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cause mortality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4초

소아심장판막치환술 (Valve Replacement in Children)

  • 김재현;이광숙;윤경찬;유영선;박창권;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41-346
    • /
    • 1999
  • 배경: 소아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은 성인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의 제반문제 이외에도 작은 판막의 혈류역학적 문제, 신체발육에 따른 재수술, 출산 및 항응고요법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심장판막치환술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의 여러 문제점과 해결책을 규명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부터 1997년까지 15세 이하 소아 30명에서 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남아가 16명, 여아가 1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3세에서 15세로 평균 연령은 12.1$\pm$3.2세 였다. 판막 부위별로 보면 승모판치환술 15례, 대동맥판치환술 11례, 삼첨판치환술이 3례였으며, 승모판 및 대동맥판치환술이 1례 있었다. 판막질환의 원인을 보면 선천성이 17명, 후천성이 13명이었다. 이용한 판막으로는 조직판막 10례, 기계판막 20례였으며 1985년 이후로는 조직판막은 사용하지 않았다. 기계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coumadin으로 항응고치료를 지속하였으며, 조직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3개월간 coumadin을 복용하였다.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는 8명으로 엡스타인씨기형 교정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대동맥폐쇄부전의 교정술 2례가 있었으며, 그 외 대동맥판막하협착, 방실중격결손증, 대동맥판협착증 및 심실중격결손증 등의 교정술이 각각 1례씩 있었다. 판막치환시 동시에 시행한 술식으로는 삼첨판륜성형술 3례, 심실중격결손증 교정 2례, 동맥관개존증 결찰 2례, 대동맥판륜확장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동맥관개존증 교정 1례, 승모 풉낮첬括珝낵\ulcor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치료로서 내막제거술의 임상적 결과: 색전증 분류에 따른 접근 (Clinical Results alter Pulmonary Endarterectomy as a Curative Surgical Method in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an Approach to Operative Classification of Thromboembolic Disease)

  • 임주영;이재원;김정원;정성호;제형곤;송현;정철현;주석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91-597
    • /
    • 2008
  • 배경: 만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폐동맥고혈압은 내막제거술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본원에서의 수술 경험을 분석하여 질환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토대로 향후 수술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에서 만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으로 내막제거술을 받은 2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증상은 주로 호흡곤란이었고 페동맥 색전증의 원인으로는 심부혈전증 11명(55%)이 가장 많았다. 17명(85%)의 환자에서 하대정맥 필터를 삽입하였다. 수술은 완전 순환 정지하(n=13) 또는 low flow (n=7)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행하였고 수술 전 삼첨판 폐쇄부전이 grade IV/IV 이상인 환자들 중 6명(66%)에서 삼첨판륜 성형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5{\pm}32$개월이었다. 결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분류에 따른 폐동맥 색전증의 종류는 type I이 4명 (20%), type II, III가 각각 8명(40%)씩이었고 우심실 수축기압은 수술 전 평균 $77{\pm}29$ mmHg에서 수술 직후 $37{\pm}19$ mmHg로 감소하였으며(p<0.001) 삼첨판 폐쇄부전의 정도 및 NYHA functional class 모두 수술 후 호전을 보였다. 재관류 손상은 7예(35%)로 UCSD type I, II인 환자군에 비해 type III인 환자에서 재관류 손상의 발생률이 더 높았고(25% vs 50%, p=0.25) 중환자실 재원기간도 길었다($5{\pm}2$일 vs $9{\pm}7$일, p=0.07). 조기사망은 2명(10%)이었고 만기사망은 기저질환의 악화 1명, 폐동맥 색전증의 재발 1명, 그리고 지속된 폐동맥 고혈압 1명, 모두 3명(15%)이었다. 결론: 내막제거술은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효과적인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수술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유기인제 중독에 의한 호흡부전 (Respiratory Failure of Acute Organophosphate Insecticide Intoxication)

