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tic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유충의 형질을 이용한 북미산 벼룩잎벌레아과 (딱정벌레목 잎벌레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Part 1. Genus Altica from North America (Systematic Study of Larvae of North American Alticinae (Coleoptera: Chrysomelidae) by Larval Characters - Part 1. Genus Altica from North America)

  • Jong Eun Lee;Jae Hun Sh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1호
    • /
    • pp.19-31
    • /
    • 2003
  • 북미산 Altica속 8종 (Altica ambiens alni, A.bimarginata, A.brisleyi, A.litigata, A.potentillae, A.sylvia, A.torquata and A.ulmi) 유충에 대한 연구로서, 이들 북미산 유충은 처음 기재된다. 또한 이들 유충의 검색표 및 분류학적 소견도 언급한다.

백호에서의 전이성 유선암종 (Metastatic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in a Tiger (Panthera tigris altica))

  • 신남식;권수완;김양범;김방현;오상연;김대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89-392
    • /
    • 2002
  • A 17-year-old female tiger (Panthera tigris altica) was found dead after suffering from continuously growing mass at the right mammary gland area. At necropsy, a firm tan mass approximately 25 cm in diameter was noted at the ventral abdomen. The mass was not fixed to the adjacent tissue and mottled tan to red on cut sections. Chains of similar nodules ranging from 2 to 5 cm in diameter were also present along the right mammary glands region. Histologically, the neoplastic masses consisted of lobules that were filled with pleomorphic neoplastic cells and separated by fibrious conntective tissue. The neoplastic cells have hyperchromatic nuclei with prominent nucleolus and moderate amount of cytoplasm. The degree of mitosis was high. Multiple areas of necrosis, hemorrhage, mineralization and tumor emboli were also noted. Metastasi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lung, liver, spleen, kidney, and adrenal gland were observed. Based on the gross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s, a diagnosis of lobular type metastatic mammary gland carcinoma was made.

Siberian Tiger (Panthera tigris altica)01서 Actinomycotic Mycetoma에 의한 복막염의 발생 증례보고 (Actinomycotic mycetoma in the peritoneal cavity of a Siberian tiger (fgH1Arrg rigrir gfric6))

  • 정수연;윤병일;김대용;권수완;이기환;황범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1-173
    • /
    • 1998
  • A case of peritonitis caused by Actinomycotic spp is reported in a 12-year-old male Siberian tiger. Grossly, the mesentery was markedly thickened and contained numerous 1 to 3 mm diameter, white to yellowish foci. Fibrous adhesion showing tumorous thickening was also noted between the mesentery and abdominal organs. Histologicallyi the thickened mesentery and masses consisted of necrotic center with bacterial colonies surrounded by eosinophilic club (Splendore-hoeppli), neutrophils, macrophages, a few Iymphocytes and fibrosis. The bacterial colonies stained positvely with Gram's stain but were negative on acid-fast and periodic acid-Schifr method. Howeverr since the bacterial culture was not availablei the definitive causative agent was not able to specified.

  • PDF

야외곤충에 기생하는 미포자충류에 대하여 (The Parasite of Microsporidia in Insects)

  • 채수근;박대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4-60
    • /
    • 1986
  • 야외곤충에 대한 미포자충의 감염여부와 곤충에서 검출된 미포자충의 누에에 대한 감영성 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채집한 66종의 야외곤충으로부터 미포자충이 검출된 야외곤충은 똥쉬파리, 꿀벌, 배추흰나비(유충), 아이노각다구, 등록색잎벌레, 벗나무풍뎅이, 노랑테불나방, 밀잠자리, 먼지벌레 및 벼잎벌레 등 10종이었다. 2. 추출된 미포자들을 크기에 따라 분류한 바 똥쉬파리로부터는 3종, 그리고 다른 곤충으로 부터는 각기 다른 1종의 미포자충이 검출됨으로써 총 12종의 미포자충이 분리되었다. 3. 똥쉬파리, 꿀벌 및 배추흰나비(유충)에서 검출된 미포자충들을 누에에의 교우감영성을 실험한 바 어느 것도 교유감염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쌍자엽 식물아강(관속식물문 : 피자식물강)의 잡초가해 곤충상 (Phytophagous Insect Fauna of Dicotyledoneae(Tracheophyta : Angiospermae) Weeds)

  • 추호렬;우건석;;박영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6-508
    • /
    • 1992
  • 한국산 쌍자엽식물아강에 속하는 잡초가해곤충과 기주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잡초 39속 54종으로부터 곤충이 가장 많이 채집된 것은 마디풀목으로 22속 24종이었고 쐐기풀목과 중심자목에서는 17속 17종이 채집되었다. 그외의 목에서는 쥐방울덩굴목의 1속 1종에서 통화 식물목의 12속 12종까지 다양하였다. 쐐기풀목에서 채집된 17종의 곤충중 삼과의 환삼덩굴에서 Bares sp. 바구미가 기주특이성을 나타내면서 잎을 산공형으로 가해하고 있었고, 마디 풀목에서는 참소리쟁이와 소리쟁이에서 소리쟁이진딧물과 좀남색잎벌레의 가해능력이 뛰어났으며 기주특이성이 있었다. 여뀌류와 고마리에서는 잎벌레인 Lypesthes japonicus의 가해능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길쭉바구미류(Lixus spp.)도 빈번하게 채집되었다. 그리고 개여뀌에서는 처음으로 백합관총채벌레가 채집되었다. 며느리밑씻개에서는 미동전된 자나방이, 며느리 배꼽에서는 털꼭지바구미(Miarus atricolor)의 가해가 심하였다. 중심자목에서는 흰명아주와 명아주에서 애남생이잎벌레가 기주특이성을 나타내면서 잎을 가해하고 있었다. 한편, 콩밭에서 콩잎을 가해하고 있던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이 하층식물인 명아주와 개비름의 잎을 심하게 가해하고 있었는데 잡초가 해충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금양목의 달맞이꽃류에서는 벼룩잎벌레(Altica oleracea)가 종종 채집되었고 통화식물목의 까마중은 목화진딧물의 피해를 받고 있었으며 홍다리줄벼룩잎벌레(Phylliodes brettinghami)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질경이목의 질경이에서는 노린재류외에 줄무늬긴발벼룩잎벌레(Longitarsus scutellaris), 보라잎벌레(Hemipyxis plagioderoides)가 처음으로 기록되면서 기주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노린재류도 많은 잡초에서 빈번하게 채집되었으나 가해유무는 확인하기 어려웠고 섬서구메뚜기도 많은 종류의 잡초를 가해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