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lium sativum L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9초

마늘주아(珠芽)에 대한 KNO3및 K3PO4 처리(處理)와 파종시기(播種時期)가 종구(種球) 생산(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aking in KNO3 or K3PO4 Solution and Sowing Date of Bulbils on the Seed Bulbs Produc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조영조;정병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2호
    • /
    • pp.219-221
    • /
    • 1998
  • '남도' 마늘의 주아를 이용한 종구 생산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주아를 200mM $K_3PO_4$와 200mM $KNO_3$ 용액에 파종전 침지처리(7일간, $10^{\circ}C$)한 후 파종기를 9월 20일, 10월 10일 및 10월 30일로 달리하여 시험하였다. 출현속도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빨라졌는데 10월 10일 $K_3PO_4$ 처리에서 출현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식물체 생육 역시 $K_3PO_4$ 처리후 10월 10일 파종에서 우수하였다. 인편분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85% 이상이었고, 평균구종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높았다. 수량은 $K_3PO_4$ 처리후 10월 10일 파종이 무처리에 비해 27% 중수되어 주아를 마늘 파종적기에 화학제를 처리함으로써 더 많은 종구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마늘에서 diallyl disulfide의 분석 (Determination of diallyl disulfide in garlic by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만효룡;;노경호
    • 분석과학
    • /
    • 제20권5호
    • /
    • pp.442-447
    • /
    • 2007
  • 마늘(Allium sativum L.)의 특성은 organosulfur 화합물이다. 마늘에 포함된 diallyl disulfide(DADS)를 분석하기 위한, 간단하고 신속한 시료준비와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모든 마늘시료들은 메탄올, 벤젠,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용매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메탄올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우수하였다. 분석조건으로는 이동상은 메탄올과 물로 구성되고 기울기법을 적용하였다. 분말가루로 된 마늘 1 g에 0.61 mg DADS를 추출하였다. 기존 분석방법에 비해 우수하여 마늘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온도구배터널 내 상승온도에 의한 난지형 마늘(Allium sativum L.)의 광합성 및 생육 특성의 변화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Southern-type Garlic (Allium sativum L.) in Response to Elevated Temperatures in a Temperature Gradient Tunnel)

  • 오서영;문경환;송은영;신민지;고석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0-260
    • /
    • 2019
  • 본 연구는 마늘을 온도구배터널에서 재배하면서 생육기간 동안 인편의 발아, 지상부 생육과 광합성 특성, 인경 발달 등을 조사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마늘 생육 전반에 미치는 기온상승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터널 중앙부 온도(Tamb+3℃)와 후미부 온도(Tamb+6℃)는 입구의 대기온도(Tamb)를 기준으로 각각 3.2℃, 5.8℃가 높게 유지되었다. 인편의 발아는 터널 입구보다 중앙부와 후미부에서 더 늦었다. 그러나 추대기간과 개체당 최대 엽수에 도달하는 기간이 터널 입구에서 보다 중앙부와 후미부에서 짧게 나타났다. 지상부의 생장은 터널 입구에서 생육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높고 중앙부와 후미부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인경은 터널 내부의 온도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생육후기에 인경 생체량과 건체량은 터널 입구와 중앙부에서 생육하였을 때 다소 높았다. 광합성률(A), 기공전도도(gs), 증산률(E)은 터널 입구에서 보다 중앙부에서 재배하였을 때 증가하였다. 또한 최대 광합성률(Amax)은 중앙부에서 생육하였을 때 높았으며, 호흡률(Rd)은 낮았다. 터널 입구 및 중앙부에서 인경발달이 더 왕성하여 크기가 크고 상품성이 높은 인경을 수확할 수 있었으나 터널 후미부인 대기온도 +6℃에서는 인경의 크기가 작아지고 소인편들이 생겨서 상품성이 낮았다. 따라서 대기온도보다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에는 파종 전에 인편 발아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미리 충족시키거나 파종시기를 늦춘다면 인편 발아율을 높이면서 생산량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인경 발달 단계에서 고온에 의한 상품성 하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확시기를 앞당겨 수확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ytokinin과 Auxin이 Allium Sativum L.의 인엽배양(鱗葉培養)에서 기관(器官)의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ytokinin and Auxin on Organ Formation in Leaf Scale Tissue of Allium Sativum L.)

