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um cepa var. cep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초

양파 추출물에서의 글루타티온 전달효소 활성 저해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hibitors obtained from Allium cepa var. cepa Extract)

  • 이광수;박경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25-730
    • /
    • 2013
  • In this study, an ethanol extract being obtained from Allium cepa var. cepa examins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the separation had been done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various eluents, such as ethyl acetate, methanol, and 50% methanol. A volume of column fraction was 50ml and evaporation has been performde by the rotary evaporator under reduced pressure. Each fraction is being examin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the UV spectrum at 365 nm was used to investigate separation patterns of spots on thin layer chromatography. When the eluent was changed, the spot patterns showed another different pattern on thin layer chromatography, so on. Fractions showing similar pattern are combined and eventually, three fractions are obtained. Each fraction is testified to examine the inhibition effects on glutathione S-transferase. All of these showed inhibition effects on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GC-MS shows that each fraction contains more than 2 compounds.

표고버섯 재배(栽培)에 관(關)한 자원학적(資源學的) 연구(硏究)(I) -생리 활성화 물질의 효과- (Studies on the Resources in the Cultivation of Lentinus edodes -Effects of physiological activating substances among the bed logs-)

  • 채정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7-223
    • /
    • 1993
  •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원목재배에 있어서 골목화 기간을 단축하여 해균의 침입을 막고 생산량 증대를 위하여 생리활성화 물질이 표고버섯골목의 균사만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첨가물 양파(Allium cepa), 인삼(Daucus carota L. var sativa), 맹종죽(phyllostacys edulis), 귤(Citrus unshiu), 엿기름(malt), 중 양파(Allium cepa)와 엿기름(malt)의 추출액 1%가 유효하였으며 생리활성화물질에 효과가 높은 수종은 졸참나무(Quercus serrata)와 서나무(Carpinus laxiflora)로 나타났다.

  • PDF

Growth-Promot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Selected Human Lactic Acid Bacteria

  • Kim, Moo-Key;Kim, Byung-Su;Baek, Bong-Rea;Shin, Dong-Hwa;Lee, Hoi-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92-196
    • /
    • 2001
  • Ethanol extracts from 36 vegetable samples were assayed for their growth-promoting effects on 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and Lactobacillus casei The growth-promoting effects varied according to bacterial strain and vegetable species. In modified Gy rgy broth, extracts of Lactuca sativa, Lycopersicon esculentum and L escutentum var. cerasiforme exhibited strong growth-promoting responses toward B. longum, and significant and strong growth- promoting response toward B. bifidum was observed in extracts of Actinidia arguta, Allium cepa, A. sativum,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ts. pekinensis, Capsicum frutescens, Daucus carota var. sativa, L sativa, 1. esculentum and L. esculentum var. cerasforme, Nelumbo nucifera, Cucurbita moschata, Lackca sativa var. capitata, and Rubus coreanus. For L casei, extracts of A. fshlosum, A. hberosum, Cichorium intbus, Cucurbita moschat\ulcorner Ipomoea batatas, 1. sativa var. capitata, L. esculentum, P. brachycarpa, Raphanus sativus, R. coreanus, and S. melongena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this bacteria. In modified Gy rgy broth, the promoting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nd L. casei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MRS broth, A. arguta, A. cepa, A. sativum, B.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C. frutescens, and D. carota var. sativa L. satiw var. capitata, and R. coreanus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B. bifidum, Growth of B. longum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extracts from L. sativa var. capitata. For L casei, moderate growth-promoting responses were observed in 9 vegetable extracts. The promoting effect in MRS broth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 PDF

멀칭재료와 재식밀도가 Shallot(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의 생장과 구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Bulb Development of Shallot (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

  • 조용조;이종태;박유경;정병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7-513
    • /
    • 2011
  • 본 연구는 멀칭재료와 재식방법에 따른 shallo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멀칭비닐 종류별 시험에서 투명 PE필름 처리구에서 흑색 PE필름보다 엽수, 초장, 엽초장, 엽초경이 더 좋았고, 상품수량도 21%나 증수되었다. 그러나 구의 크기별 분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allot의 재식밀도별 수량은 120 cm 5조(10 a당 20,833주)에서 1,332 kg으로 120 cm 2조(10 a당 12,500주)에서보다 1.7배가 증수되어 밀식재배가 유리하였다. 따라서 shallot의 재배는 투명 PE필름 멀칭에 휴폭 120 cm에 5조가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소 시비량과 추비 시기가 shallot(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and Time of Supplementary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Shallot (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

  • 조용조;이종태;박유경;정병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9-97
    • /
    • 2011
  • 새로운 노지 월동작물과 수출유망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shallot을 도입하여 적응력 시험을 수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질소 시비량과 추비 시기가 shallo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질소 시비량은 10 a 당 24 kg이 적당하였고, 추비는 2월과 3월에 각각 1회씩 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질소 시비량이나 추비 시기에 따른 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Shallot(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의 연도별 생산성과 지대별 적응성 (Annual Productivity and Adaptability of Growing Area in Shallot (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

