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site restorativ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알카자이트 수복재의 색안정성 : 실험실적 연구 (Color Stability of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in vitro Studies)

  • 안지혜;이상호;이난영;신혜원;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28-441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소아치과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복재들의 색 안정성을 비교하고, 다양한 음료에서의 색상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글라스아이오노머,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알카자이트 수복재, 복합레진의 시편을 준비하였고, 열순환 후 색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침전 전과 7일, 14일, 21일, 28일 후 CIE L*a*b*값의 색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각 수복재료의 시편을 5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PBS, 커피, 녹차, 콜라, 오렌지주스 용액에 침전시켰다. 열순환 후 복합레진에서 가장 높은 색 안정성을 보였고, 알카자이트 수복재, 글라스아이오노머,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순으로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7일간 다양한 용액에 침전시킨 결과 모든 시편에서 색상 변화가 나타났으며, 알카자이트 수복재는 글라스아이오노머 계열보다 낮은 색상 변화를 보였고, 복합레진보다는 높은 색상 변화를 나타냈다. 알카자이트 수복재는 커피에서 가장 많은 색상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녹차, 오렌지주스 순이었으나, 콜라와 PBS 용액에서는 침전 28일 이후에도 색상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Alkasite와 기존의 수복 재료의 압축강도 및 미세경도 비교 (Comparison of Microhardnes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Alkasite and Conventional Restorative Materials)

  • 이건호;김종수;신지선;한미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20-32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소개된 alkasite 수복재료의 압축강도와 미세경도를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유동성 복합레진과 비교하여 alkasite 수복재의 물성을 예측하는 것이었다. 압축강도와 비커스 미세경도 측정을 위해 각 재료당 2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초 당 1 mm 횡단 속도 하에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미세경도는 비커스 미세경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보압 시간(dwelling time) 10초 조건 하에서 500 g의 힘을 가해 시편 제작 1시간, 1일, 7일, 14일, 21일, 35일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압축강도는 복합레진이 가장 높았으며 alkasite,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순이었다. 미세경도 측정 결과 복합레진은 연구기간동안 미세경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시편제작 1시간 후, 1일차, 7일차 측정까지 가장 높은 미세경도를 보였다.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경우 7일차까지 미세경도가 증가하여 복합레진과 차이가 없어진 반면, alkasite는 14일차까지 서서히 미세경도가 증가하다가 이후 다시 감소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약 내 불소농도에 따른 수종의 불소함유 수복재의 불소 방출량 (Fluoride Release of Several Types of Fluoride-Containing Restorative Materials According to Fluoride Concentration in Toothpaste)

  • 이충호;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7-205
    • /
    • 2022
  • 이 연구는 국내에서 불소치약의 농도에 따른 불소함유 수복재의 불소 재방출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글라스아이오노머(Fuji IX GP EXTRA),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Fuji II LC), alkasite 수복재(Cention N), 복합레진(FiltekTM Z350XT)의 시편이 제작되었고, 1, 3, 7, 14, 21, 28일에 불소 방출량이 측정되었다. 그 후, 각 수복재에 무불소, 500 ppm, 1450 ppm의 불소치약을 적용하여 불소 재방출량을 1, 3, 7일에 측정하였다. 글라스아이오노머가 측정 7일차 까지는 가장 높은 누적 불소 방출량을 보였고, 14일차부터는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가 가장 높은 누적 불소 방출량을 보였으나, 두 수복재의 누적 불소 방출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500 ppm의 불소치약으로 불소 재충전 시에는 alkasite 수복재만 불소 재방출량의 차이가 유의하였고(p < 0.017), 1450 ppm의 불소치약으로 불소 재충전 시에는 모든 수복재 군이 무불소치약군에 비하여 불소 재방출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 < 0.017).

수종의 불소함유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충전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Properties of Several Fluoride-Containing Restorative Materials)

