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on-4 보철물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매몰재의 혼수비가 치관 보철물 변연의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ginal Fit of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the W/P Ratio of Investment)

  • 황경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72
    • /
    • 1996
  • This test is verifying for influence of W/P ratio of investment upon dental prosthesis Firstly we made 40 MOD die and divide 4 groups, each group take 0.2 different w/p ratio grade such as 0.35, 0.37, 0.39 and 0.41. The method of data analysis applied were by ANOVA, Tukey test and Mann-Whiney and Kruskal Wallis test.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0.37 w/p ratio group showed most accurte margin due to $15.8{\mu}m$ gap between margin and die which keep up with manufacture's instruction and 0.35 w/p ratio group was followed as second accuracy group o 새 $48.3{\mu}m$ gap between margin and die, 0.39 w/p ratio group showed $101{\mu}m$ gap and 0.41 w/p ratio group showed $129.8{\mu}m$ gap. 2. As to the relationship of the margin accuracy between 4 different grade of w/p ratio groups, each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Also the al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between 0.35 and 0.37 groups between 0.39 and 0.41 groups, and between 0.35 and 0.39 groups. 3. A consequence of Mann-Whitney & Kruskal-Wallis test for marginal accuracy between 4 different grade of w/p rati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same as above ANOVA test result. Also Tukey test for verifying similarity from each group showed same as above.

  • PDF

스프린팅이 하악 구치부 임플랜트 보철물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분석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element analysis of influence of splinting in mandibular posterior implants)

  • 백상현;허성주;장익태;곽재영;김성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7-168
    • /
    • 2008
  • 연구목적: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이용한 치료가 초기의 완전 무치악 증례에 도입된 이후 장기간의 임상 관찰 결과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으며, 점차 부분 무치악 및 단일치 상실 증례 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임플랜트에 가해지는 저작압은 임플랜트와 주위 골에 축 방향 힘 (axial force)과 다양한 측방 모멘트 (bending moments)를 일으키는데 이러한 응력의 적절한 분산이 치료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하악 구치부가 부분 무치악일 때 외측연결 방식과 내측연결 방식의 임플랜트로 수복함에 있어 상부 보철물의 연결 (splinting)이 임플랜트와 주위 골로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삼차원 유한요소 분석을 통해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외측연결 방식과 내측연결 방식의 대표적인 2종의 임플랜트를 선정하였고 각각 8.5mm와 13mm 길이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임플랜트는 외측연결 방식을 대표하는 브레네막 시스템을, 내부연결 방식을 대표하는 ITI 임플랜트를 연구재료로 선택하였다. 각각의 임플랜트는 구치부에서 골양이 허용되는 한 추천되는 넓은 직경 (wide diameter)의 임플랜트 (4.8-5.3mm)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4종류의 임플랜트 모형에서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금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총 8개의 실험 군으로 분류하였다. 하중은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각각 100N씩 하악 제1대구치 임플랜트 보철부위 (금관부)에 가하였고 금관의 연결여부에 따라 임플랜트와 주위골에 응력이 분산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을 위한 하악골모형 제작에는 Hypermesh (Altair Engineering Inc., Troy, MI, USA)를 사용하였고 응력해석을 위해서는 PAM-CRASH 2G version 2005 (ESI, France), 포스트프로세싱을 위해서는 PAM-VIEW version 2005 (ESI, France)을 이용하였다. 여러 응력값 중에서 대표적인 등가응력 (von Mises stress)을 이용하여서 응력분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내부연결방식과 외부연결방식 모두 상부의 금관을 연결함에 따라 임플랜트와 주위골로 전해지는 응력값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응력값이 감소하는 정도는 외부연결방식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방식 모두 금관연결에 따른 응력 감소 효과는 임플랜트 길이 증가에 의해 영향 받지는 않았다. 이번 실험에서 상부 보철물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대구치 부위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하중을 가했을 때 외부연결방식에서 더 많은 양의 응력이 주변 피질골의 상부 좁은 부위로 전달되었다. 하지만 상부 보철물을 연결한 상태에서 하중을 가한 경우에는 외부연결방식에서 하중 측인 제1대구치 부위에서 나타나던 상부 피질골에서의 응력 집중이 많이 감소한 것을 보여주었다. 또 한 비하중 측인 제 2대구치 부위에서의 응력분산도 외부연결방식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내부연결방식에서는 하중 측인 제 1대구치 부위에서 지대주 나사를 따라 높게 나타나던 응력값의 중등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고 연결된 제2대구치 부위로의 응력분산 효과도 작았다. 결론: 하악 구치부가 결손한 하악골에 내부연결방식과 외부연결방식을 대표하는 두 가지 종류의 임플랜트를 선택하여 상부 금관의 연결이 임플랜트와 주위 골의 응력 분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8.5mm와 13mm에 대해서 응력 분포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고, von Mises stress 최대값 또한 거의 유사하였다. 2. 수직하중에서는 근심측에서 응력이 집중되었고 수평하중에서는 근, 원심측이 비슷한 크기의 응력을 보였다. 3. 내부연결방식에서는 지대주 나사의 벽면을 따라서 응력이 분산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외부연결방식에서는 지대주에 눌리는 임플랜트 상부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었다. 4. 금관을 연결함에 따라 임플랜트와 주위골로 전달되는 응력 값은 두 방식 모두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응력 값이 감소하는 정도는 내부연결방식에 비해 외부연결방식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골유착성 보철물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연구 (A STUDY ON THE OSSEOINTEGRATED PROSTESIS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 김동원;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7-213
    • /
    • 1991
  • The successful replacement of missing teeth has been one driving aim behind the emergence of implant dentistry as both a technology and clinical vocation for over four decades. To date, a multitude of dental implant devices had been designed and utilized in the patient population. Most of these devices have been designed without support of the engineering criteria. The long-term success of any dental implant is dependent upon the optimization of stresses which occurs during oral function and parafunction. Although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biologic interactions between dental implants and living tissue,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biomechanical aspects of dental im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of osseointegrated prosthesis on certain conditions, such as amount of load, location of load, length of fixtures, number of fixtures used, arch shape, bone quality, etc. Three diment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used for this study. FEM models were created using commercial software(Super SAP. for IBM 16 bit AT computer. All elements were 8-node brick, isoparametric. Mandible and prosthesis was modeled with 780 elements and 1074 no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ase of cantilever extension, there was a compressive stress at the base of the first implant and a tensile stress at the base of the second implant. 2. The stresses were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load. 3. The stresses were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cantilever. 4. There was a stress concentration at the neck of the implant and bone under horizontal loads.

