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linolenic acid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48초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가 돼지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 박병성;강환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37-1543
    • /
    • 2004
  • 본 연구는 아마인유와 채종유내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의 돈육내 축적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수퇘지(체중 50 kg)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가지 실험사료중 한가지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우지, 아마인유, 채종유 또는 아마인유와 채종유의 혼합유를 함유하였다. 110 kg 시판 체중 도달시에 희생하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속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은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포화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11.84%~16.54%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액 n-3 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4.68%~12.83% 높게 나타났다(p<0.05).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3가지 지질 급원 모두는 우지 첨가구에 비교하여 돼지고기 삼겹살 내 $\alpha$-linolenic acid(18:3n-3) 함량을 9.43%까지 유의적으로 높였다(p<0.05). 아마인유 또는 채종유 급여는 삼겹살내 n-3:n-6 비율을 0.68로 높였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비율은 0.70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에 의해 n-3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n-3 지방산이 유방암세포의 증시과 지질과산화 및 Oncogene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3 Fatty Acids on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in Relatino to Lipid Peroxidation and Oncogene Expression)

  • 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8호
    • /
    • pp.987-994
    • /
    • 1997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3 fatty acids on breast cancer,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alpha$-linolenic (LNA), eicosapentaenoic(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at a concentration of 0.5$\mu\textrm{g}$/ml in serum -free IMM medium. Cell growth was monitored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lpha$-tocopherol contents, and oncogene expression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effects of n-3 fatty acids with other types of fatty acid, steraic (STA), olieic(OA). linoleic acid(LA) were used. After one day , cell growth was retarded most highly when DHA was in the medium. Cellular TBARS level measured after three days of culture was the highest with DHA in the medium and was also increased by LNA and EPA, compared with STA, OA and LA. Alpha-tocoopherol contents of cells were decreased by DHA but only modestly. There was non significant difference in $\alpha$-tocopherol contents in cells cultured in the presence of the other fatty acids. northern blot hybridization carried out with cells cultured during 24 hours showed that levels of erbB-2 mRNA were not altered by six different fatty acids in the medium but those of c-myc were transiently decreased in the early period by both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 level of tumor suppressor gen p53 mRNA , however, was increased by DHA with time. It is concluded that the cytotoxicity of lipid peroxide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umor suppressor gene p53 are at least partly responsible for the inhibitory effect of DHA on growth of breast cancer cells.

  • PDF

무항생제 사육방식으로 생산된 한우육내 코티졸과 지방산 함량 (Cortisol and Fatty Acid Contents in Hanwoo Meat Produced by Antibiotics-free Rearing System)

  • 하재정;김병기;이준구;오동엽;김석수;김태균;채형복;김승준;박영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8권3호
    • /
    • pp.129-136
    • /
    • 2014
  • 본 시험은 무항생제 사육방식이 한우육내 코티졸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항생제 및 관행 축산으로 생산된 한우육 1등급 등심(M. longissimus)부위를 3가지의 브랜드별로 각각 3회씩 구매하여 시료로 공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우육 등심내 코티졸 함량은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관행사육 처리구 대비 유의적(p=0.017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에서는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관행사육 처리구에서는 포화지방산이,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이 각각 높은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중 n-3과 n-9 지방산을 제외한 n-6 지방산(linoleic acid, ${\gamma}$-linolenic acid)에서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우육내 코티졸 농도와 n-6 지방산 농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linoleic acid와 유의적(p=0.0140)으로 부(-)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결과적으로, 무항생제 인증으로 사육된 한우육은 관행적으로 사육된 한우육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코티졸 함량이 낮았으며, 건강에 유익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으로 분석됨으로써 육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착식, 압출식 착유 대마 종실유의 색깔과 주요성분 비교 (Comparison of color and major components of hempseed oils extracted with pressuring and extruding methods)

  • 문윤호;송연상;김광수;이지은;유경단;이영화;이경보;최인성;차영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66-672
    • /
    • 2017
  • 대마[Cannabis sativa L.]는 오랫동안 섬유작물로 재배되었지만 종실의 기름 함량이 많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식용유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오랫동안 대마 종실유를 이용해온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압출식으로 착유하는데, 이용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마 종실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압착식과 압출식으로 착유한 대마 종실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압출식 착유기로 착유하면 착유량이 압착식에 비해 많았다. 착유 부산물인 유박은 압출식에서는 으깨어져 얇고 납작하게 배출되지만, 압착식은 종실이 다소 납작해졌으나 종실의 형상을 유지하였다. 압출식 착유 종실유는 압착식에 비해 Chlorophyll A, B 및 Carotenoid 함량이 높아 명도(L)는 낮고 녹색과 황색은 진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id, ${\gamma}$-Linolenic acid 비율은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Linoleic acid와 ${\alpha}$-Linolenic acid는 낮았다. 대마 종실유는 총 토코페롤 함량이 많고 그 중 ${\gamma}$-Tocopherol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는데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적었다.