  • 조용조;이종태;박유경;정병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0-167
    • /
    • 2011
  • 새로운 노지 월동작물과 수출유망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1995년도에 shallot을 도입하였다. 적응력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 비대기의 고온에 의한 식물체의 조기 고사현상 및 습해 발생으로 수량이 점차 감소되었다. 또한 영양번식체로 세대를 진전시키는데 기인한 종구의 퇴화현상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도별 생산성과 지대별 적응성에 따른 shallot의 재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도별 생산성은 1995년에는 평균 구중이 18.7 g, 10a당 수량은 4,113 kg이었다. 재배 2차년(1996년)의 평균 구중은 25.8 g으로 무거워졌으나 수량은 10a당 2,013 kg으로 48.9%로 낮아졌다. 재배 3차년의 평균 구중과 10a당 수량은 1996년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재배 4차년(1998년)의 평균 구중은 21.1 g으로 증가하였으나 수량은 10a당 1,246 kg로 도입 당시의 30.3% 수준으로 크게 낮아졌다. Shallot의 고랭지, 준고랭지, 평야지, 해안 지대의 지대별로 적응력을 시험한 결과 식물체 생육은 월동 전 후 및 생육성기인 4월까지는 해안 지대에서 생육이 왕성하였다. 하지만 수확기인 7월에 가까워질수록 준고랭지가 해안 지대에 비해 수량이 57%가 많았다.

한국에서의 오이모자익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Host Range of Cucumber Mosaic Virus in Korea)

  • 정봉조;박해철;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1975
  •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 PDF

천연식물성분이 아질산염 소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 이수정;정미자;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8-94
    • /
    • 2000
  • 차류(녹차, 두충), 약용식물류(어성초, 삼백초, 백화사설초), 해조류(김, 미역, 청각), 채소류(피망, 케일, 오이, 양파) 및 과실류(토마토, 매실. 자두, 포도)추출물로부터 pH를 달리한 in vitro반응계에서 비타민 C함량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녹차추출물에서 65.1∼77.1 mg/100 g로 가장 높았으며, 채소류는 과실류보다 대체로 높게 정량되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에서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차류, 약용식물류 및 해조류의 경우 pH 1.2에서 각각 57.0∼100%, 50.0∼100% 및 18.0∼99.0%였다. 특히 케일 쥬스 10 m1 및 매실쥬스 5ml첨가시에도 100%까지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icrobial Population, Methane Emission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In vitro

  • Kim, E.T.;Kim, C.H.;Min, K.S.;Lee,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806-81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ethanogenesis and rumen microbial diversity in in vitro. Plant extrac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ormwood, Allium sativum for. Pekinense; Garlic, Allium cepa; Onion, Zingiber officinale; Ginger, Citrus unshiu; Mandarin orange, Lonicera japonica; Honeysuckle) were obtained from the Plant Extract Bank a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before morning feeding from a fistulated Holstein cow fed timothy and commercial concentrate (TDN; 73.5%, crude protein; 19%, crude fat; 3%, crude fiber; 12%, crude ash; 10%, Ca; 0.8%, P; 1.2%) in the ratio of 3 to 2. The 30 ml of mixture, comprising McDougall buffer and rumen liquor in the ratio of 4 to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serum bottles containing 0.3 g of timothy substrate and plant extracts (1% of total volume, respectively) filled with $O_2$-free $N_2$ gas and capped with a rubber stopper. The serum bottles were held in a shaking incubator at $39^{\circ}C$ for 24 h. Total gas production in all plant extracts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total gas production of ginger extract was highest (p<0.05). The methane emission was highest (p<0.05) at control, but lowest (p<0.05) at garlic extract which was reduced to about 20% of methane emission (40.2 vs 32.5 ml/g DM). Other plant extracts also resulted in a decrease in methane emissions (wormwood; 8%, onion; 16%, ginger; 16.7%, mandarin orange; 12%, honeysuckle; 12.2%). Total VFAs concentration and pH were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Acetate to propionate ratios from garlic and ginger extracts addition samples were lower (p<0.05, 3.36 and 3.38 vs 3.53) than that of the control. Real-time PCR indicted that the ciliate-associated methanogen population in all added plant extracts de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while the fibrolytic bacteria population increased. In particular, the F. succinogens community in added wormwood, garlic, mandarin orange and honeysuckle extract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others. The addition of onion extract increased R. albus diversity, while other extracts did not influence the R. albus community. The R. flavefaciens population in added wormwood and garlic extracts decreased, while other extracts increased its abundance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ant extracts used in the experiment could be promising feed additives to decrease methane gas emission from ruminant animals while improving ruminal fermentation.

천연식물성분이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Foods on the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 이수정;신정혜;정미자;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0
    • /
    • 2000
  • 천연식물류인 차류(녹차, 두충), 약용식물(어성초, 백화사설초, 삼백초) 및 해조류(미역, 청각, 김) 추출물, 채소류(피망, 케일,오이, 양파) 및 과실류(토마토, 매실,자두,포도)쥬스 등을 이용하여 NDMA생성억제작용을 pH 1.2, 4.2 및 6.0의 반응용액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차류 및 약용식물류에서는 NDMA생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해조류 추출물은 차류 및 약용식물류 추출물과는 달리 NDMA의 생성을 다소간 억제시켰으며, 반응용액의 pH가 산성일수록, 추출물의 농도를 높일수록 NDMA생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컸다. pH 1.2에서 채소류쥬스는 57.6∼99.7%, 과실류쥬스는 35.9∼99.7%, pH 4.2에서 채소류쥬스는 55.0∼97.5%, 과실류쥬스는 21.3∼96.8%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