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veoliti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들쥐 생식 후에 발생한 만성 호산구성폐렴 1예 (A Case of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after Ingestion of Wild Rats)

  • 최형석;김호중;이혁표;심태선;조상헌;김영환;심영수;김유영;김태진;김용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194-201
    • /
    • 1991
  • The Pulmonary Infiltration and Eosinophilia Syndrome (PIE Syndrome) includes a wide spectrum of clinical disorders with pulmonary infiltrates and peripheral eosiophilia. It is poorly understood and ill-defined group of disorders. Often its etiology is poorly delineated. There may exist an eosinophilic type of alveolitis in the category of PIE syndrome. It shows characteristic clinical picture, peripheral eosinophilia and especially dramatic improvement following therapy with corticosteroids. We report a case of the syndrome in 43-year-old man with brief review of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is case,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open lung biopy which showed characteristic eosinophilic alveolitis accompanied by periphiral eosinophilia. Corticosteroid was administered with rapid clinical improvement in this case.

  • PDF

활동성 폐 결핵에서의 Tc-99m-MIBI 섭취 : 1예 보고 (Tc-99m-MIBI Uptake in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 A Case Report)

  • 이창호;박찬희;황희성;배문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9-381
    • /
    • 1996
  • Tc-99m-MIBI는 비특이적 반응으로 양성 비종양성 질환의 일종인 활동성 폐결핵에 섭취가 증가되며, 이의 치료 후 추적 관찰에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만성 폐결핵 환자에 있어 방사선학적으로나 객담검사는 음성이었으나 재발이 의심될 때, tuberculin skin test 상 양성이나 단순 흉부 검사상 확실치 않을 때 유용하게 이용되리라 사료된다.

  • PDF

느타리버섯 소포자 형성 균주 개발 (Improvement of sporeless strain i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신평균;오세종;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3-56
    • /
    • 2006
  • 느타리버섯의 포자는 버섯재배 농업인의 호흡기계통질환인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느타리버섯의 무포자형성 균주는 재배농업인의 건강에 도움을 줄뿐 아니라 다른 재배사에 바이러스병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포자 형성 느타리버섯을 육성하기 위해 무포자형성 균주의 선발 및 특성검정 결과 ASI 2069 균주가 무포자이면서 수량성이 높으나 형태적으로 상품적 가치가 없어 원형질체 재생에 의한 단핵화를 시도하여 neohaplont를 분리하였다. 원형 1호(ASI 2180) 및 무포자 느타리간의 단핵교배 (Mon-Mon)를 시도한 결과 128교잡체를 얻어 이 중 30균주를 특성 검정한 다음 자실체형성 및 담자 포자비산량 조사에 의해 소포자형성 유망 13균주를 선발하였다. 그 중에서 G192 교잡체가 소포자이면서 수량성이 좋은 가장 우량 균주로 선발되었다.

  • PDF

Moist and Mold Exposure is Associated With High Prevalence of Neurological Symptoms and MCS in a Finnish Hospital Workers Cohort

  • Hyvonen, Saija;Lohi, Jouni;Tuuminen, Tamar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2호
    • /
    • pp.173-177
    • /
    • 2020
  • Background: Indoor air dampness microbiota (DM) is a big health hazard. Sufficient evidence exists that exposure to DM causes new asthma or exacerbation, dyspnea, infections of upper airways and allergic alveolitis. Less convincing evidence has yet been published for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of dampness and mold hypersensitivity syndrome). Method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extrapulmonary in addition to respiratory symptoms with a questionnaire in a cohort of nurses and midwives (n = 90) exposed to DM in a Helsinki Obstetric Hospital. The corresponding prevalence was compared with an unexposed cohort (n = 45). Particular interest was put on neurological symptoms and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respiratory symptoms were more common among participants of the study vs. control cohort, that is, 80 vs 29%, respectively (risk ratio [RR]: 2.56, p < 0.001). Symptoms of the central or peripheral nervous system were also more common in study vs. control cohort: 81 vs 11% (RR: 6.63, p < 0.001). Fatigue was reported in 77 vs. 24%, (RR: 3.05, p < 0.001) and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 in 40 vs. 9%, (RR: 3.44, p = 0.01), the so-called "brain fog", was prevalent in 62 vs 11% (RR: 4.94, p < 0.001), arrhythmias were reported in 57 vs. 2.4% (RR: 19.75, p < 0.001) and musculoskeletal pain in 51 vs 22% (RR: 2.02, p = 0.02) among participants of the study vs. control cohort,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osure to DM is associated with a plethora of extrapulmonary symptoms. Presented data corroborate our recent reports on the health effects of moist and mold exposure in a workplace.