발효 동충하초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in Fermented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32-1040
    • /
    • 2013
  • 유용발효미생물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생리활성 작용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2 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hilgardii (Lh), Lactobacillus acidophilus (La)와 1 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c), 1 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Bs), 4 종의 곰팡이 Aspergillus oryzae (Ao), Aspergillus kawachii (Ak) 및 Monascus purpureus (Mp), Rhizopus oryzae (Ro)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단백질 함량, 단백질 패턴,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의 주요 미네랄은 미네랄 성분 조성은 K, Mg, Ca, Na, Fe, Zn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K, Mg, Ca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이다. 동충하초 분말과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 및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 단백질을 native-PAGE로 비교분석 한 결과 발효에 의해 균주에 상관없이 특정 부분의 단백질 분해를 확인하였고, SDS-PAGE 상의 단백질 패턴 분석에서는 66 kDa 크기의 단백질 밴드가 유산균 발효에 의해 분해 되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Aspergillus oryzae에서 새로운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을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결과 Bacillus subtilis 균주 발효에서 혈전용해 활성이 17.1 unit으로 높게 나왔으며, Lactobacillus hilgardii 균주 발효에 의해서는 7.2 unit으로 낮은 혈전용해 활성이 나왔다. 항산화 활성은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에서 균주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지만 시판 항산화제 BHT 처리구의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보다는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유용미생물 발효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이 발효 전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보다 강화됨으로써 건강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토종다래(Actinidia arguta)순의 주요 영양성분 및 in vitro 항산화 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of Korean Traditional Actinidia (Actinidia arguta) Sprout and in vitro Antioxidant Effect)

  • 진동은;박선경;박창현;승태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7-43
    • /
    • 2015
  • 토종다래 순의 무기질은 Ca, K, P 순으로 많았으며,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함량은 ${\alpha}$-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 등의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았으며, 유리당은 sucros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Vitamin B 그룹에서는 vitamin $B_6$가 17.99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vitamin C와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42.57mg/100 g, $390.69{\mu}g/100g$이었다. Total phenolics는 40% EtOH 추출물이 198.08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MDA contents)과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에서는 지질과산화를 막아주며 신경세포 손상을 일정 수준에서 억제해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상대적으로 높은 phenolics를 함유한 토종다래순은 우수한 영양학적인 구성과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를 기초로 한 고부가가치 건강지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한국산 초피와 산초의 화학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 고영수;한희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1996
  • 야생식량 자원으로서 활용의 여지가 많은 초피와 산초의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조단백질은 초피 과피 및 종자가 각각 11.51%, 13.65%로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약간 높았다. 조지방은 산초 종자가 37.78%로 가장 높았다. 중성지질의 경우 산초 종자가 61.2%로 가장 높았으며 산초 과피는 36.1%로 가장 낮았다. 당지질은 산초 과피가 59.8%로 가장 높았고 산초 종자가 24.7%로 가장 낮았다. 인지질은 산초 종자가 14.1%로 특히 높아, 초피 종자(2.8%)의 약 4배였다. TG의 chromatogram은 초피과피의 경우 $C_{42}$, $C_{46}$, $C_{48}$, $C_{50}$, $C_{52}$$C_{54}$ 등 6개의 peak가 나타났으며 $C_{42}$의 함량이 높았고, 산초 과피는 $C_{42}$, $C_{46}$, $C_{48}$, $C_{50}$$C_{56}$의 5개 peak가 나타나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C_{42}$, $C_{46}$, $C_{50}$, 이 함유되어 있었다. 초피 종자의 경우는 $C_{42}$, $C_{52}$가, 산초 증자는 $C_{42}$, $C_{50}$이 나타나 4개 시료의 공통적인 TG는 $C_{42}$임을 알 수 있었다. 필수지방산의 총량은 산초 과피가 59.4%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linolenic acid는 44.5%, linoleic acid는 14.9%였다. 산초과피에서 ${\beta}-sitosterol$만이 동정되었고, 나머지 3개 시료에서는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을 동정하였다. 4개의 시료에 모두 ${\alpha}-tocopherol\;acetate$${\alpha}-tocopherol$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alpha}-tocopherol\;acetate$의 함량은 초피 과피와 종자가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높았으며, 4개 시료 모두에서는 ${\alpha}-tocopherol$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모든 시료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고, 환원당은 초피 종자(4.19%)와 산초 종자(2.89%)가 초피 과피와 산초 과피에 비하여 훨씬 높았다. 사포닌은 4개 시료 모두에 함유되어 있었으며, 초피 과피가 7.20%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 중에서는 K의 함량이 모든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초피 과피에 citric acid가 0.078%, ${\alpha}-ketoglutaric\;acid$가 0.696% 함유되어 있었으며, 산초 과피에 ${\alpha}-ketoglutaric\;acid$가 0.475% 함유되어 있었다. 모든 시료에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alanine과 glutamic acid였다. 함량이 많은 총 아미노산의 순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valine, leucine의 순이었으며, 산초 종자의 glutamic acid의 함량이 2.39%로 매우 높았다. 4개의 시료중에 공통적으로 함량이 높은 정유성분은 limonene(30.1-66.8%), ${\beta}-phellandrene$, citronellal, cineol 등의 순이었으며 citronellal의 함량이 산초 종자에서 22.0%로서 나머지 시료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isopulegol의 함량은 초피 과피에서 45.2%로서 나머지 시료의 함량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linalool함량도 초피 과피에서 9.5%로 훨씬 높았다. 또한 terpinene-4-o1은 초피 과피 및 종자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으나, 산초 과피에서는 1.1%, 산초 종자에서는 0.8%의 함량을 보여 주었다.