  • 신경철;이관호;박혜정;신창진;이충기;정진홍;이현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363-371
    • /
    • 1999
  • 연구배경: 유기인제는 국내에서 1950년대부터 농업용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공업용 화공약품으로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중독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아트로핀, PAM 또한 호흡부전 발생시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적극적인 치료로 사망률은 과거보다 감소하였으나, 호흡부전으로 인한 사망은 유기인제 중독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다. 저자들은 유기인제 중독시 호흡부전의 발생 빈도 및 그 유발 인자를 관찰 분석하여 유기인제 중독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여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유기인제 중독증으로 진단 받은 11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히 호흡부전이 발생한 31례의 임상 소견 및 치료 방법, 혈중 cholinesterase 활성도 등을 조사하여 호흡부전 발생과 관계가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결 과: 유기인제 중독환자 111례 중 자살 목적인 경우가 81례로 가장 많았고, 중독 정도도 가장 심하였다. 환자 중 15례에서 사망하였으며, 사망률은 14%였다. 호흡부전이 발생한 31례 중 23예가 중독 후 24시간이내, 8례는 25시간에서 96시간이내 발생하였으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호흡부전 발생 빈도가 높았다. 호흡부전이 발생한 31례 중 15례에서 사망하였고, 호흡부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사망한 예가 없었다. 16예의 환자에서 폐렴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14례에서 호흡부전이 생겨, 폐렴이 생긴 대부분의 환자에서 호흡부전이 발생하였다. 심혈관 허탈은 5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중 2례에서 호흡부전이 생겼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첫 24시간동안 아트로핀의 평균 요구량은 $56{\pm}65mg/dl$이고, 급성 호흡부전인 경우 아급성 호흡부전이나 호흡부전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보다 아트로핀 요구량이 더 많아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아트로핀 요구량이 더 많았다. PAM으로 치료하였던 95례 중 26예와, 치료하지 않았던 16예 중 5례에서 호흡부전이 발생하여 PAM 치료 여부와 호흡부전 발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cholinesterase 활성도는 호흡부전이 발생하였을 때보다 인공호흡기 이탈시 7배정도 높았으며, 인공호흡기로 치료한 기간은 급성 호흡부전이 생겼을 때 유의하게 길었다. 결 론: 급성 유기인제 중독에 의한 호흡부전은 중독 후 첫 96시간 이내 주로 발생하며, 중독 정도와 폐렴 발생이 호흡부전 발생의 중요한 유발 인자로 생각된다. 따라서 중독 후 첫 96시간 동안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고 적극적인 아트로핀 투여와 기도 확보 및 흡인성 폐렴 방지로 호흡부전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2-Bromopropane의 수컷 랫트를 이용한 4주간 반복 경구투여 아급성독성실험 (A 4-Week Oral Toxicity Study of 2-Bromopropane in Sprague- Dawley Male Rats)

  • 이현숙;강부현;손화영;김희연;조영채;노정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29-141
    • /
    • 1998
  • Toxic effects of 2-bromopropane (2-BP) on the hematopoietic system and testis were investigated in male Srague-Dawley (SD) rats. 80 male SD rats, 5 weeks old, were treated with 2-BP in corn oil at levels of 0, 100, 330 and 1,000 mg/kg/day for 4 weeks orally. 10 animals from each group were maintained for additional 8 weeks following the treatment. In addition, 60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administered 2-BP in corn oil at levels of 0 and 1,000 mg/kg/day orally and sacrificed after 1. 2 and 3 weeks of treatment. Clinical observation. body weight changes, food consumption, organ weight changes. hematology, serum chemistry and histopathology of the testis were performed in the study. No clinical sign and mortality were observed in the study. The body weigh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treatment but gradually recovered. The relative organ weights of the testis and thymu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of the groups treated with 1,000 mg/kg/day for 3 and 4 weeks. In the recovery groups, organ weights of the testis and epididymi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of the groups treated with 330 and 1,000 mg/kg/day. Platelets and reticulocyt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of the group treated with 1.000 mg/kg/day for 3 and 4 weeks. While red blood cells were de-creased but mean corpuscular volume (MCV)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were increased in the recovery group. Significant increase of chloride was observed in all of the treatment groups except the recovery groups, and calci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of the groups treated with 1,000 mg/kg/ day for 3 and 4 week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tate aminotransferase (AST) in most of groups treated with 1.000 mg/kg/day. In the testis. the spermatogonia in stages I-VI were mostly depleted and the spermatocytes in stages VII-VIII were de-generated or necrotized at week 1 after treatment of 2-BP. The degeneration of germ cells and the a-trophy of seminiferous tubules became more severe in time-dependent and dose-dependent manners. The damaged tubules showed regeneration in part. however. they did not appear to be completely recovered within 8 weeks of the recovery peri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2-BP would cause toxicities in hematopoiesis by possibly interfering the production of red blood cells and platelets and in spermatogenesis by the destruction oj spermatogonia in SD male rats.