세 마리 개에서 호산구성 기관지폐병증의 영상학적 특징 (Imaging Features of Eosinophilic Bronchopneumopathy in Three Dogs)

  • 지서연;이강재;김준영;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4-197
    • /
    • 2012
  • 호흡곤란과 기침을 주 증상으로 보이는 세마리 개가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혈액검사와 더불어 영상학적 검사가 진행되었다. 한마리 개에서는 흉부 방사선 사진상 연부조직 밀도를 보이는 종괴가 폐엽에서 확인 되었고 CT 검사를 통해 종양 가능성이 배제되었다. 두마리 개에서 폐에 기관지 확장증이 동반된 기관지 간질 침윤이 확인되었고 세 마리 개 모두 조직병리학적 검사 혹은 세포학적 검사를 통해 호산구성 기관지폐병증이 진단되었다. 약 처방 후 임상 증상은 신속히 개선되었고 영상검사상에서 병변의 감소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infratemporal fossa abscess and their significances

  • Rataru, Horatiu;Cho, Michael;Lee, Yong-Chan;Yang, Byoung-Eun;Kim, Seong-Gon;Kim, Jwa-Young;Kim, Jin-Cheol;Kim,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1호
    • /
    • pp.40-45
    • /
    • 200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of the treatment of infratemporal fossa abscess (IFA). Study design.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at the Dept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Hallym University and "Iuliu Hatieganu" University of Medicine and Pharmacy. Ten-year records of patients were reviewed in Romania and six-year records were reviewed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Results. A total of 36 cases were found to be IFA (12 males and 24 females: average age; $36.3{\pm}15.5$ yrs: 34 cases from Romania and 2 cases from Korea). The annual frequency of IFA in Romanian and Korean hospitals was 3.40 and 0.33 respectively (P<0.001). The etiology was septic anesthesia (33.3%), infection occurring after extraction (30.6%), periapical lesion (13.9%), impacted third molar (8.3%), post-extraction alveolitis (5.6%), and unknown (8.3%). A successful outcome was seen in 27 patients (75.0%) after initial treatment. The main complication after initial treatment was restricted movement of the mouth (9 cases). Conclusion. The etiology of IFA was various and minimal swelling hampered early diagnosis. To prevent IFA, preoperative painting with antiseptic agent must be stressed and proper drainage proved important to relieve pain and to prevent further complications.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세포 검사 (Analysis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ells from the Patients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

  • 김효석;문수남;정성환;이광희;김현태;이상무;어수택;김용훈;박춘식;진병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6호
    • /
    • pp.604-615
    • /
    • 1994
  • 연구배경: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세포구성에 대한 분석은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에서 폐조직검사를 보완하거나 대신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며 폐포염의 성격을 가장 신속하게 알 수 있고,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감별진단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아직 기관지폐포세척세포에 대한 분석자료가 많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정상인의 기관지폐포세척세포와 여러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기관지폐포세척세포를 비교분석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일차적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법: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채취하여 세포를 염색하여 감별, 계수하였으며,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의 차이 및 정상군과 여러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세포의 백분율, 절대수치 및 분포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에서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는 세척액회수율, 총세포수, 세척액 ml당 세포수, 임파구백분율 및 임파구수, 대식세포백분율 및 대식세포수, 호중구백분율 및 호중구수, 호산구백분율 및 호산구수, FEV1(%), FVC(%)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세포수는 교원성질환,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임파구백분율은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대식세포는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호중구는 교원성 질환,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 속립성결핵에서 그리고 호산구는 교원성 질환, 과민성폐장염, 특발성폐섬유증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질환별로 폐포염의 양상을 알 수 있었으나 각 질환간의 염증세포의 빈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세포구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많은 ILD 증례에서 폐포염의 존재를 알 수 있으나 ILD의 감별진단에 응용하기는 어렵다.