  • PDF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관한 비교 연구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all ceramic crown using the replica technique and the triple-scan protocol)

  • 신미선;이장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72-380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의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지르코니아로 전부도재관을 제작하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타이타늄의 지대치 모형을 제작하여 20개의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 10개는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복제하고 복제된 시편을 협설,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였고, 다른 10개의 전부도재관은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협설과 근원심으로 단면을 형성하고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alpha}=.05$). 결과: 변연과 내면 적합도는 replica technique $49.86{\pm}29.69{\mu}m$, triple-scan protocol $75.35{\pm}64.73{\mu}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 < .001), 내면 적합도만을 측정한 결과 각각 $58.38{\pm}31.77{\mu}m$, $64.00{\pm}46.43{\mu}m$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343). 결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triple-scan protocol에서의 변연 적합도가 크게 측정되었고, 내면 적합도만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치부 임플란트의 연조직 심미성을 달성하기 위한 외과적, 보철적 고려사항 (Esthetic considerations for anterior implant-supported prostheses: focus on surgical and prosthetic treatment)

  • 박연희;안승근;김경아;서재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4호
    • /
    • pp.186-198
    • /
    • 2021
  •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기능적 성공률이 높아짐에 따라 심미성에 대한 새로운 성공 기준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과의사 및 환자가 가지는 심미적 기준도 높아졌으며, 임플란트 심미 수복 결과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임플란트 식립하기 전 치료계획 수립 과정, 임플란트 수술 과정, 수술 후 보철수복 과정이 모두 심미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임플란트의 심미적 실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조골, 연조직, 그리고 임플란트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각 단계마다 적절한 처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성공적인 전치부 임플란트의 연조직 심미를 얻기 위해서는 외상과 자극을 최소화하는 수술, 골이식을 통한 골조직 증강, 임플란트 식립 시 임플란트의 3차원적 위치, 필요한 경우 연조직 이식술의 시행, 임시보철물의 충분한 경과관찰과 적절한 수정을 고려해야 한다.

