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ine grassland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3초

산지초지를 위한 대관령 표고 800m에서 예취횟수와 시비수준이 목초의 식생구성비율,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Frequency and Fertilization Level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Productivity of Alpine Grassland at 800m Altitude)

  • 오승민;김지융;이배훈;;;;성경일;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4-128
    • /
    • 2016
  • 본 시험은 고랭지 표고 800 m에서 채초용 목초에 적합한 시비수준 및 예취횟수를 결정할 목적으로 시비수준 및 예취횟수가 목초의 식생구성,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시험은 표고 800 m인 고령지시험장(현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서 3년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주구를 예취횟수로 하여 2회 및 3회, 세구를 시비수준으로 하여 관행시비구(질소-인산-칼리, 280-200-240 kg/ha) 및 소비구(질소-인산-칼리, 200-200-200kg/ha)로 두었다. 혼파조합 및 파종량(kg/ha)은 Orchardgrass 18, Tall fescue 9, Timothy 8, Kentucky bluegrass 3 및 Ladino Clover 2로 전체 파종량은 40 kg/ha이었다. 예취횟수 및 시비수준 간 목초의 식생구성비율은 처리에 관계없이 화본과 목초가 93.2~95.3%로 화본과목초 우점의 초지였다. 예취횟수 간 평균건물수량은 2회예취구 9.8 ton/ha 및 3회예취구 8.6 ton/ha로 처리 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2회예취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비수준 간 평균건물수량은 관행시비구 9.8 ton/ha 및 소비구 8.7 ton/ha로 관행시비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예취횟수 간 사료성분에서 조단백질함량은 2회예취구와 3회예취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3회예취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반면 조섬유함량은 2회예취구와 3회예취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2회예취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시비수준 간 사료성분은 2회예취 및 3회예취 공히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유기물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관령지역 표고 800 m에서 목초의 적정 예취횟수 및 시비수준은 건물수량면에서 각각 2회예취 및 관행시비구(질소-인산-칼리, 280-200-240kg/ha)가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고냉지에서의 옥수수 추비시기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op Dressing Time on Productivity at Alpine Area)

  • 한성윤;손삼규;전기준;지병천;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9-182
    • /
    • 1990
  • 본 시험은 고랭지(해발 800m)에서 매초용 옥수수의 추비시기가 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원19호와 강원재래백을 공시하여 198년年 5월 16일에 국럽종축원 대관령지원 시험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힌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추비시용 시기의 조만에 따라 작물생육특성인 초장, 웅수의 출현기, 경의 직경, 착수고등의 변화는 거의 없였으며 lOa당 건물수량 및 식물체부 위별 건물수량비솔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품종간에 있어서 강원재래백이 건물수량 및 경엽수량비솔이 수원19호보다 많은데 대하여 이삭의 비율은 수원19호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보아 해발 800m의 고랭지에서 매초용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추비시용시기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랭지 표고 600m에서 예취횟수와 시비수준이 목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and Level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Forage Productivity at Alpine Grassland of 600 m Altitude)

  • 성경일;김곤식;이준우;김병완;이종경;정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본 실험은 고랭지 산지초지에서 예취횟수와 시비수준이 목초의 식생변화와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3년간 실시하였다. 실험은 표고 600m에서 예취횟수를 2회와 3회, 시비수준을 ha당 질소-인산-칼리 200-200-200kg의 소비구 및 280-200-240kg/ha의 표준시비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화본과목초의 비율은 2회 예취가 3회 예취보다 높았으며, 클로버 비율은 3회 예취한 소비구에서 $16.3\%$로 가장 높았다. 잡초는 모든 처리구에서 $3.7 {\~} 6.7\%$ 비율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평균 건물수량은 예취횟수와 시비수준 처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3회 예취구에서 표준시비구가 소비구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3회 예취구가 2회 예취구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은 높고 조섬유함량이 낮았다. 시비수준에 따른 사료성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관령지역의 표고 600m에서 적정 예취회수는 식생구성, 건물수량, 사료성분 및 영양소수량 면에서 3회 예취가, 시비수준은 표준시비구(질소 - 인산-칼리 280-200-240kg/ha)가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대관령지역과 같이 지역적인 여건(복잡지형, 기후불순 등)이나 축산 농가 개인의 여건(수확기계 미비, 인력 등)이 불리한 경우에는 2회 예취, 소비구(질소-인산-칼리 200-200-200 kg/ha)도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고냉지 사료작물 윤작체계 조사연구 (Studies on the Rotation System to Forage Crop Cultivation at the Alpine Area)

  • 한성윤;김대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0-304
    • /
    • 1993
  • 평야지보다 일조량과 적산온도가 다소 적은 고냉지에 적합한 사료작물 윤작체계를 구명하여 토지의 이용성 및 단위생산성을 제고하여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대시키고자 호맥+숙기가 다소 틀린 옥수수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9개 품종의 작부체계를 공시하여 2모작 작부체계를 확립고자 해발 800m의 대관령지역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높고 추운 대관령 지역에서도 양호하게 호맥을 재배할 수 있다. 2. 호맥후작으로 도입되는 옥수수는 구태어 조생종이나, 중생종이 아니라도 대관령 지역같은 고랭지에서도 만생종 옥수수재배가 가능하다. 3. 호맥에 이은 옥수수재배의 2모작으로 건물량이나 생초수량으로 약 30%의 증수가 가능하다. 4. 가장 우수한 사료작물로서 열대성 작물인 옥수수는 지형이나 지역적인 환경변이 즉, 고도의 상승에 따라 야기되는 기온의 저온화 현상에 의해 숙기나 발육상태가 단축되거나 늦어지기도 한다.

