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Pinen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나라 소나무속(屬)의 Monoterpene 조성(組成)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onoterpene Composition of the Subgenus Diploxylon of the Genus Pinus in Korea)

  • 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60-169
    • /
    • 1976
  • 한국산(韓國産) Pinus속(屬)의 Diploxylon아속(亞屬)의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 대(對)한 류별(類別)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GLC에 의(依)한 monoterpene 조성(組成)을 분석(分析)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의 monoterpene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 terpinolene 외(外)에 2개의 미지(未知)의 조성분(組成分)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의 주요(主要) monoterpene조성(組成)은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terpinolene 이다. 중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beta}$-phellandrene, ${\alpha}$-plnene, terpinolene 이다. 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limonene 이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서 모두 monoterpene 조성분(組成分)은 개체간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중곰솔은 monoterpene 조성(組成)에 있어서 소나무와 곰솔의 중간에 해당되었다. 소나무와 곰솔을 구별(區別)하는 가장 좋은 분류적기준(分類的基準)이 되는 monoterpene의 주성분(組成分)은 ${\alpha}$-pinene, ${\beta}$-pinene, myrcene이었고 소나무는 ${\alpha}$-pinene이 ${\beta}$-pinene보다 항상 많았고 중곰솔을 그 반대(反對)였다. 안면도와 치악산(産) 소나무의 산지별(産地別) 차이(差異)에서는 ${\alpha}$-pinene에서 유이성(有異性)이 보였으나 이는 개체 사이의 변이(變異)가 큰 것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알파-피넨(alpha-pinene)이 함유된 스카티카증 치료용 나노복합체 개발 및 Miamiensis avidus에 대한 살충 효과 (Development of a Layered Nanocomposite Containing α-pinene to Treat Scuticociliatosis Caused by Miamiensis avidus)

  • 정철연;이숙경;윤주영;한양수;이제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5-22
    • /
    • 2018
  • Alpha-pinene is an organic compound that possesses antibiotic and anti-parasitic activit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ayered nanocomposite to combat against Miamiensis avidus which causes scuticociliatosis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 used a solid-solid reaction to develop the layered nanocomposite, incorporating-pinene ($C_{10}H_{16}$) into organically modified montmorillonite. We used cetyltrimethylammonium cations as the interlayered modifier for the adsorption of hydrophobic pinene molecules.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nanocomposite structure showed that the basal spacing increased from $9.6{\AA}$ to $30.4{\AA}$. Interestingly, the fraction of ${\alpha}$-pinene released remained constant for a long period of time (228 h) due to the layered nature of the nanocomposite. Additionally, optical microscopic images of the treated scuticociliatids revealed that their cells were lysed, and this effect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concertration of ${\alpha}$-pinene. Histopathological assessment of ${\alpha}$-pinene nanocomposite-treated olive flounder gills revealed no significant morphological changes, even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he ${\alpha}$-pinene. The nanocomposite has several advantages, including easy handling, high solubility, low toxicity, and the easy formulation of granules or powder, which improve the pesticidal activity of ${\alpha}$-pinene.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alpha}$-pinene nanocomposite may be a useful treatment against scuticociliatosis.

물쑥 및 파드득 나물의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rtemisia selengensis and Cryptotaenia japonica)

  • 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4
    • /
    • 1987
  • 우리나라의 야생산채류중 물쑥과 파드득나물의 휘발성 성분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해서 GC와 GC-MS조합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물쑥에서는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myrcene, limonene, ${\alpha}-terpinene$ 및 caryophllene의 7가지 성분이, 파드득나물에서는${\alpha}-pinene$${\beta}-pinene$의 두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파드득나물의 나머지 성분은 elemene, caryophyllene 및 humulene으로 추정된다.

  • PDF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The effect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