임프란트로 지지된 하악 켄티레버 보철물의 3차원 유한요소 분석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MANDIBULAR CANTILEVERED PROSTHESIS SUPPORTED BY IMPLANTS)

  • 조철;신상완;권종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24-743
    • /
    • 2000
  • One of the biggest clinical problems of osseointegrated implant prosthesis is the excessive stress caused by bite forces which are transfered directly into the bone through the osseointegrated implant fixtures. So several biodynamic problems occur when there is an excessive fatigue stress. The factors of stress distribution are the number, kind, position, arrangement of the impla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s, and the kind, quality of superstructure prosthesis and connection type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Recently, a distal short additional implant, socalled rest implant, is employed to reduced the stresses in conventional cantilevered prosthes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stresses transfered by osseointegrated implant cantilevered prostheses depending upon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implants, the presence of rest implant, and the type of their connection.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attempted using ANSIS ver. 5.3 program under IBM INDIGO compu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est implant influenced on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on the anterior area of the mandible and the superstructure. 2. In the group employing the rest implants, the fixed type of connection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was more stable than the ball attachment type on the stress distribution. 3. In the group employing the ball attachment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the case with 4-implants(on canine, premolar) was little more stable than the case with 6-implants and the case with 4-implants(on incisor, premolar) on the stress distribution. 4. In the cantilevered group, the case with 4-implants(on incisor, premolar) and the case with 6-implants were more stable than the case with 4-implants(on canine, premolar) on the stress distribution. 5. In all of the group, the case with 6-implants and the fixed type of connection was the most stable and the case with 4-implants (on canine, premolar) was the most unstable on the stress distribution.

  • PDF

비귀금속 산화물이 치과용 합금과 도재의 화학적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precious Metallic Oxide on the Chemical Bonding Between Dental Alloy and Porcelain)

  • 김광남;조성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7-325
    • /
    • 1987
  • A study on the shear bonding strength between dental alloy and porcelain according to various kidns of sputtered metallic thin films was established by Ing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change of the elemental weight % at the surface of dental alloy was studied by E.D.S. The kind of metallic thin films were Al, Ni, In, Cr. Ti and Sn with $0.3{\mu}m$ thickness. The dental alloys were Verabond made by Aalba Dent. Co. and Degudent H manufactured by Degussa Co. The control groups were Verabond and Degudent H.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ing strength of Al plated sample was the strongest of all. 2. The shear bonding strength of Ni plated sample was stronger than that of Degudent H, Sn plated samples. 3. The shear bonding strength of Verabond was weaker than that of Al, Ni, In, Cr, plated samples. 4. After degassing, it is more weight % of Ni at the alloy surface of the Ni sputtered specimen than the Sn sputtered sample.

  • PDF

Lithium Disilicate (IPS e.max CAD) 코어와 전장 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Veneering Ceramics to the Lithium Disilicate (IPS e.max CAD) Core)

  • 김기백;김재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0-295
    • /
    • 2013
  • 본 연구는 심미 치과보철물에 사용되는 지르코니아, lithium disilicate 코어와 전장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금속도재관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직사각기둥 모양의 시편을 각각 10개씩 제작하여 코어와 전장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후 파절면의 양상을 실체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제한된 조건하에 시행된 실험을 통하여 심미보철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치과용세라믹 코어의 전단결합강도를 확인하였으며, 측정 후 비교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종의 치과용 세라믹 코어와 전장도재 간에 전단결합강도는 금속도재관의 전단결합강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ZB군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전단결합강도 범위 내 분포를 보이지만, LB군은 임상허용 범위에 못 미치는 결과값을 보였다. 금속도재관과 달리 지르코니아, lithium disilicate 전부도재관은 모두 혼합형 파절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전단결합강도 실험에 사용된 시편이 임상적인 치과보철물의 형태와는 달리 실험을 위한 시편의 형태로 제작되어 임상적 결과를 반영하지 못했으며 구강 내의 상황과도 다르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추후에는 이를 보완하여 치과보철물과 유사한 형태의 시편을 이용한 전단결합 강도의 측정과 구강 내 조건을 고려한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골유착 고정성 보철물 하에서 하중조건에 따른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분석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BONE ANCHORED FIXED PROSTHESIS ACCORDING TO THE LOAD CONDITION)

