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t a 1 gen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난소절제 쥐에서 염증에 대한 수영운동의 영향 (The effect of swimming exercise on inflammation in ovariectomized mice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 정선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56-367
    • /
    • 2021
  • 본 연구는 폐경 후 비만 여성의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수영운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영운동을 하지 않은 모의수술군(S/N), 수영운동을 하지 않은 난소절제 수술군(O/N) 및 수영운동을 실시한 난소절제 수술군(O/S)으로 구분되어 8주 동안 고지방식이 사료를 섭취하면서 사육되었다. 간 조직의 지방축적, 간 무게 및 혈청 속 AST와 ALT는 S/N에 비해 O/N에서 증가하였으나, O/N에 비해 O/S에서는 감소하였다. S/N에 비해 O/N는 간 조직에서의 IκBα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고 MCP-1, IL-6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O/N에 비해 O/S는 간 조직에서의 IκBα이 증가하였고 MCP-1, IL-6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난소절제 후 고지방식이의 섭취로 비만이 유도된 비만 쥐에서 수영운동이 비만으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염증을 개선함으로써 건강증진에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만성 알코올과 철분의 과잉 섭취가 흰쥐의 간 세포 미토콘드리아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alcohol and excessive iron intake on mitochondrial DNA damage in the rat liver)

  • 박정은;이정란;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5호
    • /
    • pp.390-39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 종 랫트 수컷을 대조군, EtOH군, Fe군, EtOH + Fe군으로 나누어, 알코올과 철분을 액상 사료로 8주간 공급한 후, 간 조직과 간 세포 mtDNA의 손상 정도를 알아보았다. EtOH + Fe군은 대조군, EtOH군, Fe군의 다른 세 군에 비해 혈청 ALT와 혈청 AST 수치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간 조직 검사의 결과에서도 다수의 지방구, 염증성 세포 침입 및 조직의 괴사가 관찰되는 등 가장 심한 간 손상이 확인되었다. DNA 손상 여부를 긴 영역 PCR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만성적인 알코올과 철분에 의한 노출은 간 세포의 mtDNA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 DNA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에 관여하는 Cox1과 Nd4 유전자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으로 분석한 결과, 알코올 또는 철분은 간 세포의 Cox1 mRNA와 Nd4 mRNA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만성 알코올 또는 과잉의 철분에 의한 간 손상에 mtDNA 손상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관여함을 제시한다.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affects drug metabolizing enzyme, CYP450 in rat liver.

  • Hyon Y. Oh;Kim, Soon S.;Young S. Chang;Yhun. Y. Shee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42-142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on rat liver drug metabolizing enzy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DB on improving hepatic toxicity in rat liver. After DDB was administered into male rats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mRNA level of CYP1A1 and CYP2B1 was measur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DB treatment resulted in increase in CYP2B1 mRNA level whereas there was no change in CYP1A1 mRNA level. This effect of DDB was time dependent reaching maximal level by 2-day treatment. DDB dose response study showed that 50mg/kg DDB induced CYP2B1 mRNA to maximal level and DDB icreased CYP2B1 gene expression with dose-dependent manner. Based on studies of lipid peroxidation, serum ALT and AST levels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DDB protection on CCl4 induced hepatotoxiccity.

  • PDF

지리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식물화학적 변이 양상 -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 (Phytochemical variat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uercus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Jiri, Korea - Their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 박진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4-58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와 졸참나무(Q. serrata Murray)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식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위도에 따라 지역 간 차이가 난다. 중부지방에서는 신갈나무가 해발 100~200m의 낮은 고도에서부터 고재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나 남부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발 300m 이하 저지대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졸참나무는 중부지방의 경우 저지대에서 주로 관찰되며 해발 500~700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남부지방의 경우 해발 1,000m이상에서도 관찰된다. 두 종은 분포대가 달라 신갈나무는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서 졸참나무는 주로 낮은 해발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지리산 지역을 위주로 설악산, 소백산, 마니산 등에서 채집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잎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2종 37개체로부터 총 2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4 종류의 acylated flavonoid compound가 동정되었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며, acylated compound인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분포한다는 점에서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과 구분된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며 또한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고, diglycoside인 kaempferol 3-O-rhamnosylglucoside를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두 종 개체들의 flavonoid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의 개체들은 대체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정량적으로 또는 정성적으로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지리산 지역에서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 교배 및 교잡이입 가능성으로 볼 때, 형태적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중간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물참나무는 두 종을 부모종으로 하는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분류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Hepatic Gene Expression Analysis of Gadolinium Chloride Treated Mice

