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ergy management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5초

식품알레르기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과 영향요인 (Parental burden of food-allergic children's parents and influencing factors)

  • 이은선;김규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40-152
    • /
    • 2018
  • 식품알레르기는 알레르기 행진의 시작 단계로 원인 식품의 섭취 제한으로 인하여 성장기 아동의 영양 불균형과 아동을 비롯한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세 이상의 영유아 및 학령기 식품알레르기 아동의 주양육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양육부담을 정량화하여 자녀의 식품알레르기가 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품알레르기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은 정서적 고충, 일상생활 제약에 대한 2개의 하부 요인으로 세분화되며, 자녀의 연령 증가, 섭취 제한 식품의 수, 일부 알레르기질환 진단 여부가 양육부담의 감소 및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식품알레르기 아동은 식품알레르기가 다른 알레르기질환으로 이행되지 않도록 전문 의료진에 의한 진단과 증상관리가 필수적이며, 환아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에 대한 주변의 지지와 간호 중재가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성장기의 식품알레르기 아동은 식품 항원에 대한 식품경구유발시험 등의 정확한 임상 진단을 통해 필수 영양소를 포함한 식품의 과도한 섭취 제한을 방지해야 한다. 지역사회와 의료기관은 식품알레르기의 예방 및 증상완화를 위한 맞춤형 영양교육, 대체 식품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현실적 지원과 정서적 지지를 병행해야 한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노력과 제도적 방안을 통해 식품알레르기 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양육부담 대처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Is This Symptom Even a Food Allergy?: Clinical Types of Food Protein-induced Enterocolitis Syndrome

  • Hwang, Jin-Bok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7권2호
    • /
    • pp.74-79
    • /
    • 2014
  • Food protein-induced enterocolitis syndrome (FPIES) is an under-recognized non-IgE-mediated gastrointestinal food allergy. The diagnosis of FPIES is based on clinical history, sequential symptoms and the timing, after excluding other possible causes. It is definitively diagnosed by an oral food challenge test. Unfortunately, the diagnosis of FPIES is frequently delayed because of non-specific symptoms and insufficient definitive diagnostic biomarkers. FPIES is not well recognized by clinicians; the affected infants are often mismanaged as having viral gastroenteritis, food poisoning, sepsis, or a surgical disease. Familiarity with the clinical features of FPIES and awareness of the indexes of suspicion for FPIES are important to diagnose FPIES. Understanding the recently defined clinical terms and types of FPIES is mandatory to suspect and correctly diagnose FPIE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a case-driven presentation as a guide of how to recognize the clinical features of FPIES to improv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FPIES.

알레르기 관리 웹 사이트 개발 (Development of the Allergy Management Website)

  • 조규철;신예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57-160
    • /
    • 2021
  •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한국에서도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식품 알레르기 치료법은 원인 식품의 섭취를 철저하게 제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하게 되면 환자에게 삶의 질 감소와 영양 불균형이라는 악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알레르기 원인을 분석하고, 증상 발생 통계 및 안전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알레르기 관리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기록된 식단, 증상 데이터들은 향후 알레르기 치료에 참고될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ailored Biologics Selection in Severe Asthma

  • Sang Hyuk Kim;Youlim Ki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7권1호
    • /
    • pp.12-21
    • /
    • 2024
  • The management of severe asthma presents a significant challenge in asthma treatment. Over the past few decades,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developing new treatments for severe asthma, primarily in the form of biological agents. These advances have been made possible throug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pathogenesis of asthma. Most biological agents focus on targeting specific inflammatory pathways known as type 2 inflammation. However, recent developments have introduced a new agent targeting upstream alarmin signaling pathways. This opens up new possibilities, and it is anticipated that additional therapeutic agents targeting various pathways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Despite this recent progress, the mainstay of asthma treatment has long been inhalers. As a result, the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use of biological agents are not yet firmly established. In this review, we aim to emphasize the current state of biological therapy for severe asthma and provide insights into its future prospects.