  • 이동연;김종수;한미란;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6-204
    • /
    • 2020
  • 이 연구는 두 종류의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alkasite' 계열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충전 양상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X GP와 Riva Self Cure, 'alkasite' 수복재인 Cention N, 복합레진 Filtek™ Z350XT의 시편을 직경 10.0 mm, 높이 2.0 mm의 원반 형태로 제작하였다. 총 28일간 불소 유리량을 측정한 이후, 각 재료별로 시편을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에는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을 1분간 도포하고, 이후 7일간의 불소 유리량 측정을 통해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 재료의 불소 재충전 여부를 평가하였다. 불소 유리량은 Riva Self Cure, Fuji IX GP, Cention N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Cention N의 불소 유리량은 Fuji IX GP의 약 49%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Riva Self Cure, Fuji IX GP, Cention N에서 1.23% APF gel의 도포 후 불소 유리량의 증가가 관찰되어(p < 0.05), 글라스 아이오노머뿐 아니라 Cention N에서도 불소의 재충전 양상이 확인되었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의 상아질 접착제를 투과하는 불소 유리 평가 (Assessment of Fluoride Release through Dentin Adhesive in the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and Giomer)

  • 김해니;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7-3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에서 방출되는 불소가 상아질 접착층을 투과하는 유리되는 양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이었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 및 불소 미함유 복합레진의 시편을 각 재료 당 20개씩 제작하여 그 중 10개의 시편에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만들어진 시편을 2.0 mL의 탈이온수가 들어있는 폴리에틸렌튜브에 넣고 37.0℃ 항온수조에 연구 기간동안 보관하였다. 보관 후 1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째에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으며 매 측정 후 탈이온수를 교체하였다. 상아질 접착제층 두께의 적절성은 시편을 추가로 제작하여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에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 접착제가 불소의 유리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았지만, 유리된 불소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8일간 측정한 알카자이트 수복재의 불소 유리량은 상아질 접착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자이오머보다 크게 나타났다.

피니싱 처리 이후 알카자이트 수복재의 표면거칠기와 미생물 부착 (Surface Roughness and Microbial Adhesion After Finishing of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 박초아;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8-195
    • /
    • 2020
  • 이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알카자이트 재료인 Cention N에 finishing처리를 한뒤에 표면 거칠기와 박테리아 부착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함이다.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컴포짓트 레진, 알카자이트 재료를 원통형의 디스크 형태로 제작하였다(n = 48). 이 후 대조군과 3가지 카바이드버, 미세다이아몬드 버, 화이트스톤버의 피니싱 버에 따른 4가지 하위군으로 분류하였다. 표면 거칠기는 atomic force microscope으로 조사하였으며 표면관찰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우식원성 미생물인 streptococcus mutans의 시편 부착을 위하여 CDC biofilm reactor를 사용하여 바이오필름을 배양한후 집락형성단위를 측정하였다. 레진과 Cention N의 아무처리 하지 않은 컨트롤 군의 표면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피니싱 처리된 시편들보다 거칠었다. 하지만 표면 거칠기와 미생물 부착사이의 상관관계는 매우 약했다(PCC = 0.13). RMGI와 Cention N은 레진시편에 비해 미생물 부착이 적게 일어났다. Cention N은 피니싱만으로도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수준인 0.2 ㎛ 이하의 거칠기를 보였으며 이온 방출 성질로 미생물 부착이 레진과 비교시 적은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Comparative Analysis of Water Ab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of Alkasite-based Restorative Material

  • Myeong-Gwan Jih;Hye-Jin Cho;Eu-Jin Cha;Tae-Young Park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74-79
    • /
    • 2023
  • Purpose: Cention N (Ivoclar Vivadent) was a recently introduced alkasite-based restorative material that was expected to replace amalgam and glass ionomer cement. This material was an esthetic restoration with adequate mechanical strength and release of fluoride and calc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water 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of Cention N and evaluate its long-term durability compared to other esthetic restorations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RMGIC], Giomer, Composit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pecimens each of Cention N (CN), Resin Modified-Glass Ionomer Cement (FJ), Giomer (BF), and Composite Resin (FZ) were made. After each specimen was completely dried in a desiccator for 24 hours using a vacuum pressure pump, the specimen was weighed (m1). After that, the specimen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at 37℃ for 7 days, stored in a drying oven, and weighed (m2). After drying completely for 24 hours in a desiccator, the specimen was weighed (m3) to calculate the water ab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using Formulas 1 and 2. The measured valu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SPS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Result: When measuring water sorption, FJ (122.61 ㎍/mm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sorption than CN (35.42 ㎍/mm3)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Z (18.03 ㎍/mm3) and BF (14.76 ㎍/mm3) (P=0.930). When measuring water solubility, CN (6.65 ㎍/mm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solubility than FJ (1.47 ㎍/mm3) (P<0.05). Conclusion: Cention N had lower water sorption than RMGIC, but higher water solubility, indicating that it is more vulnerable to moisture and has lessened long-term durability.