  • PDF

선천성 식도 폐쇄증 - 17년간의 96예 치험 분석 - (Seventeen Years' Experience with Ninety-six Esophageal Atresias)

  • 전용순;정성은;이성철;박귀원;김우기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권2호
    • /
    • pp.140-148
    • /
    • 1995
  • 저자들은 96예의 선천성 식도 폐쇄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남녀비는 1.1:1로 비슷하였다. 2) 출생시 평균 체중은 2.8kg 였고 2.5kg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가 32.3%를 차지했다. 3) 주증상은 타액 분비 과다, 수유시 호흡 곤란, 청색증 등이었다. 4) Gross 분류법에 의한 해부학적 유형은 Type C가 가장 많은 빈도로 관찰되었다(82.3%). 5) 동반 선천성 기형이 35%에서 관찰되었고 이 중 심장 기형이 가장 많은 빈도로 관찰되었다(60%). 6) 수술은 Type A, C의 경우 일차적 문합을 시행하였고 일차적 문합이 불가능한 원간격 결손 환아에서 역위관 삽입술이 시행되었다. Type E(H-type)의 경우 식도기관루 절제술이, Type F의 경우 식도협착부위 절제 및 단단 문합술이 시행되었다. 7) 수술후 주요 합병증은 문합부 누출, 문합부 협착, 기관 식도루 재발 등이었다. 8) 생존율은 86%였고 Waterston Criteria에 따른 생존율은 Class A, 93%, Class B, 86%, Class, 58%였다. 9) 추적 조사 결과 93%의 환아가 건강했고 7%의 환아가 잦은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병력이 있었다.

  • PDF

뇌졸중 위험지표로서의 혈중 지질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A Case-Control Study on Blood Lipids as a Risk Factor of Stroke)

  • 김정현;강경원;유병찬;최선미;백혜기;임승민;안정조;설인찬;김윤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30-837
    • /
    • 2007
  • Background and purpose : Stroke is one of the most deadly diseases and a leading cause of disability. Lipids confer an in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spite of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 and lipids, their relationship is not clea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lipids were associated with stroke. Method : We compared the components of blood lipids between stroke patients group (n=217,Cases), non-stroke control group (n=160, Controls) and healthy control group without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ischemic heart disease, or hyperlipidemia (n=140, Normals). These data were statically analyzed by general linear model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get each adjusted odds ratio. Result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hol), triglyceride (TG)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h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of ischemic stroke, while the blood levels of T-Chol and LDL-Chol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e blood levels of TG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of hemorrhagic stroke. The blood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h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cas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TG and low H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hemorrhagic stroke and ischemic stroke, high T-Chol and L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ischemic stroke, and low T-Chol and L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hemorrhagic stroke in Koreans.

  • PDF

대혈관전위증에 대한 동맥전환술 (Arterial Switch Operation for Transposition of G rest Arteries)

  • 이호철;류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78-284
    • /
    • 1996
  • 1989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9명의 대혈관전위증 환자에 대해 동맥전환술을 시행하였다. 연령 분 포는 생후 3일에서 90일까지로 평균 30일 (21일)이 었고 환자는 전례 에서 술전 심초음파 검사로 진단되 었 다. 8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대혈관전위증이었으며 1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대 혈관잔위증 환아였다. 동반기형으로는 동맥관개존이 8례, 심방중격결손이 7El,대동맥축약이 1례였다. 관동백의 분지 형태는 Yacoub type A가 7례 (77 %), Yacoub type D의 형태가 2례 (23 %)였다. 폐동맥 재 건은 Lecompte 술식을 8례 에서 적용하였고 자가심낭편을 이용하였다. 사망율은 55 %였다. 수술후 1 ~2 일내 사망한 3례는 좌심실 기능부전과 발작성 폐동맥 고혈압이 원인이었고, 수술후 2~3주에 사망한 2례는 술후 감염에 의한 폐혈증이 주원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7개월이 었고 추적관찰에는 심초음파 를 이용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대동맥 판 폐쇄부전이나 폐동맥 판 상부 협착은 발견되지 않았다. 수술에 따르는 여러 위험 요소들(저체중, 장시간의 체외순환, 체외 순환중 과도한 혈희석, 저체온, 술후 용적 부하, 과도한 \ulcorner\ulcorner\ulcorner사용) 중 술후 과도한 강심제를 사용했을 경우에서만 통계학적 유의성을 가지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 PDF

우주식품으로 개발한 30 kGy 감마선 조사된 건조우주비빔밥의 3개월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30 kGy Irradiated Dried Space Bibimbap for Three Months)