  • 박경한;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65-76
    • /
    • 1980
  • 1979년(年)에 수확(收穫)한 묵은 마늘과 1980년(年)에 수확(收穫)한 햇 마늘의 분화엽(分化葉)의 엽신(葉身), 생장점(生長點)이 부착된 기부(基部)의 배양(培養)으로 부터 기관(器管)의 분화(分化)에 BA와 auxin이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修行)하였으며 아울러 callus를 계대배양하여 BA와 NAA의 효과(效果)를 검토하였다. 또한 햇마늘의 경우 10, 20, 30, 4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 후(後) 엽신(葉身) 조직배양(組織培養)에서 BA와 NAA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1. 묵은 마늘의 엽신(葉身)의 배양(培養)에서 NAA 단독처리(單獨處理)에서 유식물(幼植物)의 분화(分化)는 없었고 2mg/l구(區)와 4mg/l구(區)에서 뿌리의 발생(發生)이 보였으며 유식물(幼植物)의 분화(分化)는 BA와 NAA의 복합처리(複合處理)에 의해서 이루어 졌으며 BA 2mg/l, NAA 2mg/l구(區)의 효과(效果)가 좋았다. 2. 묵은 마늘의 엽신배양(葉身培養)에서 NAA의 대신(代身) 2, 4-D를 첨가(添加)했을 때 기관(器官)의 분화(分化)는 없었고 callus의 분화(分化)가 좋았으며 이 때 callus의 상태(狀態)는 NAA의 처리구(處理區)의 callus에 비해 구상체(球狀體)를 이루고 있다. 3. 2, 4-D처리(處理)에 의해 얻어진 callus의 계대배양에서 BA와 NAA의 복합(複合處理區)에서 대체로 유식물체(幼植物體)나 뿌리의 발생이 일어났으며 특히 BA 2mg/l에 NAA 0.5 mg/l구(區)와 1mg/l 구(區)에서 효과(效果)가 좋았다. 그러나 NAA 8mg/l구(區)나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유식물(幼植物)의 발생(發生)이 없었다. 4. 햇 마늘의 엽조직(葉組織)의 배양(培養)에서는 묵은 마늘에서와는 마르게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 유식물(幼植物)의 발생(發生)이 많았으며 BA 2mg/l과 NAA의 혼합처리(混台處理)에서도 NAA 1mg/l구(區)에서의 유식물(幼植物)의 분화(分化)가 좋았으나, 뿌리의 발생(發生)에는 NAA 4mg/l구(區)에서 좋았다. 5. 햇 마늘 기부배양에서는 NAA의 단독처리(單獨處理)에서 2mg/l구(區)에서 발근(發根)이 있었으나 유식물체(幼植物體)의 분화(分化)는 없었고 혼합처리(混合處理)의 경우는 BA의 농도가 낮을 때는 NAA의 농도가 다소 높은 구(區)에서, BA의 농도(濃度)가 다소 높은 경우는 NAA의 농도가 낮을 때 유식물체(幼植物體)의 분화(分化)가 좋았다. 6. 저온처리(低溫處理) 후(後)의 배양에서 30일(日), 40일간(日間)의 장기간 저온처리(低溫處理)는 오히려 유식물체(幼植物體)의 분화(分化)가 저조했고 무저온처리구(無低溫處理區), 10일(日), 20일(日) 처리구(處理區) 중(中) BA 2mg/l구(區)와 NAA 0.5mg/l구(區)에서 유식물(幼植物)의 분화(分化)가 나다났다.