  • Jeong, Sun-Young;Lim, Jung-Sun;Hwang, Ji-Yoon;Kim, Yong-Bum;Kim, Chul-Tae;Lee, Nam-Seob;Yoon, Seok-Joo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1호
    • /
    • pp.21-28
    • /
    • 2006
  • Gadolinium chloride ($GdCl_{3}$) was known to block Kupffer cells and generally its toxicity study based on blocking these cells. Therefore, $GdCl_{3}$ frequently used to study toxic mechanisms of hepatotoxicants inducing injury through Kupffer cells. We also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dCl_{3}\;on\;CCl_{4}$ toxicity, typical hepatotoxicants. Administration of $GdCl_{3}$ to mice significantly suppressed AST (asparatate amino transferase), ALT (alanine amino transferase) levels which were increased by $CCl_{4}$ treatment. However, $GdCl_{3}$ didn't inhibit the phagocytotic activity of Kupffer cells. Malondialdehyde (MDA) is a good indicator of the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this study, MDA increased by $GdCl_{3}$ administration not by $CCl_{4}$. To understand the toxicity of $GdCl_{3}$, we analyzed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 of mice liver after acute $GdCl_{3}$ injection. Four hundred fifty two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ith more than 2-fold in at least one time point among 3 hr, 6 hr, and 24 hr. Several genes involved in fibrogenesis regulation. Several types of pro-collagens (Col1a2, Col5a2, Col6a3, and Col13a1)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were up regulated during all the time points. Genes related to growth factors, chemokines, and oxidative stress, which were known to control fibrogenesis,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addition, $GdCl_{3}$ induced abnormal regulation between lipid synthesis and degradation related genes. These data will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influence of $GdCl_{3}$ to hepatotoxicity.

염분 변화에 따른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의 삼투조절 유전자 발현변화 (Gene Expression Profile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fter Salinity Challenge)

  • 최영광;박흠기;김이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76-684
    • /
    • 2021
  • Euryhaline teleost have extraordinary ability to deal with a wide range of salinity changes. To study the seawater adaptability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body weight 638±54 g, length 38.6±2 cm) to salinity increase fish were transferred from freshwater to 7, 14, 21, 28 and 32 psu and checked for mortality over 5 days. No mortality was observed in 0-32 psu. In fish transferred to 0-32 psu, blood osmolality was maintained within physiological range. The changes of serum enzyme activities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showed no significant level during experimental period. To explore the underlying molecular physiology of gill and kidney responsible for body fluid regulation, we measured mRNA expression of five genes, Na+/K+/2Cl- cotransporter1 (NKCC1), aquaporin3 (AQP3),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glucocorticoid receptor (GR) and growth hormone receptor (GHR) in response to salt stress. Based on our result, rainbow trout could tolerate gradual transfer up to 32 psu for 5 days without mortality under physiological stress. This study suggests to alleviate osmotic stress to fish, a gradually acclimation to increasing salinity is recommended.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돼지 생산 (Production of Transgenic Pig Harboring the Cellulase Digest Gene(CelD))