  • 박재남;김진경;최단비;김재훈;송범석;이주운;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56-961
    • /
    • 2011
  • 본 연구는 건조우주비빔밥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고선량(30 kGy) 조사된 건조우주비빔밥을 ICR 마우스에 3개월간 섭취시킨 다음 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비조사 시료 및 30 kGy 조사 비빔밥을 암수 마우스에 투여를 한 결과 시험기간 동안 시험물질에 의한 임상증상이나 폐사 동물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중 변화, 사료섭취량 및 주요 장기 무게도 대조군에 비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학적 검사 및 혈청학적 검사 모두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 역시 간 및 신장 모두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염증, 괴사 등의 유의할 만한 병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30 kGy로 감마선 조사된 건조우주비빔밥은 암수 마우스에 3개월간 섭취시켜도 본 시험조건에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목포지역에서의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Investigation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Mokpo Area)

  • 윤지호;이동채;이한슬;김병훈;이종효;김지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1호
    • /
    • pp.17-24
    • /
    • 2001
  • 연구목적 : 목포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역사회 폐렴의 원인균주, 임상상, 기저질환, 치료경과 등을 알아보기위해 목포가톨릭병원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를 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방 법 : 1995년 12월부터 1997년 3월까지 16개월간 목포 가톨릭병원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35예의 나이, 성별, 기저질환, 세균학적 검사, 항체검사 및 항생제 치료성적을 증상발현 시기, 흉통, 오한등을 지표로 전형적 폐렴과 비전형적 폐렴으로 구분하여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 35예에서 성별빈도는 남자 21예(60%), 여자 14예(40%) 였으며, 연령은 50세 이상이 24예(69%) 였다. 원인균주를 객담, 혈액배양, 특이항체 검사에서 밝혀진 예는 11예였으며, 균주를 관찰할 수 없었던 경우가 24예였다. 기저질환의 경우 10예에서 있었으며 알콜중독, 폐결핵, 당뇨병, 간경화 등이 해당되었다. 치료는 경험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하여 전예에서 완치되었다. 결 론 : 항생제 개발과 더불어 폐렴의 임상상의 변화, 원인균주의 변화 및 새로운 내성균의 출현 등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 폐렴의 치료는 정확한 원인균주의 동정과 감수성 검사를 바탕으로 시행하여야 하나, 임상적으로는 경험적 치료가 중요하다고 사료되며 더 많은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ndoscopic Findings in a Mass Screening Program for Gastric Cancer in a High Risk Region - Guilan Province of Iran

  • Mansour-Ghanaei, Fariborz;Sokhanvar, Homayoon;Joukar, Farahnaz;Shafaghi, Afshin;Yousefi-Mashhour, Mahmud;Valeshabad, Ali Kord;Fakhrieh, Saba;Aminian, Keyvan;Ghorbani, Kambiz;Taherzadeh, Zahra;Sheykhian, Mohammad Reza;Rajpout, Yaghoub;Mehrvarz, Ali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407-1412
    • /
    • 2012
  • Background & Objectives: Gastric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in both sexes in Ira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upper GI endoscopic findings among people > 50 years targeted in a mass screening program in a hot-point region. Methods: Based on the pilot results in Guilan Cancer Registry study (GCRS), one of the high point regions for GC-Lashtenesha- was selected. The target population was called mainly using two methods: in rural regions, by house-house direct referral and in urban areas using public media. Upper GI endoscopy was performed by trained endoscopists. All participants underwent biopsies for rapid urea test (RUT) from the antrum and also further biopsies from five defined points of stomach for detection of precancerous lesions. In cases of visible gross lesions, more diagnostic biopsies were taken and submitted for histopathologic evaluation. Results: Of 1,394 initial participants, finally 1,382 persons (702 women, 680 men) with a mean age of $61.7{\pm}9.0$ years (range: 50-87 years) underwent upper GI endoscopy. H. pylori infection based on the RUT was positive in 66.6%. Gastric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esophagus were detected in seven (0.5%) and one (0.07%) persons, respectively. A remarkable proportion of studied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esophageal hiatal hernia (38.4%). Asymptomatic gastric masses found in 1.1% (15) of cases which were mostly located in antrum (33.3%), cardia (20.0%) and prepyloric area (20.0%). Gastric and duodenal ulcers were found in 5.9% (82) and 6.9% (96) of the screened population. Conclusion: Upper endoscopy screening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early detection of GC especially in high risk population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cost effectiveness, cost benefit and mortality and morbidity of this method among high and moderate risk population before recommending this method for the GC surveillance program at the nat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