  • PDF

Effect of forest restoration treatment on Abies holophylla growth and soil condition: Focusing on the Daegwallyeong alpine pastures

  • Ju-Eun Kim;Jeong-Hyeon Bae;So-Jin Kim;Ki-Hyung Park;Namin Koo;Won-Seok Kang;YuGyeong J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1호
    • /
    • pp.25-3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 method for restoring grasslands to forests in mountainous area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area damaged by trampling due to construction activity and herding. Additionally, there were concerns of hindered tree growth due to the alpine region climate, characterized by the low temperatures, drying, and strong winds. Therefore, forest restoration treatments such as tillage, furrow, and shading were performed to improve growth conditions. From July 2021 to April 2023,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were monitored for each treatment plot, and changes in the initial growth and survival rate of Abies holophylla were investigated. Both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during the four seasons in the grassland-furrow treatment plot (p < 0.05). Compared to the grassland-control plot, the average soil temperature in winter was as high as 1.1℃, and the soil moisture in summer was as high as 20.3%. Additionally, the survival rate and relative growth rate were the largest in the grassland-furrow treatment plot. The survival rate was 87.5%, the relative growth rate in terms of height was 0.013, and the relative growth rate in terms of diameter at root collar was 0.023, indicating that furrow trea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survival and growth of seedl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rrow treatment may be an appropriate restoration method when implementing forest restoration projects in areas where tree growth is challenged.

예취빈도가 영년초지의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 on Botanical Composition in Permanent Grassland)

  • 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2, 3: one time grazed after 2 cuts, 3, 4, 6 cuts per year) and nitrogen fertilization(0 and 120 kg per ha and year) on botanical composition of permanent grassland at the "Federal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in Alpine Regions(Gumpenstein)," Austri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ith only fertilizing phosphorus(P) and potassium(K),mean annual dry matter yields were 6.9 - 8.4 ton per ha and highest when only one time grazed after 2 cuts, but fell progressively with increase in cutting frequency and additonal fertilization of nitrogen. The average nitrogen efficiences expensed as dry matter yieldsfig) per feltilized nitrogenfig per ha) were 10.3 kg. 2. When N fertilizer was applied, the proportion of tall and medium grasses in the mixed swards increased by 30 - 50% compared with only fertilizing PK. Whereas swards with fertilizing only PK generally stimulated composition of the legumes at the expense of the grasses(30 - 50%). 3. Although the proportion of tall and medium grasses(Trisetum flavescens and Dachlis glomerara) and tall herbs(hntodon hispidus, Taraxacum oflcinale and Aegopodium podagraria) increased by infrequent cutting, frequently cutting plots helped increase the proportion of short grasses(Poa pratensis and Poa trivialis), especially where plots both had been applied with nitrogen fertilizer. 4. Nitrogen fertilization resulted in higher existence of herbs and weeds such as Taramcum oficinale. Aegopodium podagraria, Galium mllugo, Anthriscus silvestris and Lamium album. 5. Due to unusually high or low cutting frequencies such as 4 cuts or 2 cuts per year increased botanical compostion of Heracleum sphondylium.hondylium.

  • PDF

한국의 동계한냉지역에 있어서 초지개발과 조사료 공급의 활성화에 필요한 요인 (Factors Required to Sustain Pastoral Farming Systems and Forage Supply In Winter-Cold Zones in Korea)

  • 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40
    • /
    • 1992
  • The area of grassland established and the arable land in forage production have been decreased recently in Korea. As a result, forages available from the grassland and the arable land provided only 40% of the total roughage consumed by cattle in 1991, compared with 54% in 1989. The decreasing trend of the forage production has been impinged on by a number of legislative. socio-economic. technical and other constraints negatively affecting grassland and forage development. Consequently. effective systems and strategies are quite necessary to have sustainable grassland farming in Korea. In spring and autumn, temperatures are too low for subtropical forage crops, and the summer monsoon climate is another serious limitation to the use of cool-season species. Therefore it is an imperative that not only the research-based grassland development but also the forage crop production should be strong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to overcome such climatic limitations. Private forest land holdings are of relatively small units in Kore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enlarge the forest land holdings per farm to develop as economic units of grassland.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introduce new policy measures such as for example: long-term leases of Sorest land and the idle arable land of absentee owners ; rational rental system of national and public forest lands; integrating livestock and forest production. All the laws and regulations standing in the way of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forest lands should be modified and revised to open the way for much easier development of grassland. It is also proposed that a high level of financial incentives -hould be provided for structural improvements for the grassland development. They may be: mechanization facilitation, construction of new roads relating to grassland, and land exchange and consolidation. And it is basically necessary that financial enumeration or profits must be garanteed in order to motivate farmers to keep up farming continuously. For more efficient grassland development in mountainous areas, reorganization of Alpine Experiment Station and NAB1 Namwon Branch Station may be needed. Research should be strengthened for completion of pasture mixtures, development of maximum forage production methods with a view to saving labor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introduction of grazing and forage conservation techniques. and utilization of rice straw as more palatable and nutritious forage source. In order to hav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ransfer of advanced forage production technologies to livestock farmers the user-clients. it is also essential that special training measures should be given to livestock farmers through making greater use of specialized research and extension workers.