  • PDF

Changes i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properties of Hanwoo steers according to supplementation of composite feed additive

  • Ahn, Jun-Sang;Shin, Jong-Suh;Lee, Chang-Woo;Choi, Wook-Jin;Kim, Min-Ji;Choi, Jang-Gun;Son, Gi-Hwal;Chang, Sun-Six;Kwon, Eung-Gi;Park, Byung-Ki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1-25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posite feed additive (CFA) consisting of vitamin C, vitamin E, selenium, and cholin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properties of Hanwoo steers. Twenty-two late fattening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dietary groups, control (commercial concentrate + rice straw) and treatment (commercial concentrate + rice straw + 50 g of CFA). Average daily gain (ADG) was 4.0% higher in treatment than that in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upplementation of CFA had no effect on overall yield or quality traits of carcass. CFA had no effect on chemical composition, water holding capacity, shear force, cooking loss, or myoglobin values in longissimus muscle; however, the content of ${\alpha}$-tocopherol was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CFA (p < 0.01). The contents of ${\alpha}$-linolenic acid and n-3 fatty acids were higher in treatment group than in control (p < 0.01). The ratio of n-6/n-3 fatty acids was de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CFA (p < 0.01). The supplementation of CFA had no effect on pH 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in longissimus muscle (raw); however, TBARS (cooked) values were lower in treatment group than in control during refrigerated storage (p < 0.01). Thu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pplementation of CFA (vitamin C + vitamin E + selenium + choline)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increase in ${\alpha}$-tocopherol and n-3 fatty in longissimus muscle, without any negativ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r carcass characteristics of late fattening Hanwoo steers.

Antioxidative and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Extracts from Geum japonicum

  • Cho, Kang-Jin;Kim, Jong-Bum;Kim, Jung-Bong;Kim, Dong-Gil;Kim, Haeng-Ran;Hwang, Young-So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87-91
    • /
    • 2001
  • Extracts from Geum japonicum (Bammu in Korean)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scavenging effects on free radical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G. japonicum methanol extract (EFGJ) showed a remarkable scavenging activity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EFGJ also showed excellent antioxidative activity on linoleic acid during long-period storage and on rat liver microsome peroxidation system, and good anti-peroxidation effect on lipid in Rancimat system using lard, palm oil, and perilla oil, as compared with BHT and ${\alpha}$-tocopherol. Varying effects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FGJ on various fatty acids were observed. The prevention of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peroxidation was superior to ${\alpha}$-tocopherol, but inferior to BHT. The methanol extract of G. japonicum did not show mutagenicity as revealed through SOS chromotest. Based on the results, the extracts of G. japonicum may be useful source as natural antioxidants.

  • PDF

지방산 조성이 다른 식이 지방이 흰쥐 간 미토콘드리아의 지질조성과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Oils on Hepatic Mitochnodial Lipid Composition and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Activity in Rat)

  • 김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5호
    • /
    • pp.547-557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whether dietary fats differing in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change hepatic mitochondrial lipid composition and thereby change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activi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5 different w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which were different in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The dietary fats were beef tallow(BT), olive oil(OO), corn oil(CO), perilla oil(PO) and sardine oil(SO) as a source of saturated fatty acid, oleic acid, n-6 linoleic acid, n-3 $\alpha$-linolenic acid and n-3 eio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respectively. Body weight of P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ither BT or SO group. This increase in body weight of PO group was due to the increase of food intake.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ver weight, % liver weight per body weight of S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T and OO groups. Analysis of mitochondrial lipid composition showed that dietary oils differing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altered mitochondrial fatty acid patterns, especially n-6/n-3 ratio, cholesterol/phospholipid ratio and phopsholipid composition. The n-6/n-3 ratio was highest in CO group but lowest in SO group whereas the ratio of Chol/PL was highest in SO group but lowest in CO group. Such changes in mitochondrial lipids did not lead to a significant alteration in the activities of adenine nucleotide translocase, which is embedded in mitochodrial inner membra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