Post-Coronavirus Disease 2019 Pulmonary Fibrosis: Wait or Needs Intervention

  • Yoon, Hee-Young;Uh, Soo-Tae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4호
    • /
    • pp.320-331
    • /
    • 2022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become a major health burden worldwide, with over 450 million confirmed cases and 6 million deaths. Although the acute phase of COVID-19 management has been established,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to evaluate the long-term clinical course or manage complications due to the relatively short outbreak of the virus. Pulmonary fibrosis is one of the most common respirator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COVID-19. Scarring throughout the lungs after viral or bacterial pulmonary infection have been commonly observed, but the prevalence of post-COVID-19 pulmonary fibrosis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about post-COVID-19 pulmonary fibrosis, and there is also a lack of consensus on what condition should be defined as post-COVID-19 pulmonary fibrosis. During a relatively short follow-up period of approximately 1 year, lesions considered related to pulmonary fibrosis often showed gradual improvement;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at what time point fibrosis should be evaluated. In this review, we investigated the epidemiology, risk factors,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post-COVID-19 pulmonary fibrosis.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관한 인식 및 수행도 (Perception and Practices Regarding Food Allerg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utritionists in the Jeonnam Area)

  • 김영미;허영란;노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1-161
    • /
    • 2014
  • 본 연구는 전남지역 학교 급식에서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남에 근무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업무에 관한 인식과 수행도 및 지식수준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알레르기 업무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모두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제거식 대체식 제공,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 교직원 및 조리종사원 교육과 학생 학부모 교육 순이었다. 전남지역 영양(교)사의 89.3%가 식품알레르기 관련 영양교육 및 상담 자료가 충분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 및 상담 자료는 스스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전체 평균 55%로 가장 많았다. 또한 식품알레르기 학생 관리에 대한 영양(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체 대상자의 94.0%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자신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및 이해수준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37.1%, 중학교 영양(교)사 42.4%가 40~60%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63.6%),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파악(43.2%), 대체식 및 제거식 제공(23.7%),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실시(19.9%) 순이었으며, 이들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 우선순위와 수행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업무(P<0.001),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 식단표의 게시 및 발송 업무(P<0.05) 수행도는 초등학교가 중학교 영양(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71.5%였고, 중학교 영양(교)사 65.8%로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연수 이수율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16.9%로 매우 낮았으며, 식품알레르기 교육 수강여부는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 문항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업무 우선순위, 영양(교)사의 역할 중요도, 연수 요구도 등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비하여, 업무 과다, 교육 자료 및 연수 기회 부족 등으로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부분적으로 미흡하였고 지식수준은 분야에 따라 미흡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학교 급식에서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대한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교사의 인식수준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양질의 교육과 연수 기회 제공, 학생 스스로의 식품알레르기 관리와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시수 확보 및 단위학교에 적합한 식품 알레르기 관리 매뉴얼의 제작 보급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제주지역 미취학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현황 및 이에 따른 부모의 양육 부담 (The status of food allergy and parental burden of preschoolers in Jeju area)

  • 오정은;김은영;이윤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64-6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일부 만 6세 이하 미취학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관리, 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도와 양육 부담의 현황을 식품알레르기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총 387명으로 남아가 51.4%, 여아가 48.6%이었고, 그 중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은 16.8% (남아: 58.5%, 여아: 41.5%)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 중 실제로 의사로부터 식품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아동 44.6%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의 주된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기침, 복통, 쌕쌕 거림과 호흡곤란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인 식품으로는 난류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우유, 갑각류, 땅콩 및 콩류, 밀, 쇠고기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전체 아동의 부모 중 15.4%만이 대체식품을 사용한다고 조사되어 대부분의 부모가 대체식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의 부모에서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양육 부담은 정서적 고충이 일상생활의 제약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도는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조사대상자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과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상담 참여경험 (보건소 또는 병원)비율과 의지가 식품알레르기 경험이 없는 아동의 부모보다 높아, 자녀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심과 동시에 그에 따른 양육 부담 및 근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미취학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식품알레르기의 예방과 대처방안 및 대체식품을 이용한 영양관리 등 수요자의 니즈-맞춤형 영양교육과 상담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부모의 접근성을 고려한 교육 및 상담 장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linical Experiences of High-Risk Pulmonary Thromboembolism Receiv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Single Institution