  • 박진기;이연근;민관식;이창현;이향흔;김광식;장원경;김진회;이훈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7-94
    • /
    • 2002
  • 본 연구는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CelD)가 도입된 형질전환 돼지를 생산하기 위해 사계절동안 수행하였다. 약 8∼15개월령의 순종의 랜드레이스경산돈 및 미경산돈 126두는 유전자 미세주입을 위한 1세포기 단계의 수정란 채란 및 이식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 방법은 PG600 주입 후 9일간 매일 20mg의 altrenogest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Altrenogest를 9일간 급여 후 1000IU의 PMSG와 750IU의 hCG를 주입하므로서 과배란을 유도하였다. 미세주입을 위한 유전자는 Rat elasterase promoter에 CelD유전자를 연결하여 준비하였으며, 호르몬 처리후 91두의 공란돈으로부터 1,422개의 난자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95.6% (1,359/1,422)는 DNA미세주입을 위해 전핵을 관찰 할 수 있는 1세포기의 수정란이었다. 이중 유전자가 미세주입된 725개의 난자를 35두의 수란돈에 이식하였으며 13두의 임신돈으로부터 65두의 자돈을 생산하였다. 한편 수란돈당 수정란 이식수가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약 21∼24개의 수정란을 이식한 구에서 임신율이 50%로 타구의 20.0%(20개 이하)와 33.3%(25개 이상)보다 높았으며, 꼬리조직으로부터 분리된 DNA의 PCR검정결과 65두중 5두가 형질전환 양성 반응을 나타내어 7.69%의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체반응기를 통한 형질전환 돼지생산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GamiSamgieum (SGMX) on Hyperlipidemia

  • Kim, Hun;An, Joung-Jo;Jo, Hyun-Kyung;Yoo, Ho-Rhyong;Seol, In-Chan;Kim, Yoon-Sik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6-97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iSamgieum (SGMX) on hyperlipidemia using an animal model. Additionally, the underlying mechanisms were investigated by determination of gene expressions related with lipid metabolism. Methods : Forty mice were selected for use in this experiment, and then divided into five groups; Naive, Induced, SGMX 100, SGMX 200, and Lovastatin group as positive control with 8 mice each, and their blood was collected for analysis of blood and serum parameters. Results : Administration of SGMX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liver weight and the macrovacuolar cytoplasmic alterations in histopathologic finding. SGMX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protected the liver from pathologic elevation of AST and ALT and from lipid peroxidation. SGMX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lowered total cholesterol levels and TG, and partially upregulated the gene expression of LCAT, CYP7A1 and LDL-R receptor. Conclusion : SGMX is suggested to possess hypolipidemic effect, and thus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herbal hypolipidemic via further studies.

  • PDF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 보충이 지방간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of purple sweet potato on nonalcoholic fatty liver in high fat/cholesterol-fed mice)

  • 이유진;양윤경;김유진;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1-8
    • /
    • 2015
  •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의 간 보호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지방간 유도를 위해 8주간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였으며,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은 1.25, 2.5, 5%의 수준으로 식이에 함께 넣어 같은 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간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혈장 ALT 활성도, 간 및 혈장의 TC 수준을 바탕으로 비알콜성 지방간 모델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의 급여는 식이섭취량을 감소시켜 총 에너지 섭취량은 시험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포화지방을 급원으로 하였을 때 지방세포의 비대와 혈장 TC, 간 TC, 간의 지방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을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섭취시킨 결과,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한 지질대사 이상을 유의하게 변화시키지 못해 혈액 및 간 손상 지표를 개선시키지 못하였으나, 지방조직의 크기는 작게 유지하고 간의 지방구 형성은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은 지질대사 개선을 통해 간 보호 효과를 갖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이 지방세포-간의 상호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ExDB: Human EXon DataBase for Alternative Splicing Pattern Analysis

  • Park, Junghwan;Lee, Minho;Bhak, J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3권3호
    • /
    • pp.80-85
    • /
    • 2005
  • HExDB is a database for analyzing exon and splicing pattern information in Homo sapiens. HExDB is useful for specific purposes: 1) to design primers for exon amplification from cDNA and 2) to understand the change of ORFs by alternative splicing. HExDB was constructed by integrating data from AltExtron which is the computationally predicted exon database, Ensemble cDNA annotation, and Affymetrix genome tile published recently. Although it may contain false positive data, HExDB is good starting point due to its sensitivity. At present, there areas many as 2,046,519 exons stored in the HExDB. We found that $16.8\%$ of the exons in the database was constitutive exons and $83.1\%$ were novel gene ex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