  • PDF

숙성에 의해 제조된 흑 마늘 추출물의 생리학적 활성 및 항산화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 장은경;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43-448
    • /
    • 2008
  • 고온에서 숙성시켜 제조된 흑 마늘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10.0 mg/g으로 생마늘 3.7 mg/g보다 2.5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다. 생마늘과 흑 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흑 마늘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1,000{\mu}g/mL$일 때 생마늘은 12.9%, 흑 마늘은 101.9%로 흑 마늘이 생마늘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일 때 생마늘 추출물이 흑 마늘 추출물보다 1.7배 높게 나타났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비슷하거나 흑 마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마늘과 흑 마늘 추출물에서 SOD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20mg/mL일 때 각각 3.3%와 30.9%를 나타내었으며, 흑 마늘이 생마늘에 비하여 SOD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50mg/mL 일 때 생마늘과 흑 마늘에서 각각 52.7%, 88.8%로 흑 마늘의 항고혈압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rowth-Promot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Selected Human Lactic Acid Bacteria

  • Kim, Moo-Key;Kim, Byung-Su;Baek, Bong-Rea;Shin, Dong-Hwa;Lee, Hoi-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92-196
    • /
    • 2001
  • Ethanol extracts from 36 vegetable samples were assayed for their growth-promoting effects on 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and Lactobacillus casei The growth-promoting effects varied according to bacterial strain and vegetable species. In modified Gy rgy broth, extracts of Lactuca sativa, Lycopersicon esculentum and L escutentum var. cerasiforme exhibited strong growth-promoting responses toward B. longum, and significant and strong growth- promoting response toward B. bifidum was observed in extracts of Actinidia arguta, Allium cepa, A. sativum,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ts. pekinensis, Capsicum frutescens, Daucus carota var. sativa, L sativa, 1. esculentum and L. esculentum var. cerasforme, Nelumbo nucifera, Cucurbita moschata, Lackca sativa var. capitata, and Rubus coreanus. For L casei, extracts of A. fshlosum, A. hberosum, Cichorium intbus, Cucurbita moschat\ulcorner Ipomoea batatas, 1. sativa var. capitata, L. esculentum, P. brachycarpa, Raphanus sativus, R. coreanus, and S. melongena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this bacteria. In modified Gy rgy broth, the promoting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nd L. casei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MRS broth, A. arguta, A. cepa, A. sativum, B.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C. frutescens, and D. carota var. sativa L. satiw var. capitata, and R. coreanus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B. bifidum, Growth of B. longum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extracts from L. sativa var. capitata. For L casei, moderate growth-promoting responses were observed in 9 vegetable extracts. The promoting effect in MRS broth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 PDF

생장점배양에 의한 우량마늘 체계적 증식 1.생장점배 양으로부터 기관형성 (Systematic Propagation of High Quality Garlic (Allium sativum L.) Throug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1. Organogenesis from in Vitro Cultured Shoot-tips)

  • Lee, Eun-Mo;Lee, Young-Bok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1-166
    • /
    • 1994
  • 본 연구는 마늘 무병우량종구의 효율적인 생산, 증식 및 보급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지형 서산종 마늘의 생장점 배양시 기관분화에 미치는 배양 온도, 배양시기, 생장조절물질 및 저온처리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동절기의 생장점 배양은 28/2$0^{\circ}C$의 변온 조건에서 배양하는 것보다 24$^{\circ}C$ 항온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이 생존율 및 shoot 형성과 생장이 양호하였다. 마늘인편 휴면기인 7, 8월에는 kinetin 2 mg/L와 NAA 0.1 mg/L을 첨가한 배지에서 생존율 및 shoot의 생장이 양호한 반면에, GA$_3$ 1 mg/L 첨가한 배지는 억제되었다. 또한 휴면기에는 생장점 배양 전 종구를 15-60일간 4$^{\circ}C$에서 저온처리 함으로서 shoot 생장 및 발근을 촉진시켰으며, 또한 구형성 배지에 계대배양시 저온처리기간이 증가할수록 기내인경구 형성 및 비대를 촉진하였다.

