp.1027-1036
    • /
    • 2020
  • In this study, a cloud-based processing method using Agisoft Metashape, a commercial software, and Amazon web service, a cloud computing service, is introduced and evaluated to quickly generate high-precision 3D realistic data from large volume UAV images acquired in disaster sites. Compared with on-premises method using a local computer and cloud services provided by Agisoft and Pix4D, the processes of aerial triangulation, 3D point cloud and DSM generation, mesh and texture generation, ortho-mosaic image production recorded similar time duration. The cloud method required uploading and downloading time for large volume data, but it showed a clear advantage that in situ processing was practically possible. In both the on-premises and cloud methods, there is a difference in processing time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CPU and GPU, but notso much asin a performance benchmark. However, it wasfound that a laptop computer equipped with a low-performance GPU takes too much time to apply to in situ processing.

A Performance Test of Mobile Cloud Service for Bayesian Image Fusion (베이지안 영상융합을 적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성능실험)

  • Kang, Sanggoo;Lee, Ki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0 no.4
    • /
    • pp.445-454
    • /
    • 2014
  • In recent days, trend technologies for cloud, bigdata, or mobile, as the important marketable keywords or paradigm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re widely used and interrelated each other in the various types of platforms and web-based services. Especially, the combination of cloud and mobile is recognized as one of a profitable business models, holding benefits of their own. Despite these challenging aspects, there are a few application cases of this model dealing with geo-based data sets or imageries. Among many considering points for geo-based cloud application on mobile, this study focused on a performance test of mobile cloud of Bayesian image fusion algorithm with satellite images. Two kinds of cloud platform of Amazon and OpenStack were built for performance test by CPU time stamp. In fact, the scheme for performance test of mobile cloud is not established yet, so experiment conditions applied in this study are to check time stamp. As the result, it is revealed that performance in two platforms is almost same level. It is implied that open source mobile cloud services based on OpenStack are enough to apply further applications dealing with geo-based data sets.

Preliminary Performance Testing of Geo-spatial Image Parallel Processing in the Mobile Cloud Computing Service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위성영상 병렬 정보처리 성능 예비실험)

  • Kang, Sang-Goo;Lee, Ki-Won;Kim, Yong-Se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8 no.4
    • /
    • pp.467-475
    • /
    • 2012
  • Cloud computing services are known that they have many advantages from the point of view in economic saving, scalability, security, sharing and accessibility. So their applications are extending from simple office systems to the expert system for scientific computing. However, research or computing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geo-spatial fields including remote sensing applications are the beginning stage. In this work, the previously implemented smartphone app for image processing was first migrated to mobile cloud computing linked to Amazon web services. As well, parallel programming was applied for improving operation performance. Industrial needs and technology development cases in terms of mobile cloud computing services are being increased. Thus, a performance testing on a satellite image processing module was carried out a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ypes of implementation or services for mobile cloud varies. As the result of this testing study in a given condition, the performance of cloud computing serv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ingle server without cloud service. This work is a preliminary case study for the further linkage approach for mobile cloud and satellite image processing.

Spring Framework Responsive Web AWS Hosting (스프링 프레임워크 반응형 웹 AWS 호스팅)

  • Choi, Hyo Hyun;Son,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149-150
    • /
    • 2017
  • 웹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본인들이 만든 웹 페이지를 서버에 호스팅하여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반응형 웹을 개발하고 개발한 웹 페이지를 아마존 웹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스팅하는 과정을 다룬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POJO(Plain Old Java Object) 방식의 프레임워크로써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을 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 등을 지원하기에 용이하고 객체가 가벼우며, CSS를 사용한 반응형 웹은 모바일에서도 접근하기 쉬우므로 높은 접근성을 제공한다. 이렇게 개발한 웹 페이지를 호스팅 하여 관리하는 것은 특히 입문단계의 개발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Personalize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Personal Sentiment in Cloud Computing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협업 필터링과 개인의 감정을 이용한 개인화 영화 추천 시스템)

  • Sim, Dae-Soo;Kim, Min-Ki;Park, Doo-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393-396
    • /
    • 2016
  • 정보화 시대에 들어오며 수많은 정보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은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에 얻는 것이 어려워졌다. 그중 영화는 수없이 많은 정보를 누적해왔고 개인에 따라 선호하는 영화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개인에 맞는 영화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과 개인의 감정을 이용하고 AWS(Amazon Web Service)를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 개인에 더 적합한 영화 추천 시스템을 제안 한다.