  • 양순익;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80-80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application of 3D finite element analysis to determine resultant stresses on the bone anchored fixed prosthesis, implants and supporting bone of the mandible according to fixture numbers and load conditions. 4 or 6 fixtures and the bone anchored fixed prosthesis were placed in 3D finite element mandibular arch model which represents an actual mandibular skull. A $45^{\circ}$ diagonal load of 10㎏ was labiolingually applied in the center of the prosthesis(P1). A $45^{\circ}$ diagonal load of 20㎏ was buccolingually applied at the location of the 10mm or 20mm cantilever posterior to the most distal implant(P2 or P3). The vertical distribution loads were applied to the superior surfaces of both the right and the left 20mm cantilevers(P4). In order that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ucture were located to the mandibular ramus and angle, the distal bone plane was to totally fixed to prevent rigid body motion of the entire model. 3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med for stress distribution and deflection on implants and supporting bone using commercial software(ABAQUS program. for Sun-SPARC Work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all conditions of load, the hightest tensile stresses were observed at the metal lates of prostheses. 2. The higher tensile stresses were observed at the diagonal loads rather than the vertical loads 3. 6-implants cases were more stable than 4-implants cases for decreasing bending and torque under diagonal load on the anterior of prosthesis. 4. From a biomechanical perspective, high stress developed at the metal plate of cantilever-to-the most distal implant junctions as a consequence of loads applied to the cantilever extension. 5. Under diagonal load on cantilever extension, the 6-implants cases had a tendency to reduce displacement and to increase the reaction force of supporting point due to increasing the bendign stiffness of the prosthesis than 4-implants cases. 6. Under diagonal load on cantilever extension, the case of 10mm long cantilever was more stable than that of 20mm long cnatilever in respect of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7. When the ends of 10mm or 20mm long cantilever were loaded, the higher tensile stress was observed at the second most distal implant rather than the first most distal implant. 8. The 6-implants cases were more favorable about prevention of screw loosening under repeated loadings because 6-implants cases had smaller deformation and 4-implants cases had larger deformation.

  • PDF

합금의 종류와 지대주 성분이 바형 유지 장치의 변연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casting alloys and abutment composition on the marginal accuracy of bar-type retainer)

  • 이윤희;송영균;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5-91
    • /
    • 2012
  • 연구 목적: 합금의 종류와 지대주의 재질의 차이가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개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아크릴릭 레진으로 포매하여 연구모형을 제작하였다. 바 구조물은 gold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high noble metal alloy)과 귀금속 합금(noble metal alloy)을, 그리고 metal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과 비귀금속 합금(base metal alloy)을 이용하여 총 4 종류의 바 구조물을 7개씩 시편을 제작하였다. 주조된 바 구조물을 레진 모형에 장착하고 한쪽 지대나사를 조인 후, 반대쪽 임플란트-지대주 간극의 수직 거리를 앞, 뒤, 측면 3부위에서 입체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결과: 각 군들의 변연오차 평균값은 gold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과 귀금속 합금을 사용했을 때 각각 $13.69{\pm}6.74{\mu}m$$267.26{\pm}65.85{\mu}m$이었으며, metal UCLA 지대주에 고귀금속 합금과 비귀금속 합금을 사용했을 때 $26.19{\pm}8.14{\mu}m$$61.90{\pm}33.65{\mu}m$이었다.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변연 적합도의 차이를 분석했을 때 고귀금속 함금을 사용한 군들을 제외하고, 모든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5). Gold UCLA 지대주-귀금속 합금 조합을 제외하고 모두 $70{\mu}m$ 이하의 수직오차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바 유지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 고귀금속 합금 대신 비귀금속 합금과 metal UCLA 지대주를 사용하는 것은 임상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