  • PDF

의성지역에서 재배되는 한지형 마늘의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Type Local Garlic Cultivars in Euiseong Region)

  • 하현태;황재문;박윤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4호
    • /
    • pp.499-502
    • /
    • 2000
  • 의성 지역에서 재배하기 적합한 국내 한지형 마늘을 선발하고자 '의성', '예천', '단양', '정선' 및 '용인' 등 한지형 마늘 5종을 공시하여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조사하였고, 난지형 마늘의 재배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남도' 마늘을 동시에 공시하였다. 국내 지방 재배종 마늘의 생장특성은 생태형에 따라 차이를 보여 난지형인 '남도'가 초기생장과 숙기가 빨랐던 반면, 한지형 지방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추대 현상에 있어서는 '정선'과 '용인'이 추대율이 낮았고 불완전 추대가 많았던 반면, '예천'과 '의성'은 추대율이 높고 '의성'은 2차생장률이 낮았다. 의성지방에서 재배된 한지형 마늘 중에 '예천'의 수량이 높았으며 생장 최성기에 타 품종에 비하여 작물생장률도 높았다. 의성 지역에서 재배된 '정선', '용인' 및 '단양'은 '의성'에 비하여 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Effects of Dipping Chicken Breast Meat Inocula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in Lyophilized Scallion, Garlic, and Kiwi Extracts on Its Physicochemical Quality

  • Kim, Hye-Jin;Sujiwo, Joko;Kim, Hee-Jin;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18-429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yophilized extracts of scallions (Allium fistulosum L., SLE), garlic (Allium sativum, GLE), and gold kiwi (Actinidia chinensis, GKE) and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of chicken breast meat inoculated with L. monocytogenes during storage for 9 days at $4^{\circ}C$. The low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25 and 100 mg/mL, respectively) against L. monocytogenes were observed for SLE and GLE, respectively. GKE had the lowest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fo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06 mg/mL). The pH values of meat inoculated with L. monocytogenes and dipped in 1% SLE (LSLE), 1% GLE (LGLE), or 1% GKE (LGK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 day 3 of storage (p<0.05). The initial population of L. monocytogenes in meat was 4.95-5.01 Log CFU/g. However, the population in the LSLE (5.73 Log CFU/g)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6.23 Log CFU/g) on day 5 (p<0.05).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 of the LSLE (19.90 mg/100 g)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24.38 mg/100 g) on day 7 (p<0.05). Moreover, treatment with SLE resulted in the maintenance of meat quality and reduced the population of L. monocytogenes on the meat. Thus, SLE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natu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anitizer for reducing L. monocytogenes contamination in the chicken meat industry.

Evaluation of Antibacterial Efficacy of Certain Botanicals Against Bacterial Pathogen Bacillus sp. of Silkworm, Bombyx mori L.

  • Pachiappan, Priyadharshini;Aruchamy, Mahalingam C;Ramanna, Shashidhar Kaluvarahall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1호
    • /
    • pp.49-52
    • /
    • 2009
  • An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efficacy of certain botanicals viz., rhizomes of turmeric (Curcuma longa) and leaves of amla (Phyllanthus emblica), asparagus (Asparagus racemosus), bael (Aegle marmelos), boerhavia (Boerhavia diffusa), garlic (Allium sativum) and basil (Oscimum basicilum) against bacterial pathogens viz., Staphylococcus sp., Bacillus sp. and Klebsiella cloacae, of silkworm, Bombyx mori. Asparagus and basil, amla and boerhavia, basil and bael at concentration of 20, 000 ppm show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sp., Bacillus sp., K. cloacae respectively, both in vitro and in vivo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