  • 조춘구;한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7-99
    • /
    • 1999
  • 천연 물질로 지용성인 뉴질랜드산 차나무 정유(Manuka oil), 그 구성 성분인 $\alpha$-pinene, Oxy’less clear, 수용성인 자몽 종자 추출물(Citrex) 및 그 구성성분인 R-limonene의 항균력 을 측정 평가하여 항균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부제의 처방을 제안하였다. 항균력 측정에는 disk diffusion법이 사용되었으며, 균주로는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와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을 사용하였다. Manuka oil과 $\alpha$-pinene은 항균력이 10${\mu}\ell$/paper disk일 때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2${\mu}\ell$/paper disk이하의 소량의 시료에서는 Manuka oil이 $\alpha$-pinene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하였다. Citrex가 R-limonene보다 두 균주에 대하여 항균력이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Oxy’less clear은 두 균주에 대하여 모든 농도에서 파라벤류 propyl para hydroxybenzoate(PPHB)나 R-limonene보다는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alpha$-pinene과는 비슷하게 나타났고, Manuka oil과 Citrex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본 결과 Manuka oil과 Citrex가 다른 물질들에 비해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지용성 물질 Manuka oil과 확산도가 큰 수용성 물질 Citrex를 적절히 혼합하여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혼합비(Manuka oil : Citrex)를 구하였는데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75 : 25이었고 Staphylococcusureus에 대해서는 25 : 75 이었다.

  • PDF

소나무와 잣나무의 잎과 수지에 함유된 정유 성분 (Essential Oil Components of Leaves and Resins from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송홍근;김재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3호
    • /
    • pp.59-67
    • /
    • 1994
  • The essential oils of leaves and resins from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components. After each retention times of 45 known terpenoids were dertermined with a fixed analytical condition by GC the essential oil compounds of leaves and resin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ir retention times with the retention times of known standards. To confirm these results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leaves from P. koraiensis were analized by 2 different GC/MS. According to these results, 36 terpenoids in essential oils of leaves from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were identified and 15 terpenoids and 22 terpenoids were identified from P. koraiensis resin and P. densiflora resin,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s which are more than 2% of total amaunt of volatile components were as follows: 1. The major terpenoids of leaves from red pine.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D-limo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terpinolene, ${\alpha}$-terpineol. 2. The major terpenoids of leaves from korean pine. ${\alpha}$-pinene, camphene, myrcene, D-limonene, 3-carene, terpinolene, bor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alpha}$-terpineol, borneol, ${\delta}$-cardinene. 3. The major terpenoids of resin from red pine. ${\alpha}$-pinene, ${\beta}$-pinene, myrc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linalyl acetate. 4. The major terpenoids of resin from korean pine. ${\alpha}$-pinene, ${\beta}$-pinene, D-limonene, ${\beta}$-caryophyllene, phytol.

  • PDF

제주산림지역내 고도별 ${\alpha}-pinene$${\beta}-pinene$의 분포특성

  • 김형철;이혜영;허철구;이기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33-135
    • /
    • 2006
  • 산림 canopy 내 외에서 대기환경은 광화학적 반응 속도나 기상 요인들의 영향에 의해 다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로서 monoterpene의 대표 성분인 ${\alpha}-pinene$${\beta}-pinene$를 이용하여 산림 고도별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모두에서 ${\alpha}-pinene$${\beta}-pinene$ 성분의 높이별 농도는 canopy영역보다 canopy아래 산림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고도별로 농도 차이가 있지만 고도에 관계없이 ${\alpha}-pinene$${\beta}-pinene$보다 $1.3{\sim}1.5$배정도 농도가 높았다.

  • PDF

Effect of the Volatile Oil of Nigella sativa Seeds and Its Components on Body Temperature of Mice: Elucidation of the Mechanisms of Action

  • Ashour, M.M.;Tahir, K.E.H.El.;Morsi, M.G.;Aba-Alkhail, N.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14-18
    • /
    • 2006
  • The effect(s) of the volatile oil (VO) of Nigella sativa and its two components, ${\alpha}-pinene$ and ${\rho}-cymene$ on body temperature of male and female conscious mice were studied. Further investigations to delineate the mechanism(s) of action of the observed effect(s) by using various blockers involved in the central regulation of body temperature were made. VO and ${\alpha}-pinene$ caused significant reductions in rectal body temperature at is and 30 minute after treatment. ${\rho}-cymene$ had negligible effect on body temperature of mice. Cyproheptadine inhibited VO and ${\alpha}-pinene-induced$ hypothermia significantly. Nalbuphine inhibited ${\alpha}-pinene-induced$ hypothermia significantly but did not affect VO-induced hypothermia. Droperidol potentiated VO and ${\alpha}-pinene-induced$ hypothermia to a non-significant level; whereas atropine potentiated VO-induced hypothermia non-significantly. The study confirms further the role of serotoninergic receptors in the mechanism(s) of the observed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VO of Nigella sativa. It also indicated a possible role of opioid receptors in ${\alpha}-pinene-induced$ hypothermia.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 fil.)의 부위별 정유성분 조성 (Essential Oil Composition from Leaves, Flowers, Stems, and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L. fil.)