  • PDF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들의 폐포대식세포의 chemokine(MIP-1, IL-8) 분비능에 관한 연구 (Chemokine Secretion From Alveolar Macrophages in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DILD))

  • 김동순;백상훈;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54-964
    • /
    • 1996
  • 배경: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DILD)들은 처음에 폐포염(alveolitis) 으로 시작해 섬유화로 진행하여 심한 폐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질병군들로서 병의 종류에 따라 침윤되는 염증세포들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 근래에 염증세포들의 침윤을 유도하는 화학주유물질들(chemokine)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화학구조에 따라 C-X-C형과 C-C형으로 분류되며, 구조만 다를 뿐 아니라 작용하는 세포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로 분비되는 화학주유물질의 종류에 따라 폐포염의 종류가 결정이될 가능성이 많다. 이에 연구자들은 폐포염과 화학주유물질과의 연관성 및 폐포대식세포 (AM)가 이들 화학주유물질의 주 근원이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DILD 환자들에서 cytokine을 분비하여 발병기 전에 주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AM 에서의 C-X-C 형 IL-8 과 C-C 형인 MIP- 1 ${\alpha}$ 의 분비 및 BAL액내에서의 이들 화학주유물질들의 농도를 폐포염의 양상을 잘 반영한다고 알려진 BAL 액내 세포양상과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및 방법: 대상은 임상소견과 조직검사로 확진된 lPF 환자 10명, 교원성질환과 연관된 폐섬유증 환자 4명, 폐유육종중 10명과 과민성폐장염 환자 2명, 총 26명과 정상 대조군 7명이었고, 이들에서 BAL을 시행하여 그 세포구성의 변화를 관찰하고, AM을 분리배양하여 그 상청액및 BAL액에서 의 IL-8과 MIP- 1 ${\alpha}$ 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M 에서의 IL-8 분비는 DILD 환자들에서 $8.15{\pm}4.58$ ng/ml로 정상 대조군 ($1.10{\pm}0.93$ ng/ml)보다 유의하게 (p=0.0003) 증가하였고, AM에서 분비된 IL-8 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484, p=0.0068), 또 BAL액내 dla파구의 백분률 (r=0.592, p=0.0004)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AM의 백분플 (r=-0.505, 0.0032)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AM에서의 MIP- 1 ${\alpha}$ 분비는 DILD환자군에서 ($2.41{\pm}1.45$ ng/ml) 정상인보다 ($0.63{\pm}0.30$ ng/ml, p=0.0031)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MIP- 1 ${\alpha}$ 의 분비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368, p=0.0456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AM의 수효와 연관이 있는 경향을 (r=0.356, p=0.0579) 보어 주었을 뿐이었다. BAL 액내의 IL-8 농도는 DILD 환자군에서 ($40.4{\pm}34.5$ pg/ml)로 정상인의 $3.90{\pm}2.47$ pg/ml보다 높았고 (p=0.0094), IL-8 농도와 BAL 액내 총 세포수(r=0.484, p=0.0068), AM의 백분율(r=-0.505, p=0.0032), 임파구의 백분율 (r=0.592, p=0.0004) 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IL-8 이 폐내 침윤된 염증세포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BAL액내 MIP- 1 ${\alpha}$ 의 농도는 정상인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IL-8과 MIP- 1 ${\alpha}$ 모두가 DILD의 발병기전에 작용하나, IL-8 이 폐포염의 양상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역한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특발성 세기관지중심성 간질성 폐렴 1예 (A Case of Idiopathic Bronchiolocentric Interstitial Pneumonia)

  • 강지영;정정임;이교영;김태정;이정우;이욱현;정의성;윤형규;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230-235
    • /
    • 2009
  • 특발성 세기관지중심성 간질성 폐렴은 염증 및 섬유화가 주로 소기도 및 주변을 침범하고, 부분적으로 폐포로 퍼져나가는 특징을 보이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발표된 증례가 없다. 저자들은 한 달간의 호흡곤란으로 내원한 남자에서 방사선학적으로 망상형 병변과 중심소엽성 결절을 보이면서 조직 검사상 세기관지에 집중된 병리 소견을 보여 세기관지중심성 간질성 폐렴을 진단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