  • Jang, Joonyong;Koo, So-My;Kim, Ki-Up;Kim, Yang-Ki;Uh, Soo-Taek;Jang, Gae-Eil;Chang, Wonho;Lee, Bo 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3호
    • /
    • pp.249-255
    • /
    • 2022
  • Background: The main cause of death in pulmonary embolism (PE) is right-heart failure due to acute pressure overload. In this sense,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might be useful in maintaining hemodynamic stability and improving organ perfusion. Som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ECMO as a bridge to reperfusion therapy of P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patients that benefit from ECMO.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ECMO due to pulmonary thromboembolism at a singl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nine patients received ECMO in high-risk PE.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60 years (range, 22-76 years), and six (66.7%) were male. All nine patients had cardiac arrests, of which three occurred outside the hospital. All the patients received mechanical support with veno-arterial ECMO, and the median ECMO duration was 1.1 days (range, 0.2-14.0 days). ECMO with anticoagulation alone was performed in six (66.7%), and ECMO with reperfusion therapy was done in three (33.3%). The 30-day mortality rate was 77.8%. The median time taken from the first cardiac arrest to initiation of ECMO was 31 minutes (range, 30-32 minutes) in survivors (n=2) and 65 minutes (range, 33-482 minutes) in non-survivors (n=7). Conclusion: High-risk PE with cardiac arrest has a high mortality rate despite aggressive management with ECMO and reperfusion therapy. Early decision to start ECMO and its rapid initiation might help save those with cardiac arrest in high-risk PE.

Management of asymptomatic to mild COVID-19 patients with Cheongpebaedok-tang on the telemedical bas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ase series

  • Sung-Woo Kang;Kwan-Il Kim;Mideok Song;Jinhwan Roh;Namhun Cho;Heung Ko;Sung-Se Son;Minjeong Jeong;Jun-Yong Choi;Ojin Kwon;Seojung Ha;Hee-Jae Jung;Beom-Joon Le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58
    • /
    • 2023
  • Objective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eongpebaedok-tang,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provided via telemedicine to patients with asymptomatic to mild COVID-19 in Korea. Methods: From February to April 2020, a retrospective analysis investigated COVID-19 patients treated via Korean telemedicine. The study involved asymptomatic to mild cases receiving Cheongpebaedok-tang more than three times, along with continuous Korean medicine care in convalescence. Diagnoses and treatment adhered to the telemedicin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with varied Cheongpebaedok-tang prescriptions based on symptom severity. Symptom evaluation involved a detailed assessment using a 15-item tool at initial and final sessions. Results: The study included 27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8.7 ± 2.3 years (mean ± standard error). Patients began self-administering oral Cheongpebaedok-tang for an average of 19.4 ± 1.8 days after the date of COVID-19 diagnosis confirmation and continued the medication for 15.8 ± 1.2 days. The reported side effects of the Cheongpebaedok-tang included palpitations (11.1%), insomnia (7.4%), dizziness (3.7%), and diarrhea (3.7%). All side effects disappeared after adjusting the prescription according to standard treatment guidelines. The occurrence of all COVID-19-related adverse symptoms, except fatigue and myalgia, decreased. Fatigue was the most common chronic symptom persisting after 6 months (51.9%), followed by ocular symptoms (37.0%) and sore throat (22.2%).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Cheongpebaedok-tang may offer a potentially safe, symptom-alleviating approach for managing mild COVID-19 cases via telemedicine, although further comprehensive research is warranted.

우리나라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llergy related Disease among Korean Adolescents)

  • 박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96-60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천식, 알레르기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제10차(2014년)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만 12-18세 청소년 총 72,06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알레르기 질환 유병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가 보정된 상태에서 천식은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 주관적 경제상태, 흡연 및 주관적 스트레스 인지가 알레르기 비염은 연령, 도시규모, 주관적 경제상태, 음주 및 주관적 스트레스 인지가 아토피 피부염은 성별, 연령, 주관적 경제상태, 음주 및 주관적 스트레스 인지가 알레르기 질환 유병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악영향을 미치는 흡연과 음주와 같은 생활습관들의 규제정책 강화, 포괄적인 예방교육 및 스트레스 관리가 국가적 측면에서 시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