  • 장수정;김영회;김명곤;김계환;윤세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101-107
    • /
    • 2002
  • 순비기나무의 잎, 꽃, 줄기 및 열매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으로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및 GC를 이용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7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성분은 monoterpene hydrocarbons 16종, oxygenated monoterpenes 30종, sesquiterpene hydrocarbons 10종, oxygenated sesquiterpenes 8종, diterpenes 3종, 기타 성분 9종으로서, 특히 ${\alpha}-pinene$, ${\beta}-pinene$, sabinene, 1,8-cineole, terpinen-4-ol, ${\alpha}-terpineol$등의 monoterpene류가 주요 구성성분들이었다. 부위별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잎에서는 ${\alpha}-pinene$ (30.25%) > 1,8-cineole (19.89%) > sabinene (9.56%) > ${\alpha}-ternineol$ (7.94%) > ${\beta}-pinene$ (5.69%) > terpinen-4-ol (2.37%), 꽃에서는 ${\alpha}-pinene$ (25.47%) > 1,8-cineole (7.69%) > manoyl oxide(6.21%) > ${\beta}-pinene$ (4.20%) > ${\alpha}-terpineol$ (3.76%) >sabinene (2.78%), 줄기에서는 ${\alpha}-pinene$ (13.24%)>${\alpha}-terpineol$ (10.64%)>1,8-cineole (4.40%)>manoyl oxide (4.02%) > ${\beta}-pinene$ (2.39%) > terninen-4-ol (2.21%), 그리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0.24%) > 1,8-cineole (11.47%) > ${\beta}-pinene$ (9.79%) > u-terpineol (7.08%) > sabinene (3.68%) limonene (2.77%)의 순서로 조성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onoterpene류의 조성비율이 높았으나 꽃과 줄기에서는 잎이나 열매에 비해 sesquitepene류, diterpene류 이외에도 구조를 동정하지 못하였으나 diterpene류 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성분들의 조성비율이 높았다.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잎의 정유성분 변이 (Variation of Volatile Composition in the Leaf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 조민구;장진성;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2-166
    • /
    • 2002
  • 산초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주요성분은 hexanal, (E)-2-hexenal, ${\alpha}-pinene$, myrcene,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linalool, citronellal, estragole 이었으며, 특히 estragole은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초피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hexanal, (Z)-3-hexenol, n-hexanol, ${\alph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었으며, 이중 (Z)-3-hexenol ${\alpha}-pinene$, limonene, citronellal이 모든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수목원에서 월별 변화를 보이는 성분을 관찰한 결과. 산초는 ${\alph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alph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이였으며, 초피는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alpha}-pinene$, (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이였다. 그러나 지역별 채집한 개체에 나타났던 estragole이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나무 잎에서 미량으로만 존재한 이유는 열매를 맺지 못할 정도의 어린나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estragole 성분은 열매를 맺는 시기에 증가되는 성분이라 사료되었다.

신기능성 물질 탐색을 위한 침엽수잎의 특수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I) - 펙틴, 탄닌, 테르페노이드의 분석 - (Studies on the Analysis of Special Components of Major Pine Needles for Searching of the New Functional Substances (I) - Analysis of Pectin, Tannin and Terpenoids -)

  • 황병호;이현종;강하영;유순희;조재현;조국란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34-142
    • /
    • 1997
  • 주요 소나무류잎의 특수성분을 분석하여 시판되고 있는 솔잎 가공식품의 기초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임산화학 분야의 학문적 기초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펙틴은 잣나무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탄닌은 잣나무가 높게 분석되었고, 소나무와 해송은 유사하였다. 테르페노이드 성분중 ${\alpha}$-pinene은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beta}$-pinene은 리기다와 해송에서 높게 분석되었으며, 희귀성분으로는 잣나무에서 sabinene과 citronellol, 리기다에서는 ${\alpha}$-pinene oxide 등이 분석되었다. 특히 소나무잎에 다량 존재하는 성분은 ${\alpha}$-pinene, ${\beta}$-caryophyllene, ${\beta}$-phellandrene, ${\Delta}^3$-carene, phytol 등 이었다. 향기성분의 주체인 ${\alpha}$-pinene, limonene, bornylacetate들이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보다 많이 분석된 것으로 보아 삼림욕의 신선하고 상쾌한 내음의 주체성분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