  • PDF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 (Formation Processes of Hwaeomneup Wetland, Cheonseong Mountain)

  • 손명원;장문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4-21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을 밝혀 지속가능한 습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퇴적물 주상 시료와 부식의 탄소연대측정 결과로 볼 때, 화엄늪 습지보호지역의 초지는 지난 빙기의 기후변화와 관련없이 주민들의 화전농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화엄늪은 천성산 정상부에 내린 강우가 지하로 침투하여 흐르다가 절리를 따라 능선 부분에서 용출하여 형성된 산지습지이다. 화엄늪 습지의 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습지보호지역 남서부의 주능선에 밀생하는 숲을 유지하여야 하며, 습지 하류 말단부를 지지하는 계단상의 거력제(block dam)가 붕락되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습지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화엄늪 습지보호지역 내 지형과 수문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애기수영이 우점한 고랭지 목초지에 제초제의 처리가 잡초방제 및 목초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Application on Weed Control and Forage Production in Alpine Grassland Predominated with Red Sorrel(Rumex acetosella L.))

  • 김영근;정종원;최연식;임영철;한성윤;나기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65-874
    • /
    • 2003
  • 강원도 대관령지역의 목초지에 발생하는 광엽잡초 중의 하나인 애기수영의 방제에 우수한 약제 이용을 위한 예비선발 결과 경엽처리 제초제는 MCPP 액제를, 토양처리 제초제로는 펜디유제를 선발하였다. 경엽처리제인 MCPP액제 처리시 방제효과는 500$m\ell$/10a를 처리시가 77.2%, 750$m\ell$/10a 처리시가 82.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상부 고사로 형성된 나지를 통해 출아한 애기수영의 개체수가 무처리구에 비해 4배 이상이었다. 애기수영이 우점한 목초지에 펜디유제를 처리한 결과 애기수영의 rhizome의 생육억제에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나 초지를 전면 갱신한 후 펜디유제를 300$m\ell$/10a를 처리한 결과 83.0%의 애기수영 종자의 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경엽처리제인 MCPP 액제와 토양처리제인 펜디유제를 연계처리시 MCPP 액제 500$m\ell$/10a와 750$m\ell$/10a의 농도로 먼저 처리한 처리구의 애기수영 방제효과가 각각 90.0%와 86.3%로 MCPP 액제를 나중 처리한 처리구의 66.7%와 78.3%보다 높았다. 지하부를 통해 재생하는 애기수영의 방제를 위해 MCPP 액제를 750$m\ell$/10a 농도로 20일 간격으로 2회 처리시 93.2%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목초의 수량도 높았다. 목초 중 MCPP 액제의 잔류량은 약제처리 20일째 500$m\ell$/ 10a 처리시 0.033ppm, 1000$m\ell$/10a 처리시 0.081 ppm을 나타내었으며, 펜디유제 잔류량은 약제처리 후 20일째 300$m\ell$/10a 처리시 0.07ppm, 600$m\ell$/10a 처리시 0.31ppm으로 두 약제 공히 잔류허용기준 0.5ppm 미만이었다.

고랭지에서 제초제 조합에 의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잡초방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Combination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Nutritive Value and Weed Control of Silage Corn in Alpine Area)

  • 이종경;박형수;정종원;나기준;김영근;서성;성경일;정재록;조규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2
    • /
    • 2004
  •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시 일년생 잡초 제거를 위한 최적의 제초제조합을 선발하기 위하여 대조구(알라유제+씨마네수화제(T1)), 메토라크롤유제(T2), 치오벤카브+리누론유제(T3), 펜디유제(T4), 펜디+리누론유제(T5), 프로피소크로르유제(T6), 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7), 프로피소크로르유제+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8), 무처리(T9)의 총 9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표고 800m)에서 2년간(2001∼2002) 수행하였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을 보면 옥수수의 초장과 착수고는 처리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건물 함량과 암이삭 비율은 니코설푸론 액상수화제(T7) 처리구에서 각각 31.4%와 5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을 보면 프로피소크로르유제+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8) 처리구에서 16,503kg/ha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제초제 조합에 의한 일년생 잡초의 방제율은 프로피소크로르유제+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8) 처리구에서 9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건물수량, 잡초방제 및 사료가치 등을 고려하여 볼 때 프로피소크로르유제+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 처리구가 고랭지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시 최적의 제초제 조합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