A Webto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in Cloud Computing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구축한 협업필터링 기반 웹툰 추천 시스템)

  • Lee, Keon-Ho;Park, Doo-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451-454
    • /
    • 2016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즐기는 시간이 많아졌다. 이후 모바일 웹에서 서비스되는 만화들이 연달아 대중들의 이목을 끌게 되어 네이버 웹툰, 다음 웹툰 등 웹툰 서비스 및 웹툰 플랫폼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웹툰 데이터의 가치와 신뢰성도 점점 높아지고 있어,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콘텐츠 사업에 많은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나이, 성별, 선호 카테고리, 선호 웹툰 플랫폼 등과 같은 개인 성향 기반으로 협업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고, 웹툰의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인 AWS(Amazon Web Service)를 이용하여 개인 성향에 맞게 웹툰을 추천해주는 웹툰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Cloud-based used bookstore service system (클라우드 기반 중고서점 서비스 시스템)

  • Park, Jong-Seop;Kim, Gyu-min;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99-10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공 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향상시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해마다 시작되는 학기에 따라 학생들은 전공 서적을 사야하고 한 학기 평균으로 2~4권의 교재 구매한다. 전공 서적의 평균 가격은 서적 당 2만원이 넘는 가격으로서 학생들에겐 부담이 되는 가격이다. 최근에 부상하고 있는 '애브리타임'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은 각 대학교별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책방'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교내에 있는 학생들 간에 중고서적을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책방'서비스는 전공 서적뿐만이 아닌 교양서적, 타 학부 전공서적 등 다양한 서적을 구매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필요한 전공서적을 한 눈에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직관적으로 원하는 서적을 찾거나 구매할 수 있게 쉬운 UI구성의 애플리케이션과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고 정보의 보안이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융합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다양한 카테고리 구성을 통해 교내에 편리한 커뮤니케이션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 PDF

A Study on the Diffusion of Web-Based Shopping Systems (웹기반 쇼핑시스템의 확산에 관한 연구)

  • 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97-604
    • /
    • 2003
  • 웹기반 쇼핑시스템(Web-Based Shopping Systems: WBSS)이 매우 급속한 속도로 글로벌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확산되고 있다. 웹기반 쇼핑시스템은 인터넷에 기반하여 제품(product)나 정보(Information) 그리고 서비스(service)에 대한 상거래 행위나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아마존(amazon.com)과 같은 닷컴기업들은 웹기반 쇼핑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에 해당된다. 아마존(amazon.com)의 예와 같이 기업들이 웹기반 쇼핑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이전의 상거래와는 전혀 다른 유형의 사업(business)을 전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경제의 핵심적 동인(enabler)인 웹기반 쇼핑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 뿐만 아니라, 웹기반 쇼핑시스템의 성공적 구현 및 운영에 관심있는 기업인들에게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전자상거래 (electronic commerce)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역할을 과대평가하거나 혹은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사회과학의 어떤 연구에서는 기술(technology)의 무분별한 수용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고, 공학과 컴퓨터 분야의 연구에서는 기술적 측면에만 집중하여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이 있다. 위와 같이 어느 한쪽에 편협된 시각에 근거하여 웹기반 쇼핑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확산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쇼핑시스템의 확산에 관련된 균형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경영(management)과 기술 (technology)을 조화롭게 고려한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즉, 본 논문에서는 기술적 측면(technical aspect)과 경영적 측면(management aspect)을 동시에 고려하여 웹기반 쇼핑시스템의 주요만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정보통신 기술(ICT)의 확산에 관한 연구에서 두 가지 관점의 통합적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고자 한다. 그에 덧붙여 웹기반 쇼핑시스템과 다른 정보시스템을 비교하여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웹기반 쇼핑시스템의 주요만 특성들이 두가지 연구관점에서 어떻게 개념화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만 분석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측면과 경영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웹기반 쇼핑시스템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본 논문에서 적용한 기술(technical)과 경영(management)의 조화로운 연구관점이 향후 정보통신 기술이나 시스템, 그리고 전자상거래에 관련된 일련의 연구에 적응되어 보다 균형잡